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4607?category=1425252

 

<서경>(99)상서(商書)(47)고종융일(高宗肜日)(1) 고종의 융제 때 꿩이 날아와 울었다.

             <서경(書經)>(99) 상서(商書)(47)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제15편 高宗肜日(고종융일)(1)

   ‘고종은 무정의 시호이고, 융(肜)은 제사를 지낸 다음 날에 또 지내는 제사의 이름이다.

융일(肜日)은 융제(肜祭)를 지내던 날이란 뜻이다.

이글은 예전에는 고종이 탕왕을 제사지낼 때 조기(祖己)라는 신하가    고종에게 간한 말이라고 하였으나,

근대에 이르러 갑골문이 점차 많이 발굴이되고 고증(考證)이 활발해   지자, 이 설(說)이 부인되었다.

곧 갑골문에서도 융제(肜祭)에 대한 기록이 많이보이는데,

융일(肜日)이   란 말 위에 반드시 제사를 받는 사람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따라서 무정의 아들인 조경(祖庚)이 즉위하여 그의 부친인 고종에게 이 융제(肜祭)를 지내던 날,

조기가 조경에게 간언했던 말 이라고 보는 것이 보다 타당한 듯이 보인다.

 이 편은 <위고문상서>와 <금문상서> 모두에 수록이 되어 있다.     

 

[1] 고종의 융제 때 꿩이 날아와 울었다.  

 

   高宗肜日 越有雊雉

  (고종융일) (월유구치)

   고종의 융제를 지내던 날에, 꿩이 날아 와서 울었다.

 

   祖己曰

(조기왈) : 조기(祖己)가 말하였다.

   惟先格王

(유선격왕)    "옛날 도(道)에 달한 선왕들은 이변이 있으면 먼저,

   正厥事

(정궐사)    그 행위를 바로 잡았다"

   乃訓于王曰

(내훈우왕왈)  이어 그는 왕에게 간하여 말했다.

   惟天監下民 典厥義

(유천감하민) (전궐의)   "하늘이 아래로 백성들을 살피실 때에는, 정의로써 다스리셨습니다.

   降年有永有不永

(강년유영유불영)   수명을 내려 주심에 있어서도 그 의(義)에 따라서 길고 짧음이 있지만,

   非天夭民

(비천요민)    결코 하늘이 백성들을 요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民中絶命

(민중절명)    백성들의 마음이 명을 끊는 것입니다.

   民有不若德 不聽罪

  (민유불약덕)(불청죄)   백성들이 덕을 따르지 않고, 벌을 순순히 받지 않으면,

   天旣孚命正厥德

(천기부명정궐덕)    하늘이 곧 명을 내려 그 덕을 바로 잡도록 합니다.

   乃曰

(내왈) :  그런데 말하기를,

   其如台

(기여이)    ‘나를 어찌하랴’하고만 있습니다.

   嗚呼 王司敬民

(오호) (왕사경민)

   아아, 후사(後嗣)를 이은 왕은 공경하고 힘써야 합니다.

   罔非天胤

(망비천윤)    모든 선왕은 진실로 모두 다 천자(天子)이시니,

   典祀無豐于昵

(전사무풍우닐)   일반적인 제사에 부친의 사당만을 풍성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고종의 융제를 모실 때 그 제삿상에 꿩이 날아와서 울었다. 

이와같은 이변에 신하인 조기(祖己)가 왕에게 고하여 잘못된 점을 바로 잡도록 진언한 것이 곧 이편의 내용이다.

이글역시 고대의 천명사상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다.

이변이 일어나면 이를 하늘의 경고로보고 임금의 덕이 부족한 소치라고 하여 더욱 덕을 닦게 하는데,

조기 역시 제삿상에 꿩이 날아든것을 보고서 하늘의 경고라고 생각하여 임금인 조경(祖庚)에게 간언하였던 것이다.

조경은 재위 59년 만에 돌아가신 무정의 뒤를 이은 임금인데, 재위 겨우 7년이었다.

원래 무정은 조경의 동생인 조갑(祖甲)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였으나,

조갑이 이를 불의라고 하여 멀리 달아나 버리자, 할 수 없이 조경이 왕위에 오르게 된 것이라고 한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606?category=1425252

 

<서경>(98)상서(商書)(46)열명하(說命下)(3) 다리와 팔이 있어야 사람이라고 할 수 있소.

             <서경(書經)>(98) 상서(商書)(46)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3] 다리와 팔이 있어야 사람이라고 할 수 있소.  

