중국고전/詩經

247 황의 /문왕지십/대아

은인자중 2010. 1. 2. 06:28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247 詩經-大雅-文王之什-황의(皇矣)-위대하심-

[대아(大雅) / 문왕지십(文王之什)

제7편 황의8장(皇矣八章)]

(1장)

皇矣上帝ㅣ 臨下有赫하사
(황의상제ㅣ 임하유혁하사
監觀四方하사 求民之莫이시니
감관사방하사 구민지막이시니
維此二國이 其政不獲일새

 

유차이국이 기정불획(확)일새
維彼四國에 爰究爰度하시니
유피사국에 원구원탁하시니
上帝耆之는 憎其式廓이라
상제기지는 증기식곽이라
乃眷西顧하사 此維與宅하시니라

내권서고하사 차유여택하시니라  賦也ㅣ라)

위대하신 상제가 아래를 굽어보심이 밝으사
사방을 관찰하시어 백성의 안정을 구하시니,
이 두 나라가 그 정사를 잃어 오직 저 사방나라에서 이에 찾고 이에 헤아리시니,
상제가 이루고자 하심은 그 규모를 크게 하심이라.
이에 서쪽을 돌아보사 이곳에 거처할 집을 주셨느니라.

 


○賦也ㅣ라
皇은 大요 臨은 視也ㅣ라 赫은 威明也ㅣ라 監亦視也ㅣ라 莫은 定也ㅣ라 二國은 夏商也ㅣ라 不獲은 謂失其道也ㅣ라 四國은 四方之國也ㅣ라 究는 尋이오 度은 謀也ㅣ라 耆憎式廓은 未詳其義라 或이 曰耆는 致也ㅣ오 憎은 當作增이오 式廓은 猶言規模也ㅣ라 此는 謂岐周之地也ㅣ라
○此詩는 敍大王大伯王季之德이 以及文王이 伐密伐崇之事也ㅣ라 此其首章이니 先言天之臨下甚明하야 但求民之安定而已라 彼夏商之政이 旣不得矣라 故로 求於四方之國하시니 苟上帝之所欲致者인댄 則增大其疆境之規模라 於是에 乃眷然顧視西土하사 以此岐周之地로 與大王하야 爲居宅也ㅣ라

○부라.

황은 큼이고, 림은 봄이라. 혁은 위엄있고 밝음이라. 감 또한 봄이라. 막은 정함이라. 이국은 하나라와 상나라라. 불획은 그 도를 잃음을 말함이라. 사국은 사방의 나라라. 구는 찾음이고, 탁은 꾀함이라. 기, 증, 식곽은 그 뜻은 자세하지 못하니라. 어떤 이는 가로대 기는 이름이고, 증은 마땅히 ‘더할 증’으로 지어야 하고, 식곽은 규모라는 말과 같다 하니라. 차는 기주의 땅을 이름이라.

○이 시는 태왕과 태백과 왕계의 덕을 서술하여 문왕이 밀땅을 치고 숭땅을 친 일에 미침이라. 이것은 머리장이니 먼저 하늘이 아래를 굽어보심이 심히 밝아서 다만 다만 백성의 안정을 구할 뿐이라. 저 하나라 상나라의 정사가 이미 (도리를) 얻지 못하였으므로 사방의 나라에서 구하셨으니 진실로 상제가 이루고자 하실진댄 그 경계의 규모를 더욱 크게 하심이라. 이에 두루 돌아보면서 서쪽 땅을 살피셔서 이 기주의 땅으로써 태왕에게 주시어 거택으로 삼게 하심을 말함이라.

(2장)

作之屛之하니 其菑其翳며
(작지병지하니 기치기예며
修之平之하니 其灌其栵며
수지평지하니 기관기례며
啓之辟之하니 其檉其椐ㅣ며
계지벽지하니 기정기거ㅣ며
攘之剔之하니 其檿其柘ㅣ로다
양지척지하니 기염기자ㅣ로다
帝遷明德이라 串夷載路ㅣ어늘
제천명덕이라 관이재로ㅣ어늘
天立厥配하시니 受命旣固샷다

천립궐배하시니 수명기고샷다 賦也ㅣ라)

 

뽑아버리고 제거하니 서서 죽은 나무와 쓰러져 죽은 나무이며,
닦고 평평히 하니 관목과 늘어진 가지며,
개간하고 베어 없애니 능수버들과 가물태나무이며,
쳐내고 베어내니, 산뽕나무와 구지뽕나무로다.
상제가 밝은 덕의 군주를 옮긴지라. 곤이가 길 가득히 도망가거늘
하늘이 그 배필을 세우시니 천명을 받음이 이미 견고하셨다.

