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_풍수환(風水渙)

 

渙(환) : 환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이 묘당에 이르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내를 건넘이 이로우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渙亨剛來而不窮(환형강래이부궁) : '환형'은 <강>효가 와서 궁하지 않고,

柔得位乎外而上同(유득위호외이상동) : <유>효가 밖에서 자리를 얻고 위로 같이 함이라.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가유묘'는

王乃在中也(왕내재중야) : 왕이 이에 중정함이요,

利涉大川(이섭대천) : '이섭대천'은

乘木有功也(승목유공야) : 나무를 타서 공이 있음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風行水上渙(풍행수상환) : 바람이 물위에 행함이 환괘의 괘상이니

先王以享于帝立廟(선왕이향우제입묘) : 군자가 상제께 제사를 올리며 묘당을 세우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用拯馬壯吉(용증마장길) : 써서 구원하되 말이 건장하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初六之吉順也(초육지길순야) : '초육지길'은 순함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渙奔其机(환분기궤) : <환>에 그 책상에 달려가면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어지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奔其机(환분기궤) : '환분기궤'는

得願也(득원야) : 원함을 얻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渙其躬无悔(환기궁무회) : <환>에 그 몸이 뉘우침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其躬(환기궁) : '환기궁'은

志在外也(지재외야) : 뜻이 밖에 있음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渙其群元吉(환기군원길) : <환>에 그 무리함이라. 크게 길하니,

渙有丘匪夷所思(환유구비이소사) : <환>에 언덕이 있음이 평등하게 생각할 바가 아니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其群元吉(환기군원길) : '환기군원길'은

光大也(광대야) : 빛나고 큼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渙汗其大號(환한기대호) : <환>에 그 크게 부르짖음을 땀나듯이 하면,

渙王居无咎(환왕거무구) : <환>에 임금의 거함이니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王居无咎(왕거무구) : '왕거무구'는

正位也(정위야) : 자리가 바름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渙其血去(환기혈거) : <환>에 그 피가 가며,

逖出无咎(적출무구) : 두려운데에서 나가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渙其血(환기혈) : '환기혈'은

遠害也(원해야) : 해를 멀리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9풍수환風水渙?category=343349 [빈막(賓幕)]

 

59_풍수환(風水渙)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9_풍수환(風水渙) 渙(환) : 환은 亨(형) : 형통하니, 王假有廟(왕가유묘) : 왕이 묘당에 이르며 利涉大川(이섭대천) : 큰

hwalove.tistory.com

 

 

58.태위택(兌爲澤)

 

兌(태) : 태는

亨(형) :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兌說也(태열야) : 태는 기뻐하는 것이니,

剛中而柔外(강중이유외) : <강>효가 중정하고 <유>효가 바깥해서,

說以利貞(열이이정) : 기뻐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是以(시이) : 이로써

順乎天而應乎人(순호천이응호인) : 하늘에 순하고 사람에게 응해서,

說以先民(열이선민) : 기뻐함으로써 백성에게 먼저 하면

民忘其勞(민망기로) : 백성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

說以犯難(열이범난) : 기뻐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民忘其死(민망기사) : 백성이 그 죽음을 잊나니,

說之大民勸矣哉(열지대민권의재) : 기뻐함의 큰것이 백성이 권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麗澤兌(려택태) : 걸린 못이 태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朋友講習(군자이붕우강습) : 군자가 친구와 강습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和兌吉(화태길) : 화해서 기뻐함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和兌之吉(화태지길) : '화태지길'은

行未疑也(행미의야) : 행하는데 의심하지 않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孚兌吉(부태길) : 미더워해서 기뻐함이니 길하고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孚兌之吉(부태지길) : '부태지길'은

信志也(신지야) : 뜻을 믿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來兌凶(래태흉) : 와서 기뻐함이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來兌之凶(래태지흉) : '래태지흉'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당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商兌未寧(상태미녕) : 기쁨을 헤아려서 편안치 아니하니,

介疾有喜(개질유희) : 분별해서 불의를 미워하면 기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四之喜(구사지희) : '구사지희'는

有慶也(유경야) : 경사가 있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孚于剝有厲(부우박유려) : 깍는데 믿으면 위태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孚于剝(부우박) : '부우박'은

位正當也(위정당야) : 자리가 정당함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引兌(인태) : 이끌어서 기뻐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上六引兌(상육인태) : '상육인태'는

未光也(미광야) : 빛나지 못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8태위택兌爲澤?category=343349 [빈막(賓幕)]

 

58_태위택(兌爲澤)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8_태위택(兌爲澤) 兌(태) : 태는 亨(형) :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兌說

hwalove.tistory.com

 

 

57_손위풍(巽爲風)

 

巽(손) : <손>은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重巽(중손) : 거듭한 손으로써

以申命(이신명) : 명을 펴나니,

剛巽乎中正而志行(강손호중정이지행) : <강>효가 중정에 겸손해서 뜻이 행하며,

柔皆順乎剛(유개순호강) : <유>효가 모두 <강>효에 순응함이라.

是以(시이) : 이로써

小亨(소형) : 小亨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隨風巽(수풍손) : 따르는 바람이 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申命行事(군자이신명행사) : 군자가 이로써 명을 거듭해서 일을 행하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進退(진퇴) : 나아가고 물러남이니,

利武人之貞(이무인지정) : 무인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進退志疑也(진퇴지의야) : '진퇴'는 뜻이 의심함이요,

利武人之貞志治也(이무인지정지치야) : '이무인지정'은 뜻이 다스러짐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巽在牀下(손재상하) : <손>효가 평상 아래에 있으니,

用史巫紛若(용사무분약) : <사>와 무당을 불러 씀이 많으면

吉无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紛若之吉(분약지길) : '분약지길'은

得中也(득중야) : 중정을 얻음이라.