 

   王曰(왕왈) : 왕이 말하였다.

   嗚呼(오호) 說四海之內(열사해지내)

   "아아, 부열이여! 온 세상 사람들이,

   咸仰朕德(함앙짐덕) 時乃風(시내풍)

   모두 나의 덕을 우러러 보는 것은, 그대의 영향이로다.

   股肱惟人(고굉유인)

   다리와 팔이 있어야 사람이라고 할 수 있듯이,

   良臣惟聖(양신유성)

   어진 신하가 있어야 오직 성군(聖君)이 되는 것이오.

   昔先正保衡(석선정보형)

   옛날 선왕의 재상이었던 보형(保衡)은,

   作我先王(작아선왕) 

   乃曰(내왈)

   우리의 선왕을 일어나게 한 인물인데,

   乃曰(내왈)

   그가 말하기를,

   予弗克俾厥后惟堯舜(여불극비궐후유요순)

   ‘내가 우리 임금으로 하여금 요순(堯舜)과 같아지게 하지 못할 때에는,

   其心愧恥(기심괴치)

   그 마음의 부끄러움과 수치는,

   若撻于市(약달우시)

   저자에서 매를 맞는 것과도 같으리라’고 하였소.

   一夫不獲(일부불획)

   그리고 바르게 행동하지 못하는 사람이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則曰時予之辜(즉왈시여지고)

   말하기를, ‘이는 나의 과실이다’라고 하였소.

   佑我烈祖(우아렬조) 格于皇天(격우황천)

   그는 우리의 열조(烈祖)들 도와서, 황천에까지 알려지게 하였소.

   爾尙明保予(이상명보여)

   바라건대 그대는 나를 밝게 보호하여,

   罔俾阿衡(망비아형)

   아형(阿衡)을 우리 상나라에서,

   專美有商(전미유상)

   유일하게 미명(美名)을 얻은 사람으로 만들지 마시오.

   惟后非賢不乂(유후비현불예)

   왕은 오직 현인이 아니면 다스리지 못하고,

   惟賢非后不食(유현비후불식)

   현인은 오직 왕이 아니면 녹을 먹지 못하오.

   其爾克紹乃辟于先王(기이극소내벽우선왕)

   그대는 그대의 임금으로 하여금 선왕들의 뒤를 잇게 하여,

   永綏民(영수민)

   백성들을 영원히 편안하도록 하시오"

 

   說拜稽首曰(열배계수왈)

   부열은 머리를 조아려 절하고 아뢰었다.

   敢對揚天子之休命(감대양천자지휴명)

   "감히 천자의 훌륭하신 명에 보답하고

   반드시 이것을 베풀어 널리 떨치도록 하겠습니다"   

 

   *무정은 부열의 공을 치하한 후에, 상왕조를 창업하신 탕왕을 보좌하여 상왕조에서 유일무이하게 명성

    을 떨쳤던 아형인, 이윤(伊尹)에 못지 않은 명재상이 되어서 자기를 도와, 백성들을 만세토록 잘 살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청하자, 부열이 무정의 높은 뜻을 받들겠다고 대답한 것이 이글의 요지이다. 무정

    과 부열은 이와 같이 일심동체가 되어 나라를 훌륭히 잘 다스렸으며, 상왕조에서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치적들을 쌓았다고 한다. 무정은 재위 59년동안 내치(內治)에 힘썼을뿐만 아니라, 무공(武功) 또한 혁

    혁하였다. 그 첫째는 서북쪽의 귀방(鬼方)이라는 이족(夷族)을 물리친 공인데,귀방은 후일 서강(西羗:

    티벳족)의 한 부족으로 통하는 이민족이다. 이때 동원된 군사는 3만이며, 3년이란 시일을 소비하여 그

    들을 정복하였다. 둘째는 북쪽의 토방(土方)이란 이민족을 평정한 공이라 할 수 있다. 

 

 

惟斅學半(유효학반) : 가르침은 배움의 반

m.blog.daum.net/thddudgh7/16534605?category=1425252

 

<서경>(97)상서(商書)(45)열명하(說命下)(2) 가르침은 배움의 반이다(斅學半)

             <서경(書經)>(97) 상서(商書)(45)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2] 가르침은 배움의 반이다(斅學半)  

 

   說曰(열왈) : 부열이 말했다.

