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주]시회시의 백미로 꼽히는 <석서>이다. 석서는 물론 가렴주구하는 탐관오리이다.

http://blog.naver.com/bhjang3/140040145291

113 詩經-魏風-碩鼠(석서)- 큰 쥐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黍(무식아서) : 우리 기장 먹지마라.
三歲貫女(삼세관여) : 삼년 너를 위해 주었거늘
莫我肯顧(막아긍고) : 나를 돌보지 않는구나.
逝將去女(서장거여) : 난 너를 떠나 멀리 가리라
適彼樂土(적피락토) : 저 낙원으로 가리라
樂土樂土(락토락토) : 낙원이여, 낙원이여
爰得我所(원득아소) : 거기가면 내 편히 쉬리라.

比이다. 碩은 큼이다. 三歲는 그 오래됨을 말한 것이다. 貫은 습관이요, 顧는 생각함이요, 逝는 감이다. 樂土는 道가 있는 나라이다. 爰은 於이다.

○ 백성들이 貪殘한 정사에 노곤해 하였다. 그러므로, 큰 귀가 자기를 해친다고 가탁하여 말하고 떠난 것이다.


碩鼠碩鼠(석서석서) : 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麥(무식아맥) :우리 보리 먹지마라
三歲貫女(삼세관녀) : 삼년동안 너를 위해주었거늘
莫我肯德(막아긍덕) : 내게 은덕은 베풀지 않는구나
逝將去女(서장거여) :내 너를 떠나 멀리 가리라
適彼樂國(적피락국) : 저 낙원으로 가리라
樂國樂國(락국락국) : 낙원이여, 낙원이여.

爰得我直(원득아직) :거기가면 내 곧게 살리라.

比이다. 德은 恩惠를 돌림이다. 直은 宜와 같다.


碩鼠碩鼠(석서석서):큰 쥐야, 큰 쥐야,

無食我苗(무식아묘):우리 곡식 먹지 마라.

三歲貫女(삼세관녀):삼년 너를 섬겼거늘,

莫我肯勞(막아긍노):날 아니 위해주나.

逝將去女(서장거녀):난 이제 너를 떠나,

適彼樂郊(적피락교):저 즐거운 들로 가련다.

樂郊樂郊(락교락교):즐거운들, 즐거운 들,

誰之永號(수지영호):거기에는 긴 한숨 없으리라.

比이다. 勞는 勤苦함이니, 나를 勤勞하게 하지 않음을 이른 것이다. 永號은 길게 부름이다. “이미 樂郊에 간다면 다시 나를 해칠 자가 없을 것인 마땅히 다시 누구를 위하여 길이 부르랴.”라 말한 것이다.


碩鼠 三章이니, 章 八句이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위풍 제7편 석서3장(碩鼠三章)]

碩鼠碩鼠아 無食我黍ㅣ어다 三歲貫女호늘 莫我肯顧ㅣ란대 逝將去女코 適彼樂土호리라 樂土樂土ㅣ여 爰得我所ㅣ로다

(석서석서아 무식아서ㅣ어다 삼세관여호날 막아긍고ㅣ란대 서장거여코 적피닉토호리라 낙토낙토ㅣ여 원득아소ㅣ로다 比也ㅣ라)
큰 쥐야, 큰 쥐야, 내 기장을 먹지 말지어다. 삼년을 너와 익혔거늘 나를 좋게 돌아보지 아니하는데 가서 장차 너를 버리고 저 낙토로 가리라. 낙토여, 낙토여, 이에 내가 살 곳을 얻었도다.

[해설]
큰 쥐는 백성들을 수탈하는 벼슬아치들을 빗대놓고 말한 것으로, ‘큰 도둑아, 큰 도둑아, 제발 내가 애써 농사지은 곡식을 먹지 말라,’ 곧 세금이란 명목으로 다 빼앗아 가지 말라는 뜻이다. 네(임금을 가리킴)가 정치를 한지 오래되었지만 정치를 잘못하고, 계속 수탈이나 해간다면 이 땅을 버리고, 내가 살기 좋은 곳으로 가겠다는 뜻이다.

○比也ㅣ라 碩은 大也ㅣ라 三歲는 言其久也ㅣ라 貫은 習이오 顧는 念이요 逝는 往也ㅣ라 樂土는 有道之國也ㅣ라 爰은 於也ㅣ라 ○民이 困於貪殘之政이라 故로 託言大鼠害己而去之也ㅣ라

○비라. 석은 큼이라. 삼세는 그 오래됨을 말함이라. 관은 익힘이고, 고는 생각함이고, 서는 감이라. 낙토는 도(도덕정치)가 있는 나라이라. 원은 於(늘 어)와 같음이라. ○백성이 탐학하고 잔혹한 정치에 곤함이라. 그러므로 큰 쥐가 몸에 해롭게 하기에 떠난다는 것을 의탁하여 말함이라.

碩鼠碩鼠아 無食我麥이어다 三歲貫女호늘 莫我肯德이란대 逝將去女코 適彼樂國호리라 樂國樂國이여 爰得我直이로다

(석서석서아 무식아맥이어다 삼세관여호날 막아긍덕이란대 서장거여코 적피낙국호리라 낙국낙국이여 원득아직이로다 比也ㅣ라)
큰 쥐야, 큰 쥐야, 내 보리를 먹지 말지어다. 삼년을 너와 익혔거늘 나를 즐기어 덕을 보이지 아니하니 가서 장차 너를 버리고 저 낙국으로 가리라. 낙국이여, 낙국이여, 이에 내가 바르게 살 곳을 얻었도다.

○比也ㅣ라 德은 歸恩也ㅣ라 直은 猶宜也ㅣ라

○비라. 덕은 은혜로 돌아감이라. 직은 마땅함과 같음이라.

碩鼠碩鼠아 無食我苗ㅣ어다 三歲貫女호늘 莫我肯勞ㅣ란대 逝將去女코 適彼樂郊호리라 樂郊樂郊ㅣ여 誰之永號ㅣ리오

(석서석서아 무식아묘ㅣ어다 삼세관여호날 막아긍로ㅣ란대 서장거여코 적피낙교호리라 낙교낙교ㅣ여 수지영호ㅣ리오 比也ㅣ라)
큰 쥐야, 큰 쥐야, 내 싹을 먹지 말지어다. 삼년을 너와 익혔거늘 나를 즐기어 위로하지 아니하니 가서 장차 너를 버리고 저 낙교로 가리라. 낙교여, 낙교여, 누구 때문에 길이 호소하리오(낙교로 갔기에 더 이상 호소할 일이 없도다).

○比也ㅣ라 勞는 勤苦也ㅣ니 謂不以我爲勤勞也ㅣ라 永號는 長呼也ㅣ니 言旣往樂郊면 則無部有害己者ㅣ니 當復爲誰而永號乎리오 하니라 (碩鼠三章이라)

○비라. 노는 근면 노고함이니 나로써 근로하지 않았다고 이름이라. 영호는 길이 호소함이니, 이미 낙교로 가면 곧 다시는 나를 해칠 자가 있지 않으니 마땅히 다시 누구를 위해서 길이 호소하리오 하니라. (석서3장이라)

碩鼠三章章八句

魏國七篇十八章一百二十八句
위국 7편 18장 128구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산유추 /당풍  (0) 2009.12.25
114 실솔 /당풍  (1) 2009.12.25
112 벌단 /위풍  (1) 2009.12.25
111 십무지간 /위풍  (1) 2009.12.25
110 척호 /위풍  (1) 2009.12.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