 


○賦也ㅣ라
作은 拔起也ㅣ오 屛은 去之也ㅣ라 菑는 木立死者也ㅣ오 翳는 自斃者也ㅣ라
或이 曰小木蒙密蔽翳者也ㅣ라 修, 平은 皆治之하야 使疏密正直得宜也ㅣ라
灌은 叢生者也ㅣ라 栵는 行生者也ㅣ라 啓, 辟는 芟除也ㅣ라 檉은 河柳也ㅣ니 似楊이오 赤色이며 生河邊이라
椐는 樻也ㅣ니 腫節이 似扶老하야 可爲杖者也ㅣ라
攘, 剔은 謂穿剔去其繁冗하야 使成長也ㅣ라
檿은 山桑也ㅣ니 與柘皆美材라 可爲弓榦이오 又可蠶也ㅣ라
明德은 謂明德之君이니 卽大王也ㅣ라 串夷載路는 未詳이라 或이 曰串夷는 卽混夷요 載路는 謂滿路而去니 所謂混夷駾矣者也ㅣ라 配는 賢妃也ㅣ니 謂大姜이라

○부라.

작은 뽑아 일으킴이고, 병은 제거함이라. 치는 나무가 서서 죽은 것이고, 예는 스스로 쓰러진 것이라.

어떤 이는 가로대 작은 나무가 덮이고 빽빽하여 가려진 것이라 하니라. 수와 평은 다 다스려서 빽빽한 것은 성기게 하고 바름과 곧음이 마땅함을 얻게 함이라.

관은 떨기로 나는 것이라. 례는 열을 지어 나온 것이라(항생, 곧 가지가 늘어진 것이라). 계와 벽은 풀을 깎아 제거함이라. 정은 하수의 버들(능수버들)이니, 버드나무와 같고, 붉은 색이며 하수의 가에서 남이라.

거는 가물태나무니 마디가 불어나 부로나무와 같은 것이니 지팡이를 만들 수 있는 것이라. 양

과 척은 번성하여 덮인 것을 뚫고 갈겨내고 제거하여 성장하게 함이라.

염은 산뽕나무이니 구지뽕나무와 더불어 다 아름다운 재질이라. 활 통을 만들 수 있고, (잎사귀는) 누에를 칠 수 있음이라.

명덕은 명덕의 인군을 이름이니 곧 태왕이라. 관이재로는 자세하지 못하니라. 어떤 이는 가로대 관이는 곧 곤이고, 재로는 길 가득히 감을 이름이니 곤이가 말타고 도망치는 것을 말한 것이라. 배는 어진 배필이니 태강을 이름이라.

 

○此章은 言大王이 遷於岐周之事니 蓋岐周之地는 本皆山林險阻하야 無人之境이오 而近於昆夷어늘 大王이 居之에 人物이 漸盛하니 然後에 漸次開闢如此라
乃上帝가 遷此明德之君하야 使居其地하야 而昆夷遠遁하고 天又爲之立賢妃以助之라
是以로 受命堅固하야 而卒成王業也ㅣ라

 

○이 장은 태왕이 기주로 옮긴 일을 말함이니, 대개 기주의 땅은 본래 다 산림이 험하게 막혀서 사람이 없는 경계가 되고 곤이와 가깝더니 태왕이 거처함에 인물이 점차 성해지니 그런 뒤에야 점차 개벽함이 이와 같으니라.

이에 상제가 이 명덕한 인군을 옮겨서 그 땅에 거처하게 하여 곤이가 멀리로 도망가고 하늘이 또한 어진 배필로써 돕게 하셨느니라.

이로써 명을 받음이 단단하여 마침내 왕업을 이룸이라.

