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log.daum.net/thddudgh7/16535221?category=1425252

 

<서경>(204)주서(周書)(101)고명편(顧命篇)(7)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2)

             <서경(書經)>(204) 주서(周書)(101)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7]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2) 

  

   王再拜興(왕재배흥) 答曰(답왈)

   왕이 두 번 절하고 일어나서, 대답하기를,

   眇眇予末小子(묘묘여말소자) 其能而亂四方(기능이난사방) 

   "작디 작은 이 보잘것 없는 어린 사람이, 어찌 세상을 다스리어,

   以敬忌天威(이경기천위) 

   하늘의 위엄을 받들고 왕위를 잘 보전할 수 있을 지를

   두려워하는 경기(敬忌)를 하지 않겠습니까?"

   乃受同瑁(내수동모) 

   이에 구슬과 구슬덮개를 받고,

   王三宿三祭三咤(왕삼숙삼제삼타) 

   왕은 세 번 앞으로 나아가는 삼숙(三宿)을 하고 

   세 번 술잔을 올리는 삼제(三祭)를 올리고 

   잔을 세 번 올리고 물러나는 삼타(三咤)를 하였다.

   上宗曰(상종왈) 

   상종(上宗)인 태종(太宗)이 아뢰었다. 

   饗(향)

   "음복을 하십시오"

   太保受同(태보수동) 

   태보(太保)는 시중드는 사람인 종인(宗人)에게서 동(同)의 술잔을 받아 들고,

   降盥(강관) 以異同(이리동) 

   당(堂)에서 내려와 손을 씻고, 다른 술잔인 동(同)을 들고,

   秉璋以酢(병장이초) 

   작은 홀인 장(璋)을 잡고 반배(返杯)를 하고서, 

   授宗人同拜(수종인동배) 

   종인(宗人)에게 술잔인 동(同)을 주고 절하였다.

   王答拜(왕답배) 

   이에 왕도 답례하여 절하였다.

   太保受同(태보수동) 

   태보는 다시 술잔인 동(同)을 받아,

   祭嚌宅授宗人同(제제댁수종인동) 

   술을 올리고 술잔을 입에 적시고 동(同) 잔을 종인에게 주고 절하였다.

   拜王答拜(배왕답배) 

   임금도 답하여 절하였다.

   太保降收(태보강수) 

   태보가 당(堂)에서 내려오니 일보는 사람들이 모두 거두었다. 

   諸侯出廟門俟(제후출묘문사) 

   식이 끝난 후 제후는 묘문(廟門)을 나와 왕명을 기다렸다.  

 

   *태사(太史)가 읽기를 마치자 강왕(康王)이 재배하고 답례 하였다. 그리고 태종(太宗)에게서 술잔을 받

    아 세번 그 잔을 들어서 선조의 혼령과 부왕의 영전에 올렸다. 그리고 의식을 관장하는 이의 말을 따라

    서 제(祭)에 올렸던 술을 음복(飮福)하였다. 이로써 성왕의 뒤를 이어서 왕위에 오르게 된 것을 조상들

    에게 고하는 의식을 마치게 된다. 모든 의식을 이로써 마치자 태보(太保)가 당(堂)에서 내려와 그 의식

    에 차려진 기물들과 사람들이 물러나자 제후들이 묘문(廟門)을 나와서 새로운 군주에게 알현하는 차례

    만 남게 된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20?category=1425252

 

<서경>(203)주서(周書)(100)고명편(顧命篇)(6)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1)

             <서경(書經)>(203) 주서(周書)(100)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6] 주(周)나라 군주의 즉위식(1) 

  

   王麻冕黼裳(왕마면보상) 

   왕은 삼베로 만든 마면(麻冕)을 쓰고 보불 무늬의 바지를 입고,

   由賓階隮(유빈계제) 

   아직 정식 즉위를 하지 못한 강왕(康王)은

   서쪽 손님 전용인 섬돌인 빈계(賓階)로 올라 갔다.

   卿士邦君(경사방군) 

   경사(卿士)와 대부와 제후들은,

   麻冕蟻裳(마면의상) 

   삼베로 만든 마면(麻冕)과 개미 빛처럼 검은 바지를 입고,

   入卽位(입즉위) 

   제 자리로 들어와 자리에 섰다.

