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詩經

015 채빈 /소남

은인자중 2009. 11. 10. 10:22

http://blog.naver.com/bhjang3/140036931170

015 詩經-國風-召南-采蘋(채빈)-마름 따기

于以采蘋(우이채빈) 물에 뜬 마름 따네

南澗之濱(남간지빈) 남쪽 시내 물가에서.

于以采藻(우이채조) 뿌리 있는 마름 따네

于彼行潦(우피행료) 저 길가 웅덩이서.

賦이다. 蘋은 물 위의 浮萍草인데, 江東 사람들은 머굴리밥이라 말한다. 濱은 물가이다. 藻는 聚藻인데, 물밑에서 자라고 줄기는 비녀의 다리와 같으며 잎은 蓬蒿와 같다. 行潦는 흐르는 장마물이다. ○ 南國이 文王의 敎化를 입어 大夫의 妻가 능히 제사를 받드니 그 집안 사람이 그 일을 서술하여 찬미한 것이다.

于以盛之(우이성지) 마름을 따 담는다네

維筐及筥(유광급거) 모난 둥근 대그릇에.

于以湘之(우이상지) 마름을 데쳐내네

維錡及釜(유기급부) 작고 큰 솥에다가.

賦이다. 모난 것을 筐이라 하고 둥근 것을 筥라 한다. 湘은 삶음이니, 아마도 살짝 삶아서 담구어서 김치를 만드는 것이다. 錡는 솥의 등속이니 발이 있는 것을 錡라 하고 발이 없는 것을 釜라 한다. ○ 이는 또한 족히 그 順序에 떳떳함이 있어서 嚴敬하고 整飭한 뜻을 볼 수 있다.

于以奠之(우이전지) 마름을 갖다 두네

宗室下(종실유하) 종실 사당 창문 아래.

誰其尸之(수기시지) 누가 그 일 주관하나?

有齊季女(유재계녀) 경건한 새댁이네.

賦이다. 奠은 둠이다. 宗室은 大宗의 廟이니 大夫·士는 宗室에서 제사한다. 牖下는 室 西南쪽의 모서리이니, 이른바 奧이다. 尸는 주인이다. 齊는 공경함이요, 季는 작음이다. 祭祀의 禮는 주부가 豆를 천신하는 것을 주로 하니 실지로 김치와 육장이다. 나이가 적은데도 능히 공경하니 더욱 그 바탕이 아름다워서 교화의 所從來가 심원함을 볼 수 있다.


采蘋 三章이니, 章 四句이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소남 제4편 채빈3장(采蘋三章)]

于以采蘋이 南澗之濱이로다 于以采藻ㅣ 于彼行潦ㅣ로다

(우이채빈이 남간지빈이로다 우이채조ㅣ 우피행료ㅣ로다 賦也ㅣ라)
이에 써 마름을 뜯음이 남쪽 시내물가에서 하도다. 이에 써 마름을 뜯음이 저 흐르는 도랑에서 하도다.

*** 澗 : 원문은 氵+閒으로 되어 있으나 홈피에 글자가 지원되지 않아 같은 뜻의 澗으로 대신 표기합니다. 蘋 : 가라앉는 마름 빈, 네가래 빈, 개구리밥 빈 藻 : 뜨는 마름 조, 바닷말 조

○賦也ㅣ라 蘋은 水上浮萍也ㅣ니 江東人은 謂之䕯라 濱은 厓也ㅣ라 藻는 聚藻也ㅣ니 生水底하야 莖如釵股하고 葉如蓬蒿라 行潦는 流潦也ㅣ라 ○南國이 被文王之化하야 大夫妻ㅣ 能奉祭祀하니 而其家人이 敍其事以美之也ㅣ라

○부라. 빈은 물 위에 뜨는 부평초니 강동 사람들은 개구리밥이라 하니라. 빈은 물가라. 조는 취조이니 물가에서 나와서 줄기가 비녀다리와 같고 잎은 다북쑥과 같으니라. 행료는 흐르는 도랑이라. ○남국이 문왕의 덕화를 입어서 대부의 처가 능히 제사를 받드니 그 집사람이 그 일을 서술하여 써 아름다이 여기니라.

萍 : 부평초 평, 개구리밥 평 䕯 : 개구리밥 표 釵 : 비녀 차(채)

于以盛之ㅣ 維筐及筥ㅣ로다 于以湘之ㅣ 維錡及釜ㅣ로다

(우이성지ㅣ 유광급게로다 우이상지ㅣ 유기급부ㅣ로다 賦也ㅣ라)
이에 써 담음이 광과 거로다. 이에 써 삶음이 기와 부에 하도다.

筥 : 광주리 거 錡 : 세발 솥 기

○賦也ㅣ라 方曰筐이오 圓曰筥라 湘은 烹也ㅣ니 蓋粗熟而淹以爲葅也ㅣ라 錡는 釜屬이니 有足曰錡요 無足曰釜ㅣ라 ○此는 足以見其循序有常하고 嚴敬整飭之意라

○부라. 모난 것을 가로대 광이오, 둥근 것을 가로대 거라. 상은 삶음이니, 대개 대강 익혀서 담가서 써 김치를 만드니라. 기는 솥 등속이니 발이 있는 것을 가로대 기요, 발이 없는 것을 가로대 부라. ○이는 족히 써 그 순서가 떳떳함이 있고, 엄숙하고 공경하고 정숙하고 신칙하는 뜻을 볼 수 있느니라.

淹 : 담글 엄 葅 : 김치 저, 채소절임 저

共ㅾ椿驍?宗室牖下ㅣ로다 誰其尸之오 有齊季女ㅣ로다

(우이전지ㅣ 종실유해로다 수기시지오 유제계녀ㅣ로다 賦也ㅣ라)
이에 써 둠이 사당 창문 아래로다. 누가 그 맡았는고. 공경스러운 젊은 여자로다.

○賦也ㅣ라 奠는 置也ㅣ라 宗室은 大宗之廟也ㅣ라 大夫士ㅣ 祭於宗室이라 牖下는 室西南隅니 所謂奧也ㅣ라 尸는 主也ㅣ라 齊는 敬이오 季는 少也ㅣ라 祭祀之禮에 主婦ㅣ 主薦豆하야 實以葅醢라 少而能敬하니 尤見其質之美而化之所從來者ㅣ 遠矣라 (采蘋三章이라)

○부라. 전은 둠이라. 종실은 대종의 사당이라. 대부와 선비가 종실에서 제사지내니라. 유하는 방 서남 귀퉁이니 이른바 아랫목이라. 시는 주장함이라. 제는 공경함이고, 계는 젊음이라. 제사의 예에 주부가 천신(薦新)하는 제기를 맡아 김치와 젓으로써 채우니라. 젊은데도 능히 공경하니 더욱 그 바탕이 아름답고, 덕화의 좇아온 바가 멂을(문왕의 덕화가 멀리까지 갔음을) 보니라. (채빈3장이라)

醢 : 젓갈 해

采蘋三章章四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