斃 : 쓰러질 폐 樻 : 가물태나무 궤 冗 : 쓸데없을 용, 덮을 용

(3장)

帝省其山하시니
(제성기산하시니
柞棫斯拔하며 松柏斯兌어늘
작역사패하며 송백사태어늘
帝作邦作對하시니 自大伯王季샷다
제작방작대하시니 자대백왕계샷다
維此王季ㅣ 유차왕계ㅣ
因心則友하사 則友其兄하사
인심칙우하사 칙우기형하사
則篤其慶하사 載錫之光하시니
칙독기경(강)하사 재석지광하시니
受祿無喪하야 奄有四方이삿다

수록무상하야 엄유사방이삿다 賦也ㅣ라)

상제가 그 산을 살펴보시니
갈참나무와 떡갈나무가 뻗어 올라가며 소나무와 잣나무 사이로 길이 통하거늘
상제가 나라를 만들고 담당할 자를 지으시니 태백과 왕계로부터 하셨다.
오직 이 왕계가
마음으로부터 우애하사 그 형을 우애하사
그 경사를 돈독히 하사 영광을 형에게 주시니
복을 받음이 상함이 없어서 문득 사방을 두셨다.

 

○賦也ㅣ라
拔, 兌는 見緜篇하니 此亦言其山林之間에 道路通也ㅣ라 對는 猶當也ㅣ니 作對는 言擇其可當此國者하야 以君之也ㅣ라
大伯은 大王之長子요 王季는 大王之少子也ㅣ라 因心은 非勉强也ㅣ라 善兄弟曰友라 兄은 謂大伯也ㅣ라 篤은 厚요 載는 則也ㅣ라 奄字之義는 在忽遂之間이라
○言帝省其山하야 而見其木拔道通하니 則知民之歸之者ㅣ 益衆矣라
於是에 旣作之邦하고 又與之賢君하야 以嗣其業하니 蓋自其初生大伯王季之時而已定矣라 於是에 大伯이 見王季生文王하고 又知天命之有在라 故로 適吳不反이러니 大王이 沒而國傳於王季하고 及文王而周道大興也ㅣ라
然이나 以大伯而避王季면 則王季ㅣ 疑於不友라 故로 又特言王季하니 所以友其兄者는 乃因其心之自然이오 而無待於勉强이라
旣受大伯之讓이면 則益修其德하야 以厚周家之慶하고 而與其兄以讓德之光하니 猶曰彰其知人之明이오 不爲徒讓耳라 其德이 如是故로 能受天祿而不失하야 至于文武而奄有四方也ㅣ라


○부라.

태와 태는 면편에 나타나니 이 또한 그 산림 사이에 도로를 통하게 함이라. 대는 담당함과 같으니 작대는 그 이 나라를 맡을 수 있는 자를 가려서 인군으로 삼음이라.

태백은 태왕의 장자이고, 왕계는 태왕의 소자라. 마음에서 인함은 어거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형제간에 잘 지내는 것을 우애라 하니라. 형은 태백이라. 독은 두터움이고, 재는 ‘곧 즉’이라. 엄이라는 글자의 뜻은 문득과 드디어의 사이에 있음이라.

○상제가 그 산을 살펴서 그 나무가 뻗어 올라가 길이 통함을 보았으니 백성이 돌아가는 자가 더욱 많음을 알았느니라.

이때에 이미 나라를 짓고 또 어진 인군에게 주어서 그 업을 잇게 하니 대개 그 처음 태백과 왕계를 낳은 때로부터 이미 정했음이라. 이에 태백이 왕계가 문왕을 낳는 것을 보고 또 천명이 있는 것을 알았음이라.

그러므로 오나라로 가서 돌아오지 않더니 태왕이 죽고 나라가 왕계에게 이어지고, 문왕에 이르러서는 주나라의 도가 크게 일어남이라.

그러나 태백이 왕계를 피하였다면 왕계가 우애를 못했다고 의심받으니라. 그러므로 또한 특별히 왕계를 말했으니 그 형에게 우애한 것은 이에 그 마음이 자연한 것에서 인한 것이고, 억지로 힘쓴 것을 기다린 것이 아니니라.

