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 '짱골라, 스리스리 마스리'의 의미/ 재록
https://kydong77.tistory.com/18036
https://www.youtube.com/watch?v=iJQgbo-P3Tc&list=PLl_35AfI8rTWai4WtLXa_KWXftE--Iuqi
사명당 유정
1544 離幻 松雲 四溟堂 惟政 任應奎(1544∼1610)慈通弘濟尊者 豊川
過邙山(과망산) 북망산을 지나며
- 四溟堂 惟政
太華山前多少塚
(태화산전다소총) 태화산 앞에는 무덤도 많구나.
洛陽城裏古今人
(낙양성리고금인) 낙양성에 살았던 옛 사람 이젯 사람.
可憐不學長生術
(가련불학장생술) 가여워라, 오래 사는 방법 못 배워
杳杳空成松下塵
(묘묘공성송하진) 아득한 세월에 덧없이 소나무 아래 티끌 되었구
*범어=실담어=산스크리트어 [saṃskṛtā]. 사투리는 왕족의 언어.
"짱골라.몰랐지"는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saṃskṛtā]), Sanskrit)도 모른다는 뜻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iJQgbo-P3Tc
동이족 문자인 한자의 정확한 발음을 잘 모르는 놈을 지칭하는 말로
'짱골라 몰렀지'가 중국 측 사서에 있음.
스리스리 마스리의 어원적 해석
https://www.youtube.com/watch?v=7TIVoxyZDHw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修里修里 摩訶修里 洙修里 沙波訶)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의 '수리(修里)'는 범어(梵語)인 ‘수디(sudhi)’에서 왔다.
"길상존(吉祥尊)이시여, 길상존(吉祥尊)이시여, 지극한 길상존(吉祥尊)이시여, 원만성취하소서~!"란 뜻이다.
'길상(吉祥)한 존자(尊者)'란 뜻이다. '마하(摩訶)'는 '크다'는 뜻이다.
'마하수리(摩訶修里)'는 '대길상존(大吉祥尊)'이란 뜻이며
‘수수리(洙修里)'는 '지극하다'는 뜻이다.
'사바하(沙波訶)'는 '원만한 성취'를 뜻한다.
출처 : 아웃소싱타임스(http://www.outsourcing.co.kr)
훈민정음은 범어(실담어)와 정확히 구조가 같다.
https://www.youtube.com/watch?v=CAlxOff3NyU
천축실담상형문자주석
https://www.youtube.com/watch?v=vNzTI7zp384&t=28s
*28지모중 없애버린 네 자모와 방점, 합용병서까지 범어에 가까운 표기를 위한 신미대사의 독창적 노력이었음. 발음기관에 착안하여 만든 자모이나 엄밀하게 말하면 범어에서 차용한 것이라 할 수 있음.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saṃskṛtā]), Sanskrit)로, ‘같이’를 뜻하는 '삼', ‘두다’를 뜻하는 ‘크르타’의 합성어로 ‘같이 두어진 말’ 즉 ‘잘 정돈된 말’, ‘세련된 말’이라는 뜻이라는데, 훈민정음보다 더 '잘 정돈된 말'이 있을까?
범어(梵語)/ 위키백과
원어명은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saṃskṛtā]), Sanskrit)로, ‘같이’를 뜻하는 '삼', ‘두다’를 뜻하는 ‘크르타’의 합성어로 ‘같이 두어진 말’ 즉 ‘잘 정돈된 말’, ‘세련된 말’이라는 뜻이다.
데바나가리 문자는 아부기다의 특성상 한글이나 라틴 문자 등의 알파벳과 달리 모음이 DLC처럼 자음에 달라붙는다. 물론 대부분 교수의 편의상 문법을 배울 때에는 IAST를 많이 사용하나, 데바나가리가 산스크리트 학습에서 넘어야 할 큰 산임은 분명하다.
산스크리트 데바나가리는 다음과 같다.
자음
क ka ख kha ग ga घ gha ङ ṅa ह ha
च ca छ cha ज ja झ jha ञ ña य ya श śa
ट ṭa ठ ṭha ड ḍa ढ ḍha ण ṇa र ra ष ṣa
त ta थ tha द da ध dha न na ल la स sa
प pa फ pha ब ba भ bha म ma व va
모음
अ a आ ā
इ i ई ī
उ u ऊ ū
ऋ ṛ/r̥ ॠ ṝ/r̥̄
ऌ4 ḷ/l̥ ॡ ḹ/l̥̄
ए e/ē ऐ ai
ओ o औ au
[참고]
산스크리트어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대다수 인도 언어들의 조상이다. 한자어로 범어(梵語)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란 단어 자체는 संस्कृतम्(saṃskṛtam)이라고 하는데, '정교한, 잘 정돈된'이라는 뜻이다. 인구어 중에서 가장 복잡한 문법을 지닌 언어에 속한다.
대표적으로 힌디어, 우르두어는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언어들이다. 인도유럽어족이므로 유럽의 고대 라틴어, 그리스어와 뿌리를 같이한다. 인도에서 사용하는 22개 공식언어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산스크리트어는 한자 문화권에서 ‘범어(梵語)’라 번역되어 사용되는데, 이는 인도의 전통 신분 체계 및 종교 체계를 가리키는 ‘브라만’의 음역에서 유래한 것으로 “‘브라만’ 계층이 사용하는 말” 혹은 “브라만교의 말”의 의미이다.
아래 포스트 중 일부 포스트 재록
http://kydong77.tistory.com/17999?category=485871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산스크리트어는 어디서 왔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aLKh1cAYqEw&t=2147s
*범어=실담어=산스크리트어. 사투리는 왕족의 언어.
단오절/ 홍익인간/ 단군,환인,환웅 모두 무당 (요 순 우이금도 무당)
https://www.youtube.com/watch?v=NxCKbAM3D_U&t=643s
* 무(巫)에 대한 설명은 1:11:30초 이후에 나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JRGsr_VkFE&list=PLl_35AfI8rTWai4WtLXa_KWXftE--Iuqi&index=28
[참고] 목면 짜는 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sIsqd8fOoAo
훈민정음/ 正音은 음운, 곧 발음기호.
https://www.youtube.com/watch?v=m8F_itXorq8
훈민정음의 사라진 네글자
https://www.youtube.com/watch?v=GAv7qY3XfTI
훈민정음은 음소조합(音素組合)문자 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M9Oybeww0M
훈민정음의 칠음사성에 대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woLpEiTnkdw
*우리가 알고 있던 '수리수리 마수리'로 마무리 하지요.
엣날 장마당에 약장수 따라다니던 각설이타령 부르던 품바들 있잖아유.
요강쇼 - 품바 유달산
https://www.youtube.com/watch?v=1FbZUZarqqI&t=85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