   王人求多聞(왕인구다문) 時惟建事(시유건사)

   "왕이시여! 사람이 많이 듣기를 원하면, 일을 이룩할 것이요,

   學于古訓(학우고훈) 乃有獲(내우획)

   옛 교훈을 배우면, 곧 얻는 바가 있을 것이오니,

   事不師古(사불사고) 以克永世(이극영세)

   옛 교훈을 스승으로 삼지 않고, 능히 영세토록 가문을 보전했다는 예를,

   匪說攸聞(비열유문)

   저는 아직 들은 적이 없습니다.

   惟學遜志(유학손지)

   오직 배움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 본래의 지향에 합치되는 것이니,

   務時敏(무시민) 厥修乃來(궐수내래)

   기민하게 학문에 힘쓰시면, 그 다음에 곧 결실이 맺어질 것입니다. 

   允懷于玆(윤회우자)

   참으로 이와 같이 뜻을 품고 있다면,

   道積于厥躬(도적우궐궁)

   그 몸에 크게 정도(正道)를 쌓으실 수 있습니다.

   惟斅學半(유효학반)

   가르침은 배움의 반이니,

   念終始典于學(염종시전우학)

   처음과 마지막을 마음에 두고 배움에 항상 힘쓰시면,

   厥德修罔覺(궐덕수망각)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덕(德)은 닦여질 것입니다.

   監于先王成憲(감우선왕성헌)

   선왕들께서 이룩하신 모범을 살펴 보시면,

   其永無愆(기영무건)

   길이 잘못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惟說式克欽承(유열식극흠승)

   이 부열은 임금을 공경하고 받들어,

   旁招俊乂(방초준예)

   널리 뛰어난 인재들을 불러서,

   列于庶位(열우서위)

   많은 관직에 나아 가도록 할 것입니다" 

 

   *이 절은 앞 절에서 나온 무정의 간곡한 당부에 대한 부열이 대답한 말이다. 그는 견문을 넓히고자 하는

    사람은 훌륭한 업적을 이룩할수 있다는 것과 옛 성현의 가르침을 배우면 얻는바가 있다는 것을 설명하

    고, 구체적으로 학문과 덕을 닦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선왕들을 본받으면 허물이 없을 것이니, 무정

    이 자기의 충고를 받아들고 행한다면 자신도 널리 인재들을 구하여 무정을 보좌하겠다고 하였다.

 

 

m.blog.daum.net/thddudgh7/16534604?category=1425252

 

<서경>(96)상서(商書)(44)열명하(說命下)(1) 국을 끓일 때 소금과 식초가 되어 주시오.

             <서경(書經)>(96) 상서(商書)(44)         상(商)나라 시대의 사적을 기록해둔 것이라고 하여 상서(商書)라 일컫게 되었는데, 상(商)은 성탕(成湯)   의 조상이 봉함을 받은 땅..

blog.daum.net

 

 

[1] 국을 끓일 때 소금과 식초가 되어 주시오.

 

   王曰(왕왈) : 왕이 말하였다.

   來汝說(내여설) 台小子舊學于甘盤(태소자구학우감반)

   "오라, 그대 부열이여!

    나는 옛날 감반(甘盤)에게서 배웠으나,

   旣乃遯于荒野(기내축우황야)

   곧 황량한 들에서 은둔 생활을 해야 했으며,

   入宅于河(입택우하)

   황하의 안쪽으로 들어가 살다가,

   自河徂亳(자하조박) 曁厥終罔顯(기궐종망현)

   황하로부터 박땅으로 가야 했으나, 끝내 뚜렷이 배운 자가 없었소,

   爾惟訓于朕志(이유훈우짐지)

   그대는 나의 뜻을 세우게 가르쳐 주어,

   若作酒醴(약작주례) 爾惟麴糵(이유국얼)

   술이나 단술을 빚을 때, 누룩이 되어 주시고,

   若作和羹(약작화갱) 爾惟鹽梅(이유염매)

   국을 끓일 때에, 소금과 식초가 되어 주시오.

   爾交修予(이교수여) 罔予棄(망여기)

   그대는 여러 가지로 이 몸이 배움을 닦게 하여, 이 몸을 버리지 마오,

   予惟克邁乃訓(여유극매내훈)

   이 몸은 능히 그대의 가르침을 실행할 것이오!"

   

 *무정은 이 절에서 자신의 스승이었던 감반에게서는 별로 배운 것이 없었으니,

  부열이 여러모로 자신을 잘 가르쳐 달라고 간곡히 부탁을 하는 대목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