이미 태백이 사양한 것을 받았다면 더욱 그 덕을 닦아서 주나라의 경사를 두텁게 하고, 그 형에게 사양한 덕의 빛으로써 주니(돌리니) 오히려 그 사람 아는 것이 밝음을 드러낸 것이고, 한갓 사양만 한 것이 아니니라. 그 덕이 이와 같으므로 능히 하늘의 복을 받아 잃지 아니해서 문왕과 무왕에 이르러 문득 사방을 두었느니라.

(4장)

維此王季를 帝度其心하시고
(유차왕계를 제탁기심하시고
貊其德音하시니 其德克明이삿다
맥기덕음하시니 기덕극명이삿다
克明克類하시며 克長克君하시며
극명극류하시며 극장극군하시며
王此大邦하사 克順克比러시니
왕차대방하사 극순극비러시니
比于文王하사 其德靡悔하시니
비우문왕하사 기덕미회하시니
旣受帝祉하사 施于孫子ㅣ삿다
기수제지하사 이우손자(지)ㅣ삿다 賦也ㅣ라)

 

오직 이 왕계를 상제가 그 마음을 헤아리시고,
그 덕음을 청정하게 하시니 그 덕이 능히 밝으셨도다.
능히 시비를 살피고 능히 선악을 분별하시며 능히 어른이시고 능히 인군이시며
이 큰 나라의 왕노릇을 하사 능히 순하고 능히 친하시니 문왕에 이르러 그 덕에 유한이 없으시니
이미 상제의 복을 받으사 자손에게 뻗치셨도다.

 


○賦也ㅣ라 度은 能度物制義也ㅣ라 貊은 春秋傳樂記에 皆作莫이니 謂其莫然淸靜也ㅣ라 克明은 能察是非也ㅣ오 克類는 能分善惡也ㅣ라 克長은 敎誨不倦也ㅣ오 克君은 賞慶刑威也ㅣ니 言其賞不僭이라 故로 人以爲慶하고 刑不濫이라 故로 人以爲威也ㅣ라 順은 慈和徧服也ㅣ오 比는 上下相親也ㅣ라 比于는 至于也ㅣ라 悔는 遺恨也ㅣ라
○言上帝制王季之心하야 使有尺寸能度義라 又淸靜其德音하야 使無非間之言이라 是以로 王季之德이 能此六者하고 至於文王하야는 而其德尤無遺恨이라 是以로 旣受上帝之福하야 而延及于子孫也ㅣ라

○부라.

탁은 능히 사물을 헤아려 의를 마름질함이라. 맥은 『춘추전』과 (『예기』의) 「악기」에 모두 ‘고요할 맥’이라 지었으니 그 고요하면서 맑고 조용함을 이름이라. 극명은 능히 시비를 살피는 것이고, 극류는 능히 선악을 분별하는 것이라. 극장은 가르침을 게을리하지 않는 것이고, 극군은 상으로 축하하고, 형벌로 위엄있게 하니 그 상이 어긋나지 않음이라. 그러므로 사람들이 경사로 여기고, 형벌이 남용되지 않느니라. 그러므로 사람들이 위엄으로 여기니라. 순은 사랑과 화함으로 두루 복종하고, 비는 상하가 서로 친함이라. 비우는 지우라. 회는 남은 한이라.

○상제께서 왕계의 마음을 헤아려 척촌(법도)을 두어 능히 의리를 헤아림이라. 또 그 덕음을 청정하게 하여 비난하고 이간질하는 말이 없게 함이라. 이로써 왕계의 덕이 이 여섯 가지(克明, 克類, 克長, 克君, 克順, 克比)에 능하였고, 문왕에 이르러서는 그 덕이 더욱 유한이 없게 되었음이라. 이로써 이미 상제의 복을 받아 뻗어서 자손에게 미침이라.