   太保太史太宗(태보태사태종) 

   태보(太保)와 태사(太史)와 태종(太宗)은,

   皆麻冕彤裳(개마면동상) 

   모두 삼베로 만든 마면(麻冕)에

   길복(吉服)으로 붉은 바지인 동상(彤裳)을 입었다.

   太保承介圭(태보승개규) 

   태보(太保)가 구슬로 만든 큰 홀을 받들고 조계(阼階)로 올라 갔다.

   上宗奉同瑁(상종봉동모) 

   태종(太宗)인 상종(上宗)은 구슬로 만든 술잔인 동(同)과

   구슬덮개인 모(瑁)를 받들고,

   由阼階(유조계) 

   동쪽 섬돌인 조계(阼階)로 올라 갔다. 

   太史秉書(태사병서) 

   태사(太史)는 명령이 씌어진 서책(書冊)을 받들고,

   由賓階隮(유빈계제) 

   서쪽 섬돌인 빈계(賓階)로 올라와서,

   御王冊命(어왕책명) (왈)

   책명(冊命)을 적은 책을 왕에게 바치며, 이렇게 말했다. 

   皇后憑玉几(황후빙옥궤) 道揚末命(도양말명)

   "임금께서 구슬로 된 안석에 의지하여, 마지막 명을 일러 펴시어서,

   命汝嗣訓(명여사훈) 臨君周邦(임군주방)

   ‘너에게 명하노니 교훈을 이어, 주의 임금으로 임하라.

   率循大卞(솔순대변) 燮和天下(섭화천하)

   큰 법도를 지키고 따라서, 천하의 변화를 조화시키며,

   用答揚文武之光訓(용답양문무지광훈) 

   문왕과 무왕의 빛나는 가르침에 보답하여 드날리라’고 하셨습니다"     

 

   *이 장면에서는 강왕(康王)이 위의(威儀)를 갖추고, 많은 사람들에게 정식으로 인사를 하게 되었다. 왕

    은 마면(麻冕)을 쓰고 대단히 검소한 복장을 하고 나타났다. 부모가 죽은후에 3년은 상중(喪中)이므로

    화려한 복장을 하지 않고 매우 검소한 복장을 했던 것이다. 왕은 궁전에 오르면서 동쪽 계단이 아닌 빈

    객들이 오르내리는 서쪽계단으로 올랐는데,이는 왕(王)의 겸손한 마음의 표현으로 자신은 아직 왕(王)

    이 된 덕(德)이 모자라며, 객(客)과 같은 자격으로 왕위에 오른다는 의미이다. 왕이 궁전으로 들어가자

    모든 백관들이 따라 들어가서, 가장 상석(上席)이 소공석이 큰 홀(笏)을 왕에게 받들어 올린다. 의식을

    관장하는 상관(上官)인 상종(上宗)이 제사에 사용되며, 천자가 제후를 공식적으로 접견할때에 손에 드

    는 옥(玉)으로 만든 잔을 받들고 왕이 올랐던 계단과 마주하고 있는 동쪽 계단으로 올랐다. 그 때 기록

    은 맡은 상관이 서(書)를 잡아 왕이 오른 빈계(賓階)로 올라 왕위(王位)를 전하는 기록을 왕 앞에서 읽

    는다. 이것은 죽은 성왕의 안석(案席)에 의지하여 내리는 최후의 명(命)을 기록한 것이다. 거기에 쓰인

    말은  선왕의 가르침을 따르고  대법(大法)에 따라서 천하를 다스려 문왕과 무왕의 이름을 선양하라고

    한 것이 그 내용이다. 그리고 나서 왕은 직분을 다하겠다는 서약(誓約)을 하게 되는 것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19?category=1425252

 

<서경>(202)주서(周書)(99)고명편(顧命篇)(5) 군주가 즉위하는 의식의 절차

             <서경(書經)>(202) 주서(周書)(99)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5] 군주가 즉위하는 의식의 절차 

  

   二人雀弁(이인작변) 

   두 사람이 참새 머리같은 검붉은 작변(雀弁)을 쓰고,

   執惠(집혜) 立于畢門之內(입우필문지내)

   세모창인 혜(惠)를 잡고, 묘당의 안문인 필문(畢門)안에 서 있었다.

