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용문사 대장전(大藏殿)-보물684호& 윤장대(輪藏臺)-국보328호,
https://m.blog.naver.com/wave88/122037158
送誾上人還龍門寺(송은상인환용문사)
(용문사로 돌아가는 은 상인을 전송하다)
ㅡ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
回首龍門揷碧天
회수용문삽벽천 머리를 돌리니 용문산이 하늘에 꽃힌 듯
招提一路細於絃
초제일로세어현 거문고 줄처럼 좁은 절집으로 가는 길
携筇又入烟蘿去
휴공우입연라거 지팡이 끌고 무성한 숲으로 들어가니
四月山深屬杜鵑
사월산심속두견 초여름 깊은 산에 두견새 소리만 이어지네.
삼존목불좌상이 놓여져 있는데 이는 그 기법상 목불탱의 불보살과 똑같은 수법으로 만들어진 원각상(圓刻像)이라 하겠다. 본존상의 경우 육계가 생략되었고, 반달형의 중앙계주가 표현되었으며, 신체는 중후한 모습이지만 각 부분은 둥글게 처리되었다. 또한 통견의 불의는 그 두께가 두꺼워 신체 윤곽이 선명히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옷주름 또한 지극히 단순화되어 도식적인 느낌을 준다. 따라서 이 본존상이 목각탱과 동일한 작가에 의해 동시에 조성된 작품임이 확실하지만 목각탱에 비해 신체의 굴곡이 보다 유기적이고, 표현력도 뛰어나다.
이 작품들의 조성기(造成記)가 하단에 「康熙二十三年甲子季」라고 묵서(墨書)되어 있어 숙종(肅宗) 10년(1684)에 조성된 것이 분명하며 따라서 이들 조각은 17세기 후기의 조각양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높은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KaT0Opuhu4k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醴泉龍門寺大藏殿과 輪藏臺)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사에 있다.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輪藏臺)'를 통합해 2019년 12월 2일 한 건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328호로 승격 지정되었다.[1]
https://ko.wikipedia.org/wiki/%EC%9A%A9%EB%AC%B8%EC%82%AC_(%EC%98%88%EC%B2%9C%EA%B5%B0)
용문사 문화재
종목 명칭 시대 지정일비고
국보 제328호 |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輪藏臺) |
고려,조선 | 2019.12.02 | ||
보물 제729호 | 예천 용문사 감역교지 (醴泉龍門寺 減役敎旨) |
조선 | 1981.07.15 | ||
보물 제989-1호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
조선 | 1989.04.10 | ||
보물 제989-2호 |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醴泉 龍門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 |
조선 | 1989.04.10 | ||
보물 제1330호 | 예천용문사팔상탱 (醴泉龍門寺八相幀) |
조선 | 2001.10.25 | ||
보물 제1445호 | 예천용문사영산회괘불탱 (醴泉龍門寺靈山會掛佛幀) |
조선 | 2005.09.06 | ||
보물 제1637호 |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醴泉 龍門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
조선 | 2010.02.24 | ||
보물 제1644호 | 예천 용문사 천불도 (醴泉 龍門寺 千佛圖) |
조선 | 2010.02.24 | ||
경북 유형문화재 제349호 |
예천용문사천불탱 (醴泉龍門寺千佛幀) |
2003.04.14 | |||
경북 유형문화재 제476호 |
예천 용문사 자운루 (醴泉 龍門寺 慈雲樓) |
조선 | 2013.04.08 |
https://www.youtube.com/watch?v=m1rRoaHdH3Q
https://www.youtube.com/watch?v=3Lmml1Kiz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