(5장)

帝謂文王하사대 無然畔援하며
(제위문왕하사대 무연반원하며
無然歆羨하야 誕先登于岸이라하시다
무연흠선하야 탄선등우안이라하시다
密人不恭이라 敢距大邦하야
밀인불공이라 감거대방하야
侵阮徂共이어늘 王赫斯怒하사
침완조공이어늘 왕혁사노하사
爰整其旅하사 以按徂旅하사
원정기려하사 이알조려하사
以篤于周祜하사 以對于天下하시니라

이독우주호하사 이대우천하하(호)시니라 賦也ㅣ라)

상제가 문왕에게 이르시되 그렇게 이것을 버리고 저것을 취하지 말며,
그렇게 흠모하고 부러워하지 말아 크게 먼저 높은 경지에 오르라 하시다.
밀인이 공순하지 않느니라. 감히 큰 나라를 막아서
완나라를 침노하여 공땅에 가거늘 왕이 크게 이에 노하사
이에 그 군대를 정돈하시어 가는 군대를 막아서
주나라 복을 돈독히 하여서 천하에 보답하시니라.



按 : 누를 안, 여기서는 ‘막을 알’


○賦也ㅣ라
帝謂文王은 設爲天命文王之詞니 如下所言也ㅣ라 無然은 猶言不可如此也ㅣ라 畔은 離畔也ㅣ오 援은 攀援也ㅣ니 言舍此而取彼也ㅣ라 歆은 欲之動也ㅣ오 羨은 愛慕也ㅣ니 言肆情以徇物也ㅣ라 岸은 道之極至處也ㅣ라 密은 密須氏也ㅣ오 姞姓之國이니 在今寧州하니라 阮은 國名이니 在今涇州하니라 徂는 往也ㅣ라 共은 阮國之地名이니 今涇州之共池가 是也ㅣ라 其旅는 周師也ㅣ라 按은 遏也ㅣ라 徂旅는 密師之往共者也ㅣ라 祜는 福이오 對는 答也ㅣ라
○人心有所畔援하고 有所歆羨이면 則溺於人欲之流하야 而不能以自濟하나니 文王이 無是二者라 故로 獨能先知先覺하야 以造道之極至하니 蓋天實命之요 而非人力之所及也ㅣ라 是以로 密人이 不恭하야 敢違其命하야 而擅興師旅하야 以侵阮而往至于共일새 則赫怒整兵하야 而往遏其衆하야 以厚周家之福하야 而答天下之心하시니 蓋亦因其可怒而怒之요 初未嘗有所畔援歆羨也ㅣ라 此는 文王征伐之始也ㅣ라

○부라.

상제가 문왕에게 이름은 하늘이 문왕에게 명한 말로 가설한 것이니 아래에 말한 것과 같으니라. 무연은 가히 이와 같아서는 아니된다는 말과 같음이라. 반은 이반이고, 원은 잡는 것이니 이것을 버리고 저것을 취함을 말함이라. 흠은 욕심이 동함이고, 선은 애모함이니 감정을 베풀어서 물건을 따름이라(내적인 참된 정이 방자히 베풀어져서 밖의 물건을 따름이라). 안은 도의 지극한 곳이라. 밀은 밀수씨이고, 길성의 나라이니 지금의 영주에 있느니라. 완은 나라 이름이니 지금의 경주에 있느니라. 조는 감이라. 공은 완국의 땅이름이니 지금 경주의 공지가 이것이라. 기려는 주나라 군사라. 알은 막음이라. 조려는 밀나라 군사가 공땅으로 가는 것이라. 호는 복이고, 대는 대답함이라.

○인심이 반원하는 바가 있고, 흠선하는 바가 있으면 인욕의 흐름에 빠져서 능히 스스로 건너지 못하니 문왕은 이 두 가지가 없느니라. 그러므로 홀로 능히 먼저 알고 먼저 깨달아서 도의 지극한 곳에 나아가니 대개 하늘이 실로 명한 것이고, 인력의 미치는 바가(억지로 되는 것이) 아니니라. 이로써 밀인이 공손하지 아니하여 감히 그 명을 어겨서 멋대로 군사를 일으켜 완나라를 침략하려고 공땅에 이르렀을 때 크게 노하여 병사를 정돈하여 가서 그 무리를 막아서 주나라의 복을 두텁게 하여 천하의 마음에 보답하셨으니 대개 또한 그 가히 노여워할만한 것으로 노한 것이고, 처음부터 일찍이 반원하고 흠선하는 바가 있지 아니했느니라. 이것은 문왕이 정벌한 처음이라.

