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주]장영희 교수는 우리도 그의 번역 소설을 한 편 정도는 읽은 저명한 영문학자 고 장왕록
교수의 따님이십니다. 1급장애자인 그녀는 척추암 선고를 받고서도 살아있는 날들의 행복을
감사하며 틈만 나면 남을 도우려 애쓰시던 분이셨습니다.
신문에서 그 분의 부음을 접하던 날 나도존재의 무상함이 서러워서 혼자서 믾이 울었습니다.
그녀의 삶은 건강하고 멀쩡한 몸으로 끊임없이 불평을 늘어놓는 우리들을 감동시킵니다.
목발을 팽개치고 두 다리의 힘만으로 일어설 수 있었다면 뭐라고 신에게 감사했을지 궁금하기
짝이 없습니다.
천형 아닌 천혜(天惠)의 삶 살다간 장영희 교수
원문 http://lady.khan.co.kr/khlady.html?mode=view&code=4&artid=12619&pt=nv
단발머리에 소녀 같은 미소, 명수필가이자 번역가, 영문학자였던 장영희 서강대학교(영어어문
·영미문학과) 교수가 지난 5월 9일 낮 12시 50분 눈을 감았다. 생애 대부분을 목발에 의지했
고 삶을 집어삼킬 것 같은 세 번의 암을 겪었지만 아무도 그녀에게 불행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녀는 자신에게, 그리고 우리에게 한 글자 한 글자 온 힘을 다해 희망을 전하던 불멸의 소녀
로 영면했다.
ⓒ한영희
고통과 시련 위에 피워낸 꽃 같은 삶
장영희 교수(57)의 죽음이 세상에 전해진 5월 11일, 사람들은 울었다. 가족과 친구와 하늘이
울고 있을 때 그녀는 웃고 있었다. 서울 세브란스병원에 차려진 고인의 빈소에서 사진 속
그녀는 시종일관 웃음으로 조문객을 맞이했다. 죽음조차 언제나 다독이고 미소로 말을 걸었던
청량한 그녀의 삶과 닮았다.
한국 번역문학의 태두, 영문학자 장왕록의 1남 5녀 중 셋째였던 그녀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영문학자 겸 번역가로 세상에 자신의 존재를 알렸다. 펄 벅의 「살아 있는 갈대」를 아버지
와 공동 번역하고 「슬픈 카페의 노래」, 「이름 없는 너에게」,「큰 물고기」, 「피터팬」
등을 번역한 동시에 폭넓고 섬세한 영문학 해설로 영문학을 대중 가까이에 끌어당겼다. 각종
칼럼과 에세이를 통해 따뜻하고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해온 그녀는 차고 넘치는 사랑 가득한
삶을 살았다. 하지만 동시에 고통과 놀라움으로도 가득한 삶이었다.
태어난 지 1년 만에 소아마비 판정을 받은 그녀는 다섯 살 때까지 제대로 앉지도 못해 누워만
있던 소아마비 1급 장애우였다. 초등학교 3학년 때까지 엄마 등에 업혀 학교에 갔고, 엄마는
그녀를 화장실에 데려가기 위해 두 시간에 한 번씩 학교를 찾았다. “운명처럼, 십자가처럼
어머니는 나를 업었다…”라고 전하는 그녀지만 그렇게라도 학교에 갔다는 것이 중요했다.
학교에 진학할 때마다 장애우라는 이유로 그녀를 거부하는 학교에 애원하던 아버지가 있었다.
그녀는 ‘육체 기능이 떨어지니 머리로 내 자신을 증명해 보여야 한다’라고 생각했다.
그렇게 두 발 대신 공부로 이 세상에 발붙일 근거를 마련한 그녀는 서강대를 거쳐 뉴욕주립대
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고 모교 교수로 취임한다.
장영회를 아는 사람들은 그녀를 ‘소녀 같은 사람’이라고 기억한다. 어깨에서 찰랑거리는
단발머리와 반짝이는 눈, 미소를 담은 얼굴, 언제나 밝은 표정으로 기분 좋게 뿜어내던
에너지는 그녀의 글에서도 맑고 건강하게 투영됐다. 그녀의 저서 중 「생일」과 「축복」은
사랑과 희망을 주제로 한 영미시 모음집. 여러 칼럼과 에세이 연재를 통해 전해지는 씩씩한
삶의 의지는 그녀 스스로는 물론, 사람들 머릿속에서 그녀의 목발을 지웠다.
그런 그녀에게 2001년 병마가 찾아왔다. 미국에서 안식년을 마칠 무렵, 그동안 미국에서 낸
의료보험료가 아까워 ‘밑천을 뽑기 위해’ 받은 건강진단에서 유방암 판정을 받은 것이다.
다행히 1년 만에 완쾌됐지만 2004년 다시 척추암 선고를 받는다. 꿋꿋한 의지로 병마를
이기고 이듬해 봄, 학생들의 환영을 받으며 강단에 복귀했지만 지난해 암이 간으로 전이되며
다시 목발을 짚지 못했다. 2004년 완치된 줄 알았던 암이 재발했을 때 그녀는 “신은 다시
일어서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 넘어뜨린다고 믿는다”라고 썼다. 고통스러운 투병생활 속에서
도 열정을 다해 쓴 두 번째 에세이의 제목은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눈 감기 하루 전
혼수상태에서 완성된 책을 품에 안은 그녀는 그렇게 마지막까지 열정이라는 기적을 낳고
눈을 감았다.
[참고]이하의 내용은 원문의 주소창을 클릭하여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