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詩經

130 종남 /진풍

은인자중 2009. 12. 26. 15:16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222184

130 詩經-秦風-終南(종남)-종남산-


終南何有(종남하유) : 종남산에 무엇이 있나?
有條有梅(유조유매) : 산초나무와 매화나무 있지.
君子至止(군자지지) : 우리 님이 오시는데
錦衣狐裘(금의호구) : 비단옷에 여우갖옷 입으셨네.
顔如渥丹(안여악단) : 얼굴은 붉은 들이 듯 하니,
其君也哉(기군야재) : 진정 우리 임금이시네.

興이다. 終南은 산이름이니, 지금의 京兆府 남쪽에 있다. 條는 산가래나무이니, 거죽과 잎이 백색이요 재목의 결이 좋아서 車版 만들기에 좋다. 君子는 그 임금을 가리킨 것이다. 至止는 終南山 아래에 이름이다. 錦衣와 狐裘는 제후의 의복이니, 「玉藻」에 “임금은 狐白裘를 입고 錦衣로 덧입는다.”라 하였다. 渥은 담금이다. 其君也哉는 용모와 의복이 그 임금됨에 걸맞음을 말한 것이다. 이는 秦나라 사람들이 그 임금을 찬미한 말이니, 또한 「車鄰」 「駟䮕」의 뜻이다.

終南何有(종남하유) : 종남산에 무엇이 있나?
有紀有堂(유기유당) : 산버들나무와 아가위나무가 있지.
君子至止(군자지지) : 우리 님이 오시는데

黻衣繡裳(불의수상) : 불 무늬 저고리에 수놓은 바지 입으셨네.
佩玉將將(패옥장장) : 허리에 패옥 부딪히는 소리 잘강잘강
壽考不亡(수고불망) : 오래 사시고 죽지 않으시리라.

興이다. 紀는 산의 모퉁이이다. 堂은 산의 寬平한 곳이다. 黻의 형상은 亞이니 두 己字가 서로 마주본 것이다. 繡는 刺繡한 것이다. 將將은 佩玉소리이다. 壽考不忘이라는 것은 이 位에 居하며 이 의복을 입고서 長久하게 安寧하고자 함이다.


終南 二章이니, 章 六句이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진풍(秦風) 제5편 종남2장(終南二章)]

終南何有오 有條有梅로다 君子至止하시니 錦衣狐裘ㅣ샷다 顔如渥丹하시니 其君也哉샷다

(종남하유오 유조유매로다 군자지지하시니 금의호구ㅣ샷다 안여악단하시니 기군야재샷다 興也ㅣ라)
종남산에 무엇이 있는고. 가래나무가 있고 매화나무가 있도다. 군자가 이르시니 여우 갖옷에 비단옷을 덧입으셨도다. 얼굴이 붉고 윤기가 흐르시니 그 인군다우시다.

渥 : 윤기 흐를 악, 젖을 악

○興也ㅣ라 終南은 山名이니 在今京兆府南이라 條는 山楸也ㅣ니 皮葉白色이오 亦白材理好하야 宜爲車版이라 君子는 指其君也ㅣ라 至止는 至終南之下也ㅣ라 錦衣狐裘는 諸侯之服也라 玉藻에 曰君衣狐白裘하고 錦衣以裼之라 하니라 渥은 漬也ㅣ라 其君也哉는 言容貌衣服이 稱其爲君也ㅣ라 此는 秦人이 美其君之詞이고 亦車鄰駟驖之意也ㅣ라

○흥이라. 종남은 산 이름이니 지금 경조부의 남쪽에 있음이라. 조는 산가래나무니 껍질과 잎이 흰색이고, 또한 재목이 희고 결이 좋아 거판을 만드는데 마땅하니라. 군자는 그 인군을 가리킴이라. 지지는 종남산 아래에 이르름이라. 금의호구는 제후의 옷이라. (『禮記』) 옥조편에 가로대 인군이 호백구(여우의 흰 갖옷)을 입고 비단 옷으로써 덧입느니라 했느니라. 악은 젖음이라. 그 인군답다는 것은 용모와 의복이 그 인군됨에 걸맞다는 말이라. 이것은 진나라 사람이 그 인군을 아름다이 여긴 말이고 또한 거린장과 사철장의 뜻이라.

裼 : 껴입을 석

終南何有오 有紀有堂이로다 君子至止하시니 黻衣繡裳이샷다 佩玉將將하시니 壽考不忘이로다

(종남하유오 유기유당이로다 군자지지하시니 불의수상이샷다 패옥장장하시니 수고불망이로다 興也ㅣ라)
종남산에 무엇이 있는고. 모퉁이가 있고 평평한 곳이 있도다. 군자가 이르시니 보불옷에 수놓은 치마를 입으셨도다. 몸에 찬 옥이 쟁쟁하니 수고토록 잊지 못하리로다.

* 壽考 : 『서경』홍범구주에 나오는 五福으로 一曰壽…五曰考終命에서 나온 말이다. 오래 살다가 죽음을 잘 마치는 것을 말함

○興也ㅣ라 紀는 山之廉角也ㅣ라 堂은 山之寬平處也ㅣ라 黻之狀은 亞이 兩己相戾也라 繡는 刺繡也ㅣ라 將將은 佩玉聲也ㅣ라 壽考不忘者는 欲其居此位服此服하야 長久而安寧也ㅣ라

○흥이라. 기는 산의 모나고 뿔난 것(모퉁이)이라. 당은 산의 넓고 평평한 곳이라. 보불의 형상은 ‘버금 아(亞)’ 모양이 두 몸이 서로 거슬린 것이라(‘몸 己’ 자 두 개가 서로 거슬린 모양이라). 수는 수놓음이라. 장장은 패옥의 소리라. 수고토록 잊지 않는다는 것은 그 이 자리에 거하면서 이 옷을 입어서 장구토록 안녕함이라.

終南二章章六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