攀 : 잡을 반

(6장)

依其在京이어시늘 侵自阮疆하야
(의기재경이어시늘 침자완강하야
陟我高岡하니 無矢我陵이라
척아고강하니 무시아능이라
我陵我阿ㅣ며 無飮我泉이라
아능아아ㅣ며 무음아천이라
我泉我池어늘 度其鮮原하사
아천아지어늘 탁기선원하사
居岐之陽하야 在渭之將하시니
거기지양하야 재위지장하시니
萬邦之方이며 下民之王이삿다

만방지방이며 하민지왕이삿다 賦也ㅣ라)

편안히 서울에 계시거늘 완나라 국경으로부터 침략하여
우리 높은 뫼에 오르니 우리 능선에 진을 치는 자가 없느니라.
우리 능선이고 우리 언덕이며, 우리 샘물을 마시는 이가 없느니라.
우리 샘이고, 우리 못이어늘 그 좋은 언덕을 헤아리사
기산의 양지쪽에 거하여 위수 곁에 계시니
만방의 바람이며 하민의 왕이셨도다.

 


○賦也ㅣ라 依는 安貌라 京은 周京也ㅣ라 矢는 陳이오 鮮은 善이오 將은 側이오 方은 鄕也ㅣ라
○言文王이 安然在周之京이어시늘 而所整之兵이 旣遏密人하고 遂從阮疆而出以侵密하니 所陟之岡이 卽爲我岡而人無敢陳兵於陵, 飮水於泉하야 以拒我也ㅣ라 於是에 相其高原而徙都焉하니 所謂程邑也ㅣ라 其地는 於漢에 爲扶風安陵하니 今在京兆府咸陽縣하니라

○부라.

의는 편안한 모양이라. 경은 주나라 서울이라. 시는 진을 침이고, 선은 좋음이고, 장은 옆이고, 방은 향(嚮)함이라.

○문왕이 편안히 주나라 서울에 계시거늘 정돈된 군사가 이미 밀인을 막았고, 마침내 완나라의 국경을 따라서 나가서 밀나라를 침략하니, 올라간 바의 산이 곧 우리 산이 되었고, 사람들이 감히 (우리) 능선에 진을 치고 샘물을 마셔서 우리를 막는 이가 없느니라. 이에 그 높은 언덕을 점쳐서 도읍을 옮기니 이른바 정읍이라. 그 땅은 한나라 때에 부풍 안릉이 되었으니 지금 경조부 함양현에 있느니라.

(7장)

帝謂文王하사대
(제위문왕하사대
予懷明德의 不大聲以色하며
여회명덕의 불대성이색하며
不長夏以革하고 不識不知하야
불장하이혁하고 불식부지하야
順帝之則이라하시다
순제지칙이라하시다
帝謂文王하사대
제위문왕하사대
詢爾仇方하야 同爾兄弟하야
순이구방하야 동이형제하야
以爾鉤援과 與爾臨衝으로
이이구원과 여이임충으로
以伐崇墉이라하시다

이벌숭용이라하시다 賦也ㅣ라)

 

상제가 문왕에게 이르시되
내가 밝은 덕의 소리와 색을 대단히 여기지 아니하며,
꾸밈과 고침을 훌륭하게 여기지 아니하고, 알려고도 하지 않고 알지도 못하여
상제의 법칙에 순한다 하시다.
상제가 문왕에게 이르시되
네 원수 나라에게 물어서 네 형제와 한가지로 하여
네 구원과 네 임충으로써
숭나라의 성을 치라 하시다.



[참조]
予懷明德의 不大聲以色은 『중용』 마지막 장인 33장의 마지막 글귀로 다음과 같이 인용되었다.

