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308詩經-頌-商頌-열조(烈祖)

[송(頌)-상송(商頌) 제2편 열조1장(烈祖一章)]

嗟嗟烈祖ㅣ 有秩斯祜하사 (차차열조ㅣ 유질사호하사

申錫無疆이라 及爾斯所라 신석무강이라 급이사소라)

아, 슬프다, 공 많으신 조상이 떳떳한 이 복을 두사

거듭 끝없이 내리심이라 네 이곳에까지 미침이라.

○賦也ㅣ라 烈祖는 湯也ㅣ라 秩은 常이오 申은 重也ㅣ라 爾는 主祭之君이니 蓋自歌者指之也ㅣ라 斯所는 猶言此處也ㅣ라 ○此는 亦祀成湯之樂이라 言嗟嗟烈祖ㅣ 有秩秩無窮之福하야 可以申錫於無疆이라 是以로 及於爾今王之所하야 而修其祭祀하니 如下所云也ㅣ라

○부라. 열조는 탕임금이라. 질은 떳떳함이고, 신은 거듭이라. 이는 제사를 주관하는 임금이니 대개 스스로 노래하는 자가 가리킨 것이라. 사소는 이 곳이라는 말과 같음이라. ○이는 또한 성탕을 제사하는 음악이라. 말하기를 ‘아, 슬프다. 공 많으신 조상이 떳떳하고 무궁한 복을 두어서 가히 거듭 무강함을 주셨음이라. 이로써 네 지금 왕이 거처한 곳에 미치어 그 제사를 닦으니 아래에 이른 바와 같다’ 하니라.

旣載淸酤하니 賚我思成이며 (기재청고하니 뇌아사성(상)이며

亦有和羹이 旣戒旣平이어늘 역유화갱(랑)이 기계기평(방)이어늘

鬷假無言하야 時靡有爭하니 주격무언(앙)하야 시미유쟁(장)하니

綏我眉壽하야 黃耈無疆이로다 유아미수하야 황구무강이로다)


이미 맑은 계명주를 올리니 내 이룬 생각을 주시며,

또한 맛좋은 국이 이미 준비되어 이미 고르게 하였거늘,

나아가 이름에 말이 없어서 때에 다툼이 있지 아니하니,

나를 미수토록 편안히 하여 누렇게 뜬 늙은이가 무강하도다.

酤 : 계명주(鷄鳴酒) 고 *계명주는 찐 차좁쌀에 조청과 엿기름을 넣어 담가서 그 다음 날 닭이 우는 새벽녘에 먹을 수 있도록 빚는 술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오늘날에는 고구려의 전통술로 알려져 있다. 상송에서 언급되는 酤, 곧 계명주가 고구려로 이어져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일명 엿탁주로 지금은 경기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되어있다. 鬷 : 가마솥 종, 모여들 종, 여기서는 ‘나아갈 주’

○酤는 酒요 賚는 與也ㅣ라 思成은 義見上篇하니라 和羹은 味之調節也ㅣ라 戒는 夙戒也ㅣ오 平은 猶和也ㅣ라 儀禮에 於祭祀燕享之始에 每言羹定이라하니 蓋以羹熟爲節然後에 行禮하니 定은 卽戒平之謂也ㅣ라 鬷는 中庸에 作奏하니 正與上篇으로 義同이라 蓋古聲은 奏族相近하니 族聲轉平而爲鬷耳라 無言無爭은 肅敬而齊一也ㅣ라 言其載淸酤하니 而旣與我以思成矣요 及進和羹而肅敬之至하니 則又安我以眉壽黃耈之福也ㅣ라

