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애 양주동(1903년 6월 24일, 경기도 개성 - 1977년 2월 4일 ) 선생님께서 향가연구서인 《고가연구》를 출간하자 위당 정인보(1893∼1950) 선생님이 그 위업을 고시 5수로 찬양했다. 그 고시가 <詞腦歌 證釋 題詞> 인데 무애 선생은 이를 번역하고 해설하여 수필집 등에 등재한 글들이다. 그 글이 아래의 논문이다.

이 블로그에서는 注譯 중 전문성을 요하는 注는 생략하고 번역시만 옮겨 보고자 한다. 주석 부분이 필요한 분들은 아래 논문집을 참고하기 바란다.

[출처]梁柱東,詞腦歌 證釋 題詞 注譯,동악어문학 8,동악어문학회,1972.

pp.23-32.

*운영자<詞腦歌 證釋 題詞> 2차 번역은

 

이병주,한국한시의 이해,민음사,pp.228-232에도 있음.

[11장 조선시대의 선가시]

 

[참고1]梁柱東<古歌硏究>출간 사항-

운영자

양주동,『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硏究)』(박문서관, 1942) 초간본.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발행.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8.3.15. 재판.

 

*<연구의 回憶> 은  위책 pp.889-898에 발문으로 수록함.

 

[참고2] <향가연구의 회억> 발표 사항-영자

1.양주동,국학연구론고(을유문화사,1962)를 참고하면

'약간의 자랑과 감회'란 부제가 붙은

<향가연구의 회억>(위책,pp.343-353.) 첫 발표는 1958년이다.

 

 2.<연구의 回憶>  이라는 글은 《文酒半生記》에도

<硏北論-'鄕歌'연구에의 發心>(신태양사,1960, pp. 286-297)이란 제목으로

탑재했는데 서두부분엔 다소 차이가 있다.

 

3.<연구의 回憶>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pp.889-898에도

발문으로 수록함. 완성본.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668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注譯

- 梁柱東

鄭爲堂(寅普)自筆 存稿 漢詩文集 <薝園文錄>이 얼마 전에 간행되었다.(1967.11. 延世大學校出版部 景印,866)

集中 심상한 銘碣 · 詩文 외에 와의 文交 · 學緣* 읊은 2, 

西京別曲 [文錄四]

題梁柱東鄕歌證釋卷首[文錄六] 

收錄되어 있는 바, 이 다 國文學界에 전할 만한 이요, 특히 後者는 그의 詩文 最古苦心力作으로, 古歌에 대한 그의 摯意, 民族的 意義宣揚 및 그 硏究 方法奧義까지를 道破한 귀중한 文子이나, 原詩爲堂流筆法대로 자못 詰屈하여 後學이 좀체로 그 微旨를 터득키 어렵겠기, 原詞에 간단한 注解 譯詞를 붙인다.

 

[學緣*]:1938년경 日帝 포학의 極期 중 내가 平壤上京하여 落山陋屋에서 詞腦歌 解讀畢生心血을 기울일 때 그 學的 勞苦를 알아준 이는 실로 爲堂이었다. 내가 硏鑽의 겨를에 가끔 그를 찾아 學的 述懷를 거듭했던 것을 기억한다. 194010[庚辰 小春] 證釋草稿가 완성되자 내가 그 사연을 그에게 고하고, 弁卷一文을 청했더니, 그가 대신 題詞 長詩 5을 손수 淨書하여 내게 주었다. 그로서도 累日苦吟과 몇 번의 推敲를 겪은 平生力作이요, 그의 많은 詩文 중에서도 특히 후세에 전할 만한 名作이었다. 그러나, 는 그 內容 관계로 日治下 간행된 鄙著[1942]題詞로 싣지 못했었고, 解放 겨우 鄙文 <鄕歌硏究回憶>[<國學硏究論攷> 所收] 중에 引用 著錄했고, 그 뒤 <고가연구> 訂補[1965] 鄙跋文 중에 비로소 附見되었다.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2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운영자 주]

양주동,국학연구론고(을유문화사,1962)를 참고하면

'약간의 자랑과 감회'란 부제가 붙은

<향가연구의 회억>(위책,pp.343-353.) 첫 발표는 1958년이다.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수록분이 최종 완결본이다.

지금도 나는 各大壑 國文學科에서 新羅歌謠를 강의할 때면, 반드시 이 長詩를 먼저 풀이하고 읊는다. 國文學 내지 史學徒10古典, 100의 풀이책을 읽음보다 이 몇 吟味함으로써 더 古典貴重性과 그 안에 담긴 民族的 高貴情神’, 또 그 硏究 方法의 깊숙한 一端悟得함이 있으리라 믿기 때문이다. 字句典據略解하고 大意國譯(時調體)하나, 拙驛으론 原詩眞價를 방불치 못함이 이다.

 

詞腦歌 證釋 題詞 五首

- 爲堂 鄭寅普

 

*‘文錄題梁柱東鄕歌證釋卷首’,

鄙著 原題 詞腦歌箋注

詞腦歌周知하는 대로 새내놀애借字, 俗稱 鄕歌이나, 鄙著엔 이 俗稱을 일체 쓰지 않았음(<고가연구> 序說二)

*이 블로그에서는 이하에서 題詞 五首를 5꼭지로 나누어 爲堂 정인보님의 題詞, 무애 양주동님의 국역과 해설순으로 정리해 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