“詩云 予懷明德의 不大聲以色이라 하야날 子ㅣ曰 聲色之於以化民애 末也ㅣ라 하시니라

詩云德輶如毛ㅣ라 하니 毛猶有倫이어니와 上天之載ㅣ 無聲無臭아 至矣니라”


○賦也ㅣ라
予는 設爲上帝之自稱也ㅣ라 懷는 眷念也ㅣ라 明德은 文王之明德也ㅣ라 以는 猶與也ㅣ라 夏革은 未詳이라 則은 法也ㅣ라 仇方은 讐國也ㅣ오 兄弟는 與國也ㅣ라 鉤援은 鉤梯也ㅣ니 所以鉤引上城이니 所謂雲梯者也ㅣ라 臨은 臨車也ㅣ니 在上臨下者也ㅣ오 衝은 衝車也ㅣ니 從旁衝突者也ㅣ니 皆攻城之具也ㅣ라 崇은 國名이니 在今京兆府鄠縣하니라 墉은 城也ㅣ라
史記에 崇侯虎讒西伯於紂한대 紂囚西伯於羑里어늘 西伯之臣閎夭之徒ㅣ 求美女奇物善馬以獻紂하니 紂乃赦西伯하고 賜之弓矢鈇鉞하야 得專征伐曰譖西伯者는 崇侯虎也ㅣ라하니라 西伯歸三年에 伐崇侯虎而作豊邑하니라
○言上帝眷念文王하사 而言其德之深微하야 不暴著其形迹하고 又能不作聰明하야 以循天理라 故로 又命之以伐崇也ㅣ라 呂氏曰此는 言文王이 德不形而功無迹하야 與天同體而已니 雖興兵以伐崇이나 莫非順帝之則이오 而非我也ㅣ라

○부라.

여는 상제가 자칭한 것으로 가설함이라. 회는 돌아보고 생각함이라. 명덕은 문왕의 밝은 덕이라. 이는 ‘더불 여’와 같으니라. 하와 혁은 미상이라. 칙은 법이라. 구방은 원수의 나라이고, 형제는 동맹국이라. 구원은 구제니, 갈고리를 걸어서 성위로 끌어 올리는 것이니 이른바 운제라는 것이라. 임은 임거니, 위에서 있으면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것이고, 충은 충거니, 옆에서부터 충돌하는 것이니, 다 성을 공격하는 기구라. 숭은 나라 이름이니 지금 경조부 호현에 있느니라. 용은 성이라.

『사기』(「周本紀」)에 “숭후인 호가 서백을 주에게 참소하니까 주가 서백을 유리에 가두거늘 서백의 신하인 굉요의 무리가 미녀와 신기한 물건과 좋은 말을 구하여 주에게 바치니 주가 이에 서백을 풀어주고 궁시와 부월을 주어 전적으로 정벌을 하도록 하면서 말하기를 ‘서백을 참소한 자는 숭후 호라’하니라. 서백이 돌아온 지 3년에 숭후 호를 치고 풍읍을 만들었느니라.”

○상제가 문왕을 돌아보며 생각하시어‘그 덕이 깊고 은미하여 그 형체와 자취가 드러나거나 나타나지 않고 또 능히 총명을 쓰지 않고서 순리를 따르느니라. 그러므로 또 명하여 숭나라를 치게 하였다’고 말씀하심이라. 여씨 가로대 이것은 문왕이 덕이 형체가 없고 공이 자치가 없어서 하늘과 더불어 체를 같이할 뿐이니 비록 병사를 일으켜 숭나라를 쳤으나 상제의 법칙에 순하지 아니함이 없고 자신이 한 것이 아니니라.

(8장)

臨衝閑閑하니 崇墉言言이로다
(임충한한하니 숭용언언이로다
執訊連連하며 攸馘安安이로다
집신연연하며 유괵안안이로다
是類是禡하야 是致是附하시니
시류시마하야 시치시부하시니
四方以無侮ㅣ로다
사방이무모ㅣ로다
臨衝茀茀하니 崇墉仡仡이로다
임충불불하니 숭용얼얼이로다
是伐是肆하며 是絶是忽하시니
시벌시사하며 시절시홀하시니
四方以無拂이로다

사방이무불이로다 賦也ㅣ라)

 

임거와 충거가 느릿느릿하니 숭나라 성이 높고 크도다.
신문할 자를 계속 잡으며, 귀를 베는 것이 경솔하지 아니하도다.
이에 유제사와 이에 마제사를 지내어 이에 이르게 하고 이에 따르게 하시니
사방이 업신여김이 없도다.
임거와 충거가 강성하니 숭나라 성이 견고하도다.
이에 정벌하고 이에 군사를 베풀며 이에 끊고 이에 멸망시키니
사방이 어기는 이가 없도다.



