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詩經

075 치의 /정풍

은인자중 2009. 12. 19. 05:57


http://blog.naver.com/bhjang3/140039908521

075 詩經-鄭風-緇衣(치의)-검은 옷-


緇衣之宜兮(치의지의혜) : 검은 옷 너무 어울리네.
敝予又改爲兮(폐여우개위혜) : 해지면 내 다시 지어 드리지요.
適子之館兮(적자지관혜) : 그대 관청에 나가시는구려
還予授子之粲兮(환여수자지찬혜):돌아오시면내 음식 차려 올리지요.

賦이다. 緇는 黑色이니 緇衣는 卿·大夫가 私朝에 居할 때의 옷이다. 宜는 걸맞음이요, 改는 고침이요, 適은 감이요, 館은 집이다. 粲은 음식이니, 혹자는 “粲은 곡식을 깨끗하게 슳은 것이다.”라 하였다.

○ 舊說에 鄭桓公과 武公이 서로 이어서 周나라의 司徒가 되어 그 직책을 잘 수행하니 周나라 사람들이 사랑하였다. 그러므로, 이 詩를 지은 것이다. 말하자면, “그대가 緇衣를 입은 것이 매우 걸맞으니, 해지면 내 장차 그대를 위하여 다시 만들어 주리라. 또 장차 그대의 館舍에 가고, 이윽고 돌아와 또한 그대에게 음식을 주리라.”하였으니 좋아하기를 그치지 않음이다.

緇衣之好兮(치의지호혜) : 검은 옷 아주 좋아요
敝予又改造兮(폐여우개조혜):해지면 내 다시 만들어 드리지요

適子之館兮(적자지관혜) : 그대 관청에 나가시는구려
還予授子之粲兮(환여수자지찬혜):돌아오시면내 음식차려올리지요.

賦이다. 好는 宜와 같다.

緇衣之蓆兮(치의지석혜) : 검은 옷 아주 잘 어울리네.
敝予又改作兮(폐여우개작혜):해지면 내 다시 만들어 드리지요.
適子之館兮(적자지관혜) : 그대 관청에 나가시는구려
還予授子之粲兮(환여수자지찬혜):돌아오시면음식 차려올리지요.

賦이다. 蓆은 큼이다. 程子께서 말씀하셨다. “蓆에는 安舒하다는 뜻이 있으니 服飾이 그 德에 걸맞는다면 安舒한 것이다.”


緇衣 三章이니, 章 四句이다.


ꡔ禮記ꡕ에 이르기를, “賢人을 좋아하기를 「緇衣」와 같이 한다.”라 하였고, 또 말하기를 “「緇衣」에서 賢人을 좋아하기를 지극히 한 것을 보았다.”라 하였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鄭一之七
鄭은 邑名이니 本在西都畿內咸林之地라 宣王이 以封其弟友로 爲采地러니 後에 爲幽王司徒 而死於犬戎之難하니 是爲桓公이라 其子武公掘突이 定平王於東都하고 亦爲司徒하야 又得虢檜之地하야 乃徙其封而施舊號於新邑하니 是爲新鄭이라 咸林은 在今華州鄭縣이오 新鄭은 卽今之鄭州是也ㅣ라 其封域山川은 詳見檜風하니라
정은 고을 이름이니 본래는 서도의 기내인 함림 땅에 있었느니라. 선왕이 그 동생인 우를 봉하여서 채지를 삼더니 뒤에 유왕의 사도(교육담당)가 되어서 견융의 난에 죽었으니 이가 환공이 되니라. 그 아들인 무공 굴돌이 평왕을 동도에 정해놓고 또한 사도가 되어 괵의 회땅을 얻어서 이에 그 봉읍을 옮겨서 옛 국호를 신읍에 시행하니 이것이 신정이라. 함림은 지금의 화주 정현에 있고, 신정은 곧 지금의 정주가 이것이라. 그 경계를 봉한 산천은 회풍장에 자세히 나타나니라.

[정풍 제1편 치의3장(緇衣三章)]

緇衣之宜兮여 敝予又改爲兮호리라 適子之舘兮라 還予授子之粲兮호리라

(치의지의혜여 폐여우개위혜호리라 적자지관혜라 선여수자지찬혜호리라 賦也ㅣ라)
검은 옷이 걸맞으며, 헤지면 내 또한 고쳐 만들어 주리라. 그대가 여관에 가니라. 돌아가 내 그대에게 밥을 주리라.

○賦也ㅣ라 緇는 黑色이라 緇衣는 卿大夫居私朝之服也ㅣ라 宜는 稱이오 改는 更이오 適은 之舘舍라 粲은 餐也ㅣ니 或曰粲은 粟之精鑿者라 ○舊說에 鄭桓公武公이 相繼爲周司徒하야 善於其職일새 周人이 愛之라 故로 作是詩라 言子之服緇衣也ㅣ 甚宜여 敝則我將爲子更爲之호리라 且將適子之舘이어든 旣還而又授子以粲이라 하니 言好之無已也ㅣ라

○부라. 치는 검은 색이라. 치의는 경대부가 사사로이 조회할 때 입는 옷이라. 의는 맞춤이고, 개는 고침이고, 적은 여관에 감이라. 찬은 밥이니 혹이 가로대 찬은 곡식을 정하게 찧은 것이라. ○옛말에 정나라 환공과 무공이 서로 이어 주나라 사도가 되어서 그 직책을 잘 하였기에 주나라 사람들이 사랑하였느니라. 그러므로 이 시를 지었느니라. 그대가 검은 옷을 입음이 아주 걸맞구나. 떨어지면 내 장차 그대를 위하여 고쳐주리라. 또한 장차 그대가 여관으로 가거든 이미 돌아가서 또 그대에게 찬을 줄 것이라 했으니 좋아함이 마지않음을 말함이라.

緇衣之好兮여 敝予又改造兮호리라 適子之舘兮라 還予授子之粲兮호리라

(치의지호혜여 폐여우개조혜호리라 적자지관혜라 선여수자지찬혜호리라 賦也ㅣ라)
검은 옷이 좋음이여, 헤지면 내 또한 고쳐 지어주리라. 그대가 여관에 가니라. 돌아가 내 그대에게 밥을 주리라.

○賦也ㅣ라 好는 猶宜也ㅣ라

○부라. 호는 마땅함과 같으니라.

緇衣之蓆兮여 敝予又改作兮호리라 適子之舘兮라 還予授子之粲兮호리라

(치의지석혜여 폐여우개작혜호리라 적자지관혜라 선여수자지찬혜로리라 賦也ㅣ라)
치의의 큼이여, 떨어지거든 내 또한 고쳐서 만들어주리라. 그대가 여관에 가니라. 돌아가 내 그대에게 밥을 주리라.

○賦也ㅣ라 蓆은 大也ㅣ라 程子曰蓆有安舒之義니 服稱其德則安舒也ㅣ라 (緇衣三章이라)

○부라. 석은 큼이라. 정자 가로대 석은 편안하고 죽 편 뜻이니 입은 옷이 그 덕에 걸맞으면 안서하니라. (치의3장이라)

緇衣三章章四句
記曰好賢을 如緇衣라 하고 又曰於緇衣에 見好賢之至라 하니라
『예기』 (치의편)에 가로대 어짊을 좋아하는 것을 (『시경』 국풍편의) 치의장과 같다 하고, 또 가로대 치의장에서 어진 이를 좋아함의 지극함을 본다 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