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맨 아랫사진 악단의 왼쪽 끝 악사의 혜금 연주도 정겨웠습니다.

오른쪽 장고 앞에 앉은 장고잽이는 두 번째 사진에서 노래의 주연 광대였습니다.

봉산탈춤기능 보유자들의 봄철 정기공연이 4/12(토) 4:00-6:00 성동문화회관에서 있었습니다.

6월공연은 국립극장에서 5시간짜리로 보여준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관람 부탁드려요.

탈춤은 춤과 노래의 향연인데 일반인들은 관람 기회를 못 가지기 때문에 그 진수를 놓치기 쉽습니다.

관객의 감정을 끌어올리는 시나위곡과 더욱 신명나는 굿거리 장단이 춤판을 한껏 고조시키지요.

곧 초점을 춤과 노래에 맞춰 관람하셔야 바른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는 말씀입니다.

조선시대의 탈춤판 광대란 당대 최고의 춤꾼들이고 노래꾼들이지요.
춤으로 말하면 요즈음의 비보이들이라나 할까요?

탈춤이라면 사람들은 탈을 연상하지만 탈춤은 실상 노래와 춤이 중심이고
그것들을 접합시키기 위해 등장인물의 대사가 개입합니다.
그러니까 탈춤은 이를테면 브로드웨이의 대표적 예술 장르인 뮤지컬이고
역동적 율동에 바탕한 무용극인 춤극입나다.
그리고 봉산탈춤을 대표하는 캐릭터는 단연 서민을 대표하는 말뚝이입니다.
조선 신분사회에서 하등에 속하는 그의 신분은 종이지만 실상 그는 건강한 해학으로 양반들을

능멸하며 자신의 생존을 굳건히 지켜가는 서민의 생명력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그는 어떤 환경에서도 금방 적응하는 강인하고 왕성한 생명력을 지닌 잡초이고 현실을

투시하는 통찰력을 유감없이 발휘하는 김수영의 <풀>같은 존재입니다.

봉산 탈춤 극본 |

1. 송석하, <봉산 가면극 각본>, <문장> 2권, 6·7월 합호, 1940. 6.
2. 임석재, <봉산 탈춤 대사>,<국어국문학> 18, 국어국문학회, 1957.
3. 물질문화유물보존회,<봉산 탈춤 대본>,<조선의 민간오락>, 평양, 국립출판사, 1955.
4. 김일출, <봉산 탈놀이 대본>,<조선 민속탈놀이 연구>, 평양 과학 출판사, 1958.
5. 이두현,<봉산 탈춤 대사>,<한국가면극>,문화재관리국, 1968.

[구성]

아래 창 <봉산탈춤소개>에는 제1-제7과장까지의 대본도 과장별로구분하여 실었습니다.

http://www.bongsantal.com/bongsantal.html참조

7과장으로 나누어 제1과장 사상좌춤,

제2과장 팔목중춤,

제3과장 사당춤,

제4과장 노장춤,(신장수, 취발이춤 포함),

제5과장 사자춤,

제6과장 양반 말뚝이춤,

제7과장 미얄 영감춤을

이 놀이의 내용 역시 산대도감 계통극으로서 다른 가면극과 거의 동일한 주제를 갖고 있다.

1. 벽사진경의식무(사상좌춤과 지노귀굿)
2. 파계승에 대한 풍자
3. 양반에 대한 모욕
4. 일부대처첩의 3각관계와 서민의 생활상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파계승, 몰락한 양반과 그 하인, 무당,사당거사와 기타 서민들의 등장을

통하여 무속과 불교 신앙과 권선징악의 테두리 안에서 호색과 현실 폭로의 익살과 웃음을 통하여

이상의 주제를 극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놀이는 이북지방의 큰 명절인 단오날 주로 연희되었으며

사상좌춤으로 시작하여 굿으로 끝나고 있으나 다른 가면극에 비하여 신앙적 내지는 종교적

의의는 희박하고 민중의 오락적 요소가 훨씬 우세하다.

아래 창[봉산탈춤-봉산탈춤6]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http://search.pandora.tv/frame/outSearch.htm?ref=na&ch_userid=obok3800&id=12930286&keyword=%BA%C0%BB%EA%C5%BB%C3%E3


'문화예술 역사 > 공연 영화 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옥빈  (1) 2009.01.19
한예슬 송승헌 광고사진  (0) 2009.01.14
스타 생얼 Best  (0) 2009.01.08
학생부군신위  (4) 2008.12.27
이다혜의 변신  (1) 2008.12.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