   四人綦弁(사인기변) 

   네 사람이 연두빛 기변(綦弁)을 쓰고,

   執戈上刃(집과상인) 夾兩階戺(협량계사)

   칼날이 밖으로 향하게 창을 잡고, 섬돌을 끼고 양쪽에 서 있었다.

   一人冕(일인면) 執劉(집유)

   한 사람이 면(冕)을 쓰고, 끝이 뾰족한 도끼를 잡고,

   立于東堂(입우동당) 

   동쪽 묘당에 서 있었다.

   一人冕(일인면) 執鉞(집월)

   한 사람이 면(冕)을 쓰고, 부월(斧鉞)의 도끼를 잡고,

   立于西堂(입우서당) 

   서쪽 묘당에 서 있었다.

   一人冕(일인면) 執戣(집규)

   한 사람이 면(冕)을 쓰고, 긴 삼지창인 규(戣)를 잡고,

   立于東垂(입우동수) 

   동쪽 가에 서 있었다.

   一人冕(일인면) 執瞿(집구)

   한 사람이 면(冕)을 쓰고, 짧은 삼지창인 구(瞿)를 잡고,

   立于西垂(입우서수) 

   서쪽 가에 서 있었다.

   一人冕(일인면) 執銳(집예)

   한 사람이 면(冕)을 쓰고, 뾰족한 창인 예(銳)를 잡고,

   立于側階(입우측계) 

   북쪽의 섬돌에 서 있었다.      

 

   *새로운 왕이 많은 신하들의 알현을 허락하였으므로 경호하는 사람들이 방안에 들어 갔다. 두사람은 검

    푸른 관을 쓰고 삼각의 칼날이 붙은 창을 들고 왕의 방에 가까운 문 안에 서서 경호를 하고 있다. 네 사

    람은 검푸른 관을 쓰고 창을 들고 날을세워 위로 향하게 하고, 궁(宮)에 오르는 두 섬돌을 끼고 네 명이

    두명씩 나누어 서 있다. 그리고 또 한명은 동쪽 당(堂)에 면(冕)을 쓰고 유(劉)를 들고 서있고, 또 한 명

    은 큰 부월을 들고 서 있으며, 또 한 명은 역시 면을 쓰고, 월(鉞)을 들고 서쪽 당에 서 있다. 한 명은 또

    면을 쓰고 날이 셋으로 갈라진 창을 들고 동쪽 가에 서있고, 또 한명은 면을 쓰고 구(瞿)를 들고 서쪽가

    에 서있으며, 또 한명은 면을 쓰고 예(銳)를 들고 가의 섬돌 위에 서서 새로운 왕을 맞이할 준비를 갖추

    고 있는 대목이다.

 

 

 

m.blog.daum.net/thddudgh7/16535218?category=1425252

 

<서경>(201)주서(周書)(98)고명편(顧命篇)(4) 성왕(成王)의 고명을 강왕(康王)이 받들다.

             <서경(書經)>(201) 주서(周書)(98)         주서는 주나라의 사관이 기록하여 모아놓은 역사이다. 주나라의 시조는 기(棄)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성   은 희(姬)인데, 제곡(帝嚳)

blog.daum.net

 

 

[4] 성왕(成王)의 고명을 강왕(康王)이 받들다. 

  

   丁卯(정묘) 命作冊度(명작책도)

   정묘일(丁卯日)에, 성왕의 고명을 기록하게 하였으며,

   越七日癸酉(월칠일계유) 

   칠일이 지난 계유일(癸酉日)에,

   伯相命士須材(백상명사수재) 

   방백이며 재상인 소공(召公)이 명하여 필요한 물건을 갖추게 하였다.

   狄設黼扆綴衣(적설보의철의) 

   악공을 시중드는 적인(狄人)이 검고 흰 도끼 무늬의 병풍인 보의(黼扆)와

   햇빛 가리개인 철의(綴衣)를 설치하였다.

   牖間南嚮(유간남향) 

   들창과 문 사이에 남쪽을 향하여,

   敷重篾席黼純(부중멸석보순) 

   보(黼) 무늬의 천으로 장식된 비단으로 꾸민 대자리를 깔고, 

   華玉仍几(화옥잉개) 

   고인이 생전에 쓰던 오색의 구슬인 화옥(華玉)의 안석을 놓았다.