 

九三(구삼) : 구삼은

頻巽吝(빈손인) : 자주 겸손함이니,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頻巽之吝(빈손지린) : '빈손지린'은

志窮也(지궁야) : 뜻이 궁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悔亡(회망) : 후회가 없어지니,

田獲三品(전획삼품) : 사냥하여 삼품을 얻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田獲三品(전획삼품) : '전획삼품'은

有功也(유공야) : 공이 있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貞吉悔亡(정길회망) : 바르면 길해서 뉘우침이 없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无不利无初有終(무부리무초유종) : 처음은 없고 마침은 있느니라.

先庚三日(선경삼일) : <경>효로 앞서 삼일하며,

後庚三日吉(후경삼일길) : <경>효로 뒤로 삼일하면 길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五之吉(구오지길) : '九五之吉'은

位正中也(위정중야) : 위가 바르고 중정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巽在牀下(손재상하) : 겸손한 것이 상아래에 있어서,

喪其資斧(상기자부) : 그 몸에 지닌 도끼를 잃으니

貞凶(정흉) : 집착하여 고집함에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巽在牀下(손재상하) : '손재상하'는

上窮也(상궁야) : 위에서 궁함이요,

喪其資斧(상기자부) : '상기자부'는

正乎凶也(정호흉야) : 바르겠는가, 흉함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7손위풍巽爲風?category=343349 [빈막(賓幕)]

 

57_손위풍(巽爲風)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7_손위풍(巽爲風) 巽(손) : <손>은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이유유왕)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이견대인)

hwalove.tistory.com

 

 

56.화산여(火山旅)

 

旅(여) : 여는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고

旅貞吉(여정길) : 나그네가 바르게 해서 길하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旅小亨(여소형) : '旅小亨'은

柔得中乎外而順乎剛(유득중호외이순호강) :
<유>효가 밖에서 중앙의 지위를 얻어 <강>효에 순응하고,

止而麗乎明(지이려호명) : 고요히 멈추어 밝은 빛 속에 선다.

是以(시이) : 이로써

小亨旅貞吉也(소형여정길야) : 조심하는 나그네의 심정으로 곧으면 길하다

旅之時義大矣哉(여지시의대의재) : 여행할 때는 바른 자세를 지켜야 한다 그 의미가  크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山上有火旅(산상유화여) : 산 위에 불이 있는 것이 여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明愼用刑(군자이명신용형) : 군자가 형벌 쓰는 것을 밝게 삼가하여

以不留獄(이부류옥) : 감옥에 머무르지 아니 하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旅瑣瑣(여쇄쇄) : 나그네가 자잘하게 행동하니

斯其所取災(사기소취재) : 그 재앙을 취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旅瑣瑣(여쇄쇄) : '여쇄쇄'는

志窮災也(지궁재야) : 뜻이 궁해서 재앙이라.

 

六二(육이) : 육이는

旅則次(여칙차) : 나그네가 여관에 들어가서,

懷其資(회기자) : 그 노자를 품고,

得童僕貞(득동복정) : 어린 종의 바른 자세를 얻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得童僕貞(득동복정) : 어린 종의 바른 자세를 얻었으니

終无尤也(종무우야) : 마침내 허물이 없으리라.

 

九三(구삼) : 구삼은

旅焚其次(여분기차) : 나그네가 그 여관을 불사르고,

喪其童僕貞(상기동복정) : 그 동복의 바른 자세를 잃으니 위태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旅焚其次(여분기차) : 나그네가 그 여관을 불사르니

亦以傷矣(역이상의) : 또한 상처를 받고,

以旅與下(이려여하) : 나그네로써 아래와 더불어했으니

其義喪也(기의상야) : 그 의리를 잃어서라.

 

九四(구사) : 구사는

旅于處(여우처) :나그네가 처하게 되고

得其資斧(득기자부) : 그 노자와 도끼를 얻으나,

我心不快(아심부쾌) : 내 마음은 불쾌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旅于處(여우처) : '여우처'는

未得位也(미득위야) : 자리를 얻지 못함이니,

得其資斧(득기자부) : 그 노자와 도끼를 얻으나

心未快也(심미쾌야) : 마음이 유쾌하지 못함이라.

 

六五(육오) : 육오는

射雉一矢亡(사치일시망) : 꿩을 쏘아서 한 화살을 없애느니라.

終以譽命(종이예명) : 마침내 명예와 복록으로써 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終以譽命(종이예명) : 마침내 명예와 복록으로써 하니

上逮也(상체야) : 위에 미침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鳥焚其巢(조분기소) : 새가 그 집을 태우니,

旅人先笑後號咷(여인선소후호도) : 나그네가 먼저는 웃고 뒤에는 부르짖음이라.

喪牛于易凶(상우우이흉) : 소를 쉽게 잃으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以旅在上(이려재상) : 나그네로써 위에 있으니,

其義焚也(기의분야) : 그 의리가 불사르는 것이요,

喪牛于易(상우우이) : 소를 쉽게 잃으니

終莫之聞也(종막지문야) : 마침내 들음이 없음이라



출처: https://hwalove.tistory.com/entry/56화산여火山旅?category=343349 [빈막(賓幕)]

 

56_화산여(火山旅)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6_화산여(火山旅) 旅(여) : 여는 小亨(소형) : 조금 형통하고 旅貞吉(여정길) : 나그네가 바르게해서 길하니라. 彖曰(단왈) :

hwalove.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