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https://www.youtube.com/watch?v=r3INLleVXIs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5508
사례(四禮)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관혼상제(冠婚喪祭) 또는 가례(家禮)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의례를 인류학이나 민속학에서는 통과의례(通過儀禮) 또는 통과제의(通過祭儀)라고도 한다. 내용을 더욱 한정시켜 평생의례(平生儀禮)라고 한다. 그러나 평생의례라는 말의 뜻은 매우 포괄적인 것으로 출생·성년·혼인·환갑·사망·조상숭배뿐만 아니라 질병·취임·은퇴 등 이 세상에 태어나서 죽은 다음까지 겪는 의례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도 관례·혼례·상례·제례만을 한정하여 특별히 사례라고 한 것은 중국으로부터 전래한 유교적 원리에 바탕을 둔 예법과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이 이 네 가지의 의례에 더욱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 결과이다.
중국이나 우리 나라에서 가장 모범적인 예서(禮書)로 다루는 주희(朱熹)의 ≪가례 家禮≫ 서문을 보면 “예에는 본(本:根本)과 문(文:文彩)이 있으니 가정생활에 있어서 말할 것 같으면 명분을 지키고 애경을 독실하게 하는 것이 그 본이고, 관혼상제와 행위규범은 그 문이다.”라고 하면서 관혼상제의 사례를 생활전반을 규제하는 원리와 질서로서 강조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미 송대(宋代)에 이르러 주희의 ≪가례≫를 통하여 관혼상제를 사례로 보는 체계가 확립되었다.
'생활 > 로상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순신 순국제전, 4.4km 장례행렬/온양온천역發 ~ 현충사 충무문 着// 거창 상여소리 2편 & 경기 동두천시 탑동 회다지소리 (1) | 2023.11.21 |
---|---|
아산 외암(巍岩)민속마을/ 외암동천(巍岩洞天) 동화수석(東華水石) (1) | 2023.11.21 |
눈덮힌 아산 현충사(顯忠祠)& 신정호수 트래킹 (1) | 2023.11.20 |
충무공현충제례악/ 아산시 온양온천역, 그리운 사람 이순신이 온다 & 이순신장군묘 (1) | 2023.11.19 |
금오산(金烏山)올레길-금오저수지,구미성리학역사관/ 케이블카, 길재 - 채미정(採薇亭) (1) | 2023.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