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謙齋) 정선(鄭歚)/ 선비화가 겸제정선미술관
정선 <풍악내산총람(楓岳內山總攬)
https://www.youtube.com/watch?v=fMZxF5BXSGA
https://www.youtube.com/watch?v=CBIICY-psQE
谿上定居圖(계상정거도)
[참고]
겸재(謙齋) 정선(鄭歚, 1676년 ~ 1759년)
https://ko.wikipedia.org/wiki/%EC%A0%95%EC%84%A0_(%ED%99%94%EA%B0%80)
정선 (화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독서 여가, 정선의 자화상으로 보인다. 조선국 도화서 예하 관상감 겸 천문학 교수 임기 1716년 ~ 1729년 군주 조선 숙종 이순조선 경종 이윤조선 영조 이금 섭정 왕세자 이윤왕세제 이금 조선국 경
ko.wikipedia.org
겸재 정선
https://www.youtube.com/watch?v=p37_NbVRbn4
https://www.youtube.com/watch?v=FDI031cEIJI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1_FrQ5HrPpI
위 화면에서 YouTube에서 보기 를 클릭하면 동영상이 진행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TRgU2lEemIw
윤두서(1668∼1715)
옥이 흙에 묻혀 길가에 밟히이니
오는 이 가는 이 흙이라 하는구나
두어라 알 이 있을지니 흙인 듯이 있거라
-병와가곡집
귀도 목도 없고 사대부의 상징인 도포 깃과 동정, 옷고름도 안 보이네요.
하지만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
https://www.mk.co.kr/premium/life/view/2015/05/10356/
이성계 송시열 윤두서 등 5명 초상화만 국보가 된 사연
[초상화읽기 -15] 마치 거울을 통해 내면을 투시하는 듯한 형형한 눈매, 강한 신념이 느껴지는 꽉 다문 입술, 불꽃처럼 꿈틀거리는 수염…. 사실적인 안면 묘사가 압권인 공재 윤두서(1668~1715) 자
www.mk.co.kr
국립중앙박물관이 현미경과 적외선, X선 촬영 및 형광분석법 등으로 조사해 보니 초상화는 원래 완성작이었으며 오랜 세월이 경과하면서 퇴화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생략된 것으로 여겨왔던 귀는 희미하지만 붉은 선으로 표현됐고 옷깃과 옷주름도 분명히 존재했다. 정밀하게 채색까지 된 사실도 밝혀졌다. 다만 무슨 이유로 선과 채색이 지워졌는지, 어떻게 얼굴만 보존될 수 있는지는 규명하지 못했다.
https://kydong77.tistory.com/21212
공재 윤두서의 자화상
▲ 우리 희화사에서 전무후무한 걸작으로 꼽히는 국보 240호 공재 윤두서 자화상. 녹우당 소장. https://ko.wikipedia.org/wiki/%EC%9C%A4%EB%91%90%EC%84%9C 윤두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별칭 호(..
kydong77.tistory.com
윤선도의 증손으로 정약용(丁若鏞, 1762년 ~ 1836년)은 외증손자
https://www.youtube.com/watch?v=GA4byBNeN0s
https://www.youtube.com/watch?v=m8K7VeyU_Zg
https://www.youtube.com/watch?v=_IyxFp2ePk0
'22.01.06 뉴스
https://www.youtube.com/watch?v=t8otrirKOJI
https://www.youtube.com/watch?v=wiAl07GuXy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