   西序東嚮(서서동향) 

   서쪽 행랑에는 동쪽을 향하여,

   敷重底席綴純(부중저석철순) 

   잡색의 비단으로 꾸민 저석(底席)을 겹쳐서 깔고,

   文貝仍几(문패잉궤) 

   아름다운 조개 장식을 한 안석을 두었다.

   東序西嚮(동서서향) 

   동쪽 행랑에는 서쪽을 향하여,

   敷重豐席畫純(부중풍석화순) 

   무늬비단으로 꾸민 풍석(豐席)을 겹쳐서 깔고,

   雕玉仍几(조옥잉궤) 

   무늬가 새겨진 구슬로 평소에 쓰던 안석에 놓았다.

   西夾南嚮(서협남향) 

   서쪽의 협실에는 남쪽을 향하여,

   敷重筍席玄紛純(부중순석현분순) 

   검은 색 끈으로 짠 푸른 대자리인 순석(筍席)을 겹으로 깔고,

   漆仍几(칠잉궤) 

   옷칠을 하여 평소에 쓰던 안석에 놓았다.

   越玉五重(월옥오중) 

   또한 옥을 겹으로 다섯으로 나누어 놓으니, 

   陳寶(진보) 赤刀(적도)  

   진나라 구슬과, 빛 붉은 구슬칼과,

   大訓(대훈) 弘璧(홍벽) 琬琰(완염)

   큰 교훈이 새겨진 구슬과, 위가 둥근 구슬과, 위가 뾰족한 구슬을,

   在西序(재서서) 

   서쪽 행랑에 놓았다.

   大玉(대옥) 夷玉(이옥)

   화산에서 나는 구슬과, 동쪽 오랑캐의 구슬과,

   天球(천구) 河圖(하도) 在東序(재동서) 

   하늘빛 구슬과, 황하에서 나는 무늬 있는 구슬은, 동쪽 행랑에 놓았다.

   胤之舞衣(윤지무의)  

   악공인 윤(胤)이 춤옷을 받들고,

   大貝(대패)

   산의생(散宜生)이 강회(江淮)에서 얻었다는 수레 바퀴만한 큰 조개와,

   鼖鼓(분고) 在西房(재서방)

   큰 북인 분고(鼖鼓)는, 서쪽 방에 놓았다.

   兌之戈(태지과) 和之弓(화지궁) 

   악공(樂工)인 태(兌)가 만든 창과, 악공(樂工)인 화(和)가 만든 활과,

   垂之竹矢(수지죽시) 在東房(재동방) 

   악공(樂工)인 수(垂)가 만든 대나무 화살은, 동쪽 방에 놓았다.

   大輅在賓階面(대로재빈계면) 

   천자가 타는 수레인 대로(大輅)는 

   빈객들이 오르내리는 빈계(賓階)의 서쪽 섬돌 앞에,

   綴輅在阼階面(철로재조계면) 

   금으로 꾸민 철로(綴輅)는 주인이 오르내리는 동쪽 섬돌 앞에,

   先輅在左塾之前(선로재좌숙지전) 

   상아로 꾸민 수레인 선로(先輅)는 왼편 문간방의 앞에,

   次輅在右塾之前(차로재우숙지전) 

   나무로 만든 수레인 차로(次輅)는 오른쪽 문간방 앞에 놓았다.

    

   *강왕의 후견인격인 소공석이 진두지휘를 하여 성왕의 장례식을 치르는 대목이다. 소공석은 기록을 작

    성하는 사관에게 일체의 기록을 정리하게 하고,  성왕이 죽은 전후의 사실과,  새롭게 즉위하는 강왕의

    즉위식에 따른  모든 것을 기록하게 하였으며, 또한 장례와 즉위에 칠요한 여러 가지 준비를 하도록 하

    였다. 왕을안장한 모습과 여기에 참여한 사람들의 복장이며, 식장을 호위하는 병사들의 무기에서부터,

    패옥과 찬란하게 꾸민 기물들을 나열하여 예식을 준비하고 있는 장면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