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bhjang3/140039660941
野有死麕
(야유사균) : 들판에 죽은 노루
白茅包之
有女懷春
吉士誘之
興이다.麕(균)은 노루이니 사슴의 등속인데 뿔이 없다. 懷春은 봄에 즈음하여 그리움이 있는 것이다. 吉士는 美士란 말과 같다.
○ 南國이 文王의 교화를 입어서 여자들이 貞潔하고 自守하여 强暴한 자의 더럽힌 바 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詩人이 그 본 것에 인연하여 그 일을 흥기시켜서 찬미한 것이다. 혹자는 賦라 하였는데, 美士가 흰 띠풀로 죽은 노루를 싸서 懷春하는 여자를 꼬임을 말한 것이다.
林有樸樕
興이다. 樸樕은 작은 나무이다. 鹿은 짐승의 이름이니, 뿔이 있다. 純束은 싼다는 것과 같다. 玉과 같다는 것은 그 姿色이 아름답다는 것이다. 위의 세 구절은 아래의 한 구절을 興한 것이다. 혹자는 賦인데, 떡깔나무로 죽은 노루 밑에 깔고 흰 띠풀로 묶어서 이 玉과 같은 여인을 유혹함을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
舒而脫脫兮
賦이다. 舒는 遲緩함이요, 脫脫은 舒緩한 모양이다. 感은 動함이요, 帨는 수건이다. 尨은 삽살개다.
○ 이 章은 바로 여자가 거절한 말을 기술한 것이다. 말하자면, “우선 徐徐히 와서 나의 수건을 움직이지 말며 나의 개를 놀라게 하지 말라.”라고 하니 심히 그 능히 서로 미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그 凜然히 범할 수 없는 뜻을 대개 볼 수가 있다.
野有死균 三章이니, 二章은 章 四句요 一章은 三句이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소남 제12편 야유사균3장(野有死麕三章)]
野有死麕이어늘 白茅包之로다 有女懷春이어늘 吉士誘之로다
(야유사균이어늘 백모포지로다 유녀회춘이어늘 길사유지로다 興也ㅣ라)
들에 죽은 노루가 있거늘
흰 띠풀로 싸놋다.
여자가 봄을 그리워하거늘
아름다운 선비가 유혹하놋다.
[해설]
吉士가 죽은 노루를 흰 띠풀로 감싸둔 것은 봄을 그리는 여자에게 보라는 뜻이다. 나는 哀戀의 정을 가진 아름다운 사람이므로 사귀어보자고 유혹하는 뜻이 담겨 있다.
○興也ㅣ라 麕은 獐也ㅣ니 鹿屬無角이라 懷春은 當春而有懷也ㅣ라 吉士는 猶美士也ㅣ라 ○南國이 被文王之化하야 女子有貞潔自守하고 不爲强暴所汚者라 故로 詩人이 因所見하야 以興其事而美之라 或曰賦也ㅣ니 言美士ㅣ 以白茅로 包其死麕而誘懷春之女也ㅣ라
○흥이라. 균은 노루이니 사슴속이되 뿔이 없음이라. 회춘은 봄을 당하여 회포를 가짐이라. 길사는 아름다운(잘난) 선비라. ○남국이 문왕의 교화를 입어서 여자가 정결을 스스로 지킴이 있고 강포한 자들에게 더럽히는 바를 당하지 않음이라. 그러므로 시인이 보는 바로 인하여 써 그 일을 흥기하여 아름다이 여기니라. 혹자는 가로대 부시라 하니, 아름다운 선비가 백모로써 그 죽은 노루를 싸서 봄을 그리는 여자를 유혹한다고 말했느니라.
林有樸樕하며 野有死鹿이어늘 白茅純束하나니 有女如玉이로다
(임유복속하며 야유사록이어늘 백모둔속하나니 유여여옥이로다 興也ㅣ라)
숲에는 떡갈나무가 있으며
들에는 죽은 노루가 있거늘
흰 띠풀로 묶나니
여자가 옥 같도다.
樸 : 소박할 박, 여기서는 ‘떡갈나무 복’ 樕 : 떡갈나무 속 純 : 순수할 순, 여기서는 ‘묶을 둔’
○興也ㅣ라 樸樕은 小木也ㅣ라 鹿은 獸名이니 有角이라 純束은 猶包之也ㅣ라 如玉者는 美其色也ㅣ라 上三句로 興下一句也ㅣ라 或曰賦也ㅣ니 言以樸樕으로 藉死鹿하야 束以白茅하고 而誘此如玉之女也ㅣ라
○흥이라. 복속은 작은 나무라. 녹은 짐승 이름이니 뿔이 있음이라. 둔속은 싼다는 것과 같음이라. 옥 같다는 것은 그 색이 아름다움이라. 위의(앞의) 세 글귀로 아래(뒤의) 한 귀를 흥기함이라(곧 林有樸樕, 野有死鹿, 白茅純束 세 글귀로 有女如玉을 흥기함이라). 혹자가 부시라 하니 떡갈나무로써 죽은 노루를 깔아서 흰 띠로써 묶어서 이에 옥같은 여자를 유혹함이라.
舒而脫脫兮하야 無感我帨兮하며 無使尨也吠하라
(서이태태혜하야 무감아세혜하며 무사방야폐하라 賦也ㅣ라)
가만히 느릿느릿하여
내 수건을 움직이게 하지 말며
삽살개로 하여금 짖지 말게 하여라.
脫 : 벗을 탈, 여기서는 ‘느릴 태’ 帨 : 수건 세 尨 : 삽살개 방 吠 : 짖을 폐
[해설]
네가 나에게 오려면 가만가만히 천천히 와서, 내가 오지 말라고 수건 흔드는 일이 없도록 하고, 우리 집 앞에 와서 삽살개가 짖는 일이 없도록 하라. 여자가 남자를 거절하는 뜻이다.
○賦也ㅣ라 舒는 遲緩也ㅣ라 脫脫는 舒緩貌라 感은 動이오 帨는 巾이오 尨은 犬也ㅣ라 ○此章은 乃述女子拒之之辭라 言姑徐徐而來하야 毋動我之帨하며 毋動我之犬이라 하니 以甚言其不能相及也ㅣ니 其凜然不可犯之意를 蓋可見矣로다 (野有死麕三章이라)
○부라. 서는 느림이라. 태태는 서서히 느릿느릿한 모양이라. 감은 움직이고, 세는 수건이고, 방은 개라. ○이 장은 이에 여자가 거절하는 말을 지음이라. 짐짓 서서히 와서 내 수건을 흔들리게 하지 말며 내 집 개가 짖지 않도록 하라 하니 써 그 능히 서로 가까이해서는 안 됨을 심하게 말함이니 그 늠름하게 가히 범하지 않는 뜻을 대개 가히 보리로다. (야유사균삼장이라)
野有死麕三章二章章四句一章三句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5 추우(騶虞,몰이꾼)二章 /소남 (0) | 2009.11.22 |
---|---|
024 하피농의(何彼穠矣)三章-어찌 저리도 고울까? / 召南소남 (0) | 2009.11.22 |
022 강유사 /소남 (0) | 2009.11.22 |
021소성(小星, 작은 별) /소남 (0) | 2009.11.22 |
020 摽有梅(표유매) 三章- 매실 따기 /소남召男 (0) | 2009.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