○고는 술이고, 뇌는 줌이라. 사성은 뜻이 상편에 나타나니라. 화갱은 맛이 조절됨이라. 계는 일찍 경계(준비)한 것이고, 평은 화함과 같으니라. 『의례』에 제사와 연향의 처음에는 매번 갱정이라고 말했다 하니 대개 국이 익은 것으로써 절차를 삼은 연후에 예를 행하니(요즈음에도 제사를 지낼 때 국을 제상에 올리는 것으로써 본격적인 제례를 행하는데 동이족의 오랜 풍습이었음을 볼 수 있다), 정은 곧 준비하고 고르는 것을 이름이라. 주는 『중용』에 ‘아뢸 주’로 지었으니(『중용』33장 “詩曰奏假無言하야 時靡有爭이라하니 是故로 君子는 不賞而民勸하며 不怒而民威於鈇鉞이니라” : 『시경』에 이르기를 “신 앞에 나아가 신이 감격해 이름에 말이 없어서 때에 다툼이 있지 않다”하니, 이런 고로 군자는 상을 주지 아니하여도 백성들이 권하며, 성내지 않아도 백성들이 작도와 도끼보다 더 두려워하느니라), 바로 상편과 더불어 뜻이 같음이라(湯孫奏假의 ‘奏’). 대개 옛 소리는 奏와 族이 서로 비슷하니 族의 소리가 평성으로 바뀌어 鬷(나아갈 주)가 된 것이라. 말이 없고 다툼이 없음은 엄숙하고 공경하며 한 가지로 가지런함이라. 말하기를 그 맑은 계명주를 올리니 이미 나에게 이룬 생각으로써 주고, 조화를 이룬 국을 올림에 미치어서는 엄숙하고 공경함이 지극하니 곧 또한 나를 미수와 황구의 복으로써 편안히 한다 함이라.

約軝錯衡이며 八鸞鶬鶬이라 (약기착형(항)이며 팔란창창이라

以假以享하니 我受命溥將이어늘 이격이향하니 아수명부장이어늘

自天降康하사 豊年穰穰하니 자천강강하사 풍년양양하니

來假來饗하야 降福無疆이로다 내격래향하야 강복무강이로다)


묶어놓은 수레바퀴와 무늬 있는 멍에이며, 여덟 개의 방울이 딸랑딸랑 하니라.

이르러 제를 올리니 내 명을 받음이 넓고 크거늘

하늘로부터 평강함을 내리사 풍년이 많고 많으니

와서 이르러 와서 흠향하야 복을 내림이 무강하도다.

軝 : 바퀴통 머리 기 鶬 : 왜가리 창, 꾀꼬리 창, 금으로 장식한 모양

○約軝錯衡八鸞은 見采芑篇하고 鶬은 見載見篇하니 言助祭之諸侯ㅣ 乘是車하야 以假以享于祖宗之廟也ㅣ라 溥은 廣이오 將은 大也ㅣ라 穰穰은 多也ㅣ니 言我受命旣廣大어늘 而天降以豊年黍稷之多하야 使得以祭也ㅣ니 假之而祖考來假하고 享之而祖考來享하니 則降福無疆矣라

○약기착형과 팔란은 (小雅 동궁지십 제4편) 채기편에 나타나고, 창은 (주송 신공지십 제8편) 재현편에 나타나니, 제사를 돕는 제후가 이 수레를 타고서 조종의 사당에 이르러 제를 올림을 말함이라. 박은 넓음이고, 장은 큼이라. 양양은 많음이니 말하기를 내 명을 받음이 이미 넓고 크거늘 하늘이 풍년으로써 서직을 많이 내리셔서 하여금 얻어서 제사하니, 이르시게 함에 조고가 와서 이르시고 제를 올림에 조고가 오셔서 흠향하시니 곧 복을 내리심이 무강함이라.

顧予烝嘗인저 湯孫之將이니라

(顧予烝嘗인저 湯孫之將이니라 賦也ㅣ라)


내 증제와 상제를 돌아볼진저, 탕왕의 후손이 올림이니라.

○說見前篇이라

○설명이 전편에 나타나니라.

烈祖一章 二十二句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0 장발(長發) /상송商頌  (0) 2010.01.08
309 현조 /상송  (0) 2010.01.08
307 나(那)/상송商頌  (0) 2010.01.08
306 비공(閟宮) /형지십/노송  (0) 2010.01.08
305 반수 /형지십/노송  (0) 2010.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