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十五章
[原文]

古之善为道者①,

微妙玄通,深不可识。

夫不唯不可识,故强为之容②;

 

豫兮③若冬涉川④;

犹兮⑤若畏四邻⑥;

俨兮⑦其若客⑧;

涣兮其若凌释⑨;

敦兮其若朴⑩;

旷兮其若谷⑾;

混兮其若浊⑿;

 

孰能浊⒀以静之徐清?

孰能安⒁以静之徐生?

保此道者,不欲盈⒂。

夫唯不盈,故能蔽而新成⒃。16)一本作蔽不新成

옛날에, 도를 잘 행하는자는
꼼꼼하고 묘하며 그윽하고 열린 사람이라
깊이를 알 수 없었다.
알 수 없으나 억지로 말해본다.

머뭇거리니 겨울개울을 건너는 듯하고
주저하니 사방을 두려워하는 듯하다.
준엄하니 손님 같고
풀어지니 얼음이 녹으려는 듯하며
도타우니 통나무 같고
비어있으니 계곡 같으며
혼란하니 탁한 물과 같다.

누가 혼탁함을 고요히하여 천천히 맑게 할 수 있는가?
누가 편안함을 끊임없이 움직여 천천히 생동하게 할 수 있는가?

이 도를 가진 이는 가득 채우려 하지 않으니,
채우지 아니하여 능히 낡게 하고 다시 새롭게 한다.

옛날에, 도를 잘 행하는자는
꼼꼼하고 묘하며 그윽하고 열린 사람이라
깊이를 알 수 없었다.
알 수 없으나 억지로 말해본다.

머뭇거리니 겨울개울을 건너는 듯 하고
주저하니 사방을 두려워하는 듯 하다.
준엄하니 손님같고
풀어지니 얼음이 녹으려는 듯 하며
도타우니 통나무같고
비어있으니 계곡같으며
혼란하니 탁한 물과 같다.

누가 혼탁함을 고요히하여 천천히 맑게 할 수 있는가?
누가 편안함을 끊임없이 움직여 천천히 생동하게 할 수 있는가?

이 도를 가진 이는 가득 채우려 하지 않으니,
채우지 아니하여 능히 낡게하고 새로움을 만들지 않는다.

古之善爲士者,
微妙玄通,
深不可識,
夫唯不可識, 故强爲之容,

豫焉若冬涉川,
猶兮若畏四隣,
儼兮其若容,
渙兮若氷之將釋,
敦兮其若樸,
曠兮其若谷,
混兮其若濁,

孰能濁以靜之徐淸,
孰能安以久動之徐生,

保此道者, 不欲盈,
夫唯不盈, 故能蔽不新成.

 

[译文]

古时候善于行道的人,微妙通达,深刻玄远,不是一般人可以理解的。正因为不能认识他,所以只能勉强地形容他说:他小心谨慎啊,好像冬天踩着水过河;他警觉戒备啊,好像防备着邻国的进攻;他恭敬郑重啊,好像要去赴宴做客;他行动洒脱啊,好像冰块缓缓消融;他纯朴厚道啊,好像没有经过加工的原料;他旷远豁达啊,好像深幽的山谷;他浑厚宽容,好像不清的浊水。谁能使浑浊安静下来,慢慢澄清?谁能使安静变动起来,慢慢显出生机?保持这个“道”的人不会自满。正因为他从不自满,所以能够去故更新。

 

[注释]

①善为道者:指得"道"之人。

②容:形容、描述。

③豫:原是野兽的名称,性好疑虑。豫兮,引申为迟疑慎重的意思。

④涉川:战战兢兢、如临深渊。

⑤犹:原是野兽的名称,性警觉,此处用来形容警觉、戒备的样子。

⑥若畏四邻:形容不敢妄动。

⑦俨兮:形容端谨、庄严、恭敬的样子。

⑧客:一本作"容",当为客之误。

⑨涣兮其若凌释:形容流动的样子。

⑩敦兮其若朴:形容敦厚老实的样子。

⑾旷兮其若谷:形容心胸开阔、旷达。

⑿混兮其若浊:形容浑厚纯朴的样子。混,与浑通用。

⒀浊:动态。

⒁安:静态。

⒂不欲盈:不求自满。盈,满。

⒃蔽而新成:去故更新的意思。一本作蔽不新成。

 

[延伸阅读1]王弼《道德经注》

古之善为士者,微妙玄通,深不可识。夫唯不可识,故强为之容:豫兮若冬涉川,
冬之涉川,豫然若欲度若不欲度,其情不可得见之貌也。

犹兮若畏四邻,

四邻合攻,中央之主犹然不知所趣向者也。上德之人,其端兆不可睹,德趣不可见,亦犹此也。

俨兮其若容,涣兮若冰之将释,敦兮其若朴,旷兮其若谷,混兮其若浊。

凡此诸若,皆言其容象不可得而形名也。

孰能浊以静之徐清?孰能安以久动之徐生?
夫晦以理物则得明,浊以静物则得清,安以动物则得生,此自然之道也。孰能者,言其难也。徐者,详慎也。


保此道者,不欲盈。

盈必溢也。

夫唯不盈,故能蔽不新成。
蔽,覆盖也。

 

[延伸阅读2]苏辙《老子解》

古之善為士者,微妙玄通,深不可識。
粗盡而微,微極而妙,妙極而玄,玄則無所不通,而深不可識矣。
 

夫唯不可識,故強為之容:豫若冬涉川。
戒而後動曰豫,其所欲為,猶迫而後應,豫然若冬涉川適巡,如不得已也。

猶若畏四鄰,
疑而不行曰猶,其所不欲遲而難之,猶然如畏四鄰之見之也。

儼若容,
無所不敬,未嘗惰也。

渙若冰將釋,
知萬物之出於妄,未嘗有所留也。 

敦兮其若樸,
人偽已盡,復其性也。

曠兮其若谷,
虛而無所不受也。

渾兮其若濁。
和其光,同其塵,不與物異也。

孰能濁以靜之徐清,孰能安以久動之徐生。
世俗之士以物汨性,則濁而不復清。枯槁之士以定滅性,則安而不復生。今知濁之亂性也,則靜之,靜之而徐自清矣。知滅性之非道也,則動之,動之而徐自生矣。《易》曰寂然不動,感而遂通天下之故。今所謂動者,亦若是耳。

保此道者,不欲盈。
盈生於極,濁而不能清,安而不能生,所以盈也。

夫惟不盈,故能弊不新成。
物未有不弊者也。夫惟不盈,故其弊不待新成而自去。

 

'중국고전 > 老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道德經 17章  (0) 2019.08.25
老子 道德經 16章  (0) 2019.08.24
老子 道德經 14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3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2章  (0) 2019.08.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