仡 : 날랠 흘, 여기서는 ‘얼(魚乞反)’ 馘 : 벨 괵 禡 : 군대를 진주시킨 곳에서 軍神에게 지내는 제사 마, 馬上祭


○賦也ㅣ라
閑閑은 徐緩也ㅣ오 言言은 高大也ㅣ라 連連은 屬續狀이라 馘은 割耳也ㅣ니 軍法에 獲者不服則殺而獻其左耳라 安安은 不輕暴也ㅣ라 類는 將出師에 祭上帝也ㅣ오 禡는 至所征之地하야 而祭始造軍法者ㅣ니 謂黃帝及蚩尤也ㅣ라 致는 致其至也ㅣ오 附는 使之來附也ㅣ라 茀茀은 强盛貌요 仡仡은 堅壯貌라 肆는 縱兵也ㅣ라 忽은 滅이오 拂은 戾也ㅣ라 春秋傳에 曰文王伐崇에 三旬不降이어늘 退修敎而復伐之하니 因壘而降이라하니라
○言文王伐崇之初에 緩攻徐戰하고 告祀群神하야 以致附來者而四方無不畏服이오 及終不服하야는 則縱兵以滅之하야 而四方無不順從也ㅣ라 夫始攻之緩은 戰之徐也ㅣ니 非力不足也ㅣ오 非示之弱也ㅣ라 將以致附而全之也ㅣ며 及其終不下而肆之也엔 則天誅를 不可以留요 而罪人을 不可以不得故也ㅣ니 此는 所謂文王之師也ㅣ라 (皇矣八章이라)

○부라.

한한은 느릿느릿함이고, 언언은 높고 큼이라. 연연은 연속하는 형상이라. 괵은 귀를 베임이니, 군법에 잡혀온 자가 항복하지 아니하면 죽여서 그 왼쪽 귀를 베에 바침이라. 안안은 경솔하고 포악하게 하지 않음이라. 류는 장차 군사가 나감에 상제께 제사를 지냄이고, 마는 정벌하려는 땅에 이르러서 처음 군법을 지은 자에게 제사를 지냄이니 황제 및 치우를 이름이라. 치는 그 이르도록 함이고, 부는 하여금 와서 따름이라. 불불은 강성한 모양이고, 얼얼은 견고하고 웅장한 모양이라. 사는 군사를 풀음이라. 홀은 멸함이고, 불은 거스름이라. 『춘추전』에 이르기를 문왕이 숭을 침에 30일이 되도록 항복하지 않거늘 물러가 다시 훈련하고 가르쳐서 다시 정벌하니 성루로 인하여(성루 그 자리에서) 항복했다 하니라.

○문왕이 숭을 치는 처음에는 느릿느릿 치고 서서히 싸우고 여러 신명께 제사를 지내어, 와서 따르도록 이르게 하니 사방이 두려워 복종하지 않음이 없고, 마침내 항복하지 않는 자에 미치어서는 군사가 와서 멸망하여 사방이 순종하지 않는 이가 없었느니라. 무릇 처음 공격을 느리게 함은 전쟁을 느리게 하는 것이니 힘이 부족한 것이 아니고 약함을 보이려는 것이 아니니라. (싸우지 않고도) 장차 따르도록 하여 온전히 하려는 것이며 그 마침내 항복하지 아니하여 군사를 풀어놓는데에 미쳐서는 하늘의 베임을 가히 머무르게(멈추게) 하지 못하고 죄인은 가히 써 얻지(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니 이것은 이른바 문왕의 군사라. (황의8장이라)


皇矣八章 章十二句

 

一章二章은 言天命大王이오
三章四章은 言天命王季요
五章六章은 言天命文王伐密이오
七章八章은 言天命文王伐崇하니라

1장, 2장은 하늘이 문왕에게 명한 것을 말하였고,

3장과 4장은 하늘이 왕계에게 명한 것을 말하였고,

5장과 6장은 하늘이 문왕이 밀나라를 치도록 명한 것을 말하였고,

7장과 8장은 하늘이 문왕에게 숭나라를 치도록 명한 것을 말하였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