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오면

봄이 어이 까마득하리

http://kydong77.tistory.com/8661 참조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8.3.15. 재판,pp.889-898.

(1965.3.15. 초판 발행)

 

목차를 참조하면

부록에

釋詞

評說

跋  3편이 실려 있다. 

 

'跋'을 펼치면 

<연구의 回憶>이란 제목이 나온다.

아래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발문의 일부다.

"간신히 일을 강행하여 드디어 千餘面의 큰 책을 完刊했음은 지금에 생각해도 다행한 일이다. 가 되자 나는 또 그에 고심했다. 저간의 온갖 腐心胸中에 깊이 축적된 비분感慨한 생각을 어떻게 표현할까? 때는 일제의 포학 最期, 맘대로 쓸 자유는 애초에 없었고, 이불을 뒤집어쓰고 며칠을 苦吟한 끝에 겨우 一文했다. 나로서는 실로 感懷깊은, 고심의名文이었다. 끝에庚辰小春이란 이 적혀 있다. 물론 그 완성된 때(194012)를 기념키 위함이나, 하필庚辰임은 그 당시 敵治연호를 굳이 피하려한 고심이요,小春은 음력10의 뜻 외에 내딴에는 당시 이로써 우리 민족문화의작은 봄이 온 것, 곧 저 셸리의 시西風賦의 끝줄,

 

오오, 바람이여, 겨울이 오면,

봄인들 어이 까마득하리?

 

의 뜻을 겸한 것이었다."


양 박사님은 <고가연구>의 강의를 이 책 발문에 나오는, 위당 정인보 선생의 찬시 해설로 시작하셨는데 그 분을 만난 건 내 일생의 보람이었다.

첫째는 그의 천재성과의 만남이었고,

둘째는 고가연구에 나타난 방대한 자료에 대한 경이로움이었다.

봄이 오면 바이런, 키츠와 함께 영국 낭만주의의 3대 시인으로 꼽히는

퍼시 비시 셸리(Percy Bysshe Shelley ; 1792년 8월 4일 ~ 1822년 7월 8일)의 西風賦」를 생각하게 된 것도 그 분 덕분이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는 양 박사님 참고문헌으로 아래 책을 들었다.
  • 『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硏究)』(양주동, 박문서관, 1942)
  • 『여요전주(麗謠箋注)』(양주동, 을유문화사, 1947)
  • 『국학연구논고』(양주동, 을유문화사, 1962)
  • 『증정고가연구(增訂古歌硏究)』(양주동, 일조각, 1965)
  • 『국어연구의 발자취』 Ⅰ(김완진 外, 서울대학교출판부, 1985)
  • 『양주동박사고희기념논문집』(무애선생고희기념논총간행회(无涯先生古稀紀念論叢刊行會)편, 탐구당, 1973)

    [네이버 지식백과] 양주동 [梁柱東]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추가]

양박사님의 위당 한시 해설에는 역사서와 국어사, 문학사에 나오는 한국 근현대 명사들과의 일화가 대부분이었다.
한시가 낯설고 어려우니 학생들은 자연 일화에 빠져들 수밖에 없었다.

그 분의 박식과 명사들과의 폭넓은 교류에 대한 입담은 당시 동아방송 토크쑈에서도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나의 지인들은 양박사님에 대해 물어오기도 했었다. 

당시 국문과 모집인원은 20명이었으나 늘어난 편입생 확대로 앨범의 졸업생수는 80여명에 달했다. 한국의 대학들은 1960년대, 70년대에 대형화하여 급성장했다. 이 시기를 지나며 한국의 대학순위도 크게 변화했다. 신진대학들의 급상승이 돋보였다.


 

양주동 박사의 <향가 연구의 回憶> 전문 읽기

http://blog.daum.net/newmountain/520


이 글에 대한 <우리회> 카톡 대화

[조병옥, 오후 5:43]
옛추억을 떠오르게하네.

[이명주, 오후6:24]

무애 선생님 참 오랜만에 뵙고 향가 연구에 얽힌 회고를 다시 접하니 감회가 참으로 깊네그려. 감히 근접하기 어려울 만큼 담대하고 무변하시던 그 열정과 천재적 풍모가 수십 년 전을 떠올리게 하네. 병옥이 결혼식 때 주례 끝나고 나서 예식장 계단 내려오실 때 부축해드렸던 기억 삼삼하네. 맥주광이셨는데...요 아래 우리 집에서 멀지 않은 돈암동 한옥 동네에 사셨고...


[오후 10:01]

결혼식 후 주례 답례로 맥주 박스 사들고 돈암동에 찾아 같던 철부지 시절이 떠오르네. 미당 선생님께 주례 부탁하러 갔다가 하필이면 내 결혼식 날이 미당 선생님의 시비가 고향에서 세워지는 행사가 있는 날인지라 미당 선생님께서 친히 무애 선생님에게 연락해 주셔서 허락받았던 제자 사랑의 두 큰 스승님들을 잊지 못하고 있네. 동국대학교 국문학과의 위상을 높여주신 무애 선생님이야말로 제자들에게 긍지를 심어주신 학계의 위인같은 존재가 아니겠는가. <문주반생기> 를 오랫만에 읽어 볼까 싶네.

[운영자12:03]

양박사님 사진 있으면 여기 좀 올려 주시게. 주례와 사진 찍잖아.

[운영자 12:31]

무애양주동저,<文酒半生記>-문학교단 사십년의 회억-,신태양사,1960년초판, 1962재판.

文酒半生記 302면. ‘문·학·교단 40년의 회고’의 부제가 있다. 1960년 신태양사(新太陽社)에서 발간하였다.    수록한 수필은 모두 6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1부 ‘유년기’에 「문학소년 시절」·「소년숙장(熟長)」·「신문학에의 전신」·「금성(金星)시대」 등 18편, 제2부 ‘술’의 장에 「초음기(初飮記)」·「문(文)」·「주(酒)의 벗들」·「주연(酒緣)」·「학연(學緣)」·「종음기(縱飮記)」 등 19편, 제3부 ‘청춘백서’에 「나의 청춘」·「신혼기」·「정원초(情怨抄)성동의 아침」·「영동사(永導寺)의 좌담회」 등 19편, 제4부 ‘여정초’에 「여비도 없이」·「분실기」·「동해선에서」·「해어진 바지」 등 17편, 제5부 ‘학창기’에 「예과시대」·「대학시절」· 등 11편, 제6부 ‘교단 10년’에 「부임기」·「교단회고」·「연북록(硏北錄)」 등 10편, 모두 95편이 수록된 회고적 수필집이다.

『문주반생기』는 변영로의 『명정(酩酊) 40년』과 명정의 쌍벽을 이루고 있으나 「2. 술의 장」의 19편이 그 주가 되어 있다. ‘백주회(白酒會)·주우(酒友)·문우’ 등을 통해 특히 횡보(橫步: 염상섭)와의 주우를 재미있게 술회하고 있다.

“청자색 꽃병도 어느덧 깨어지고,『금성』도 폐간되고, 나는 그만 홀홀히 도동(渡東)하였다. 그 즈음 도향(稻香)나빈(羅彬: 나도향)과 사귀어 몇 번 몇 번 그와 조촐한 술자리를 같이 하였고, 횡보 염상섭(廉想涉)씨하고는 근 1년 동안 같은 방에 묵으면서 밤낮으로 술을 즐겼다. 뒤 이어 노산(鷺山)이은상(李殷相)과도 같은 방에서 몇 달을 곁들어 함께 지냈으나, 그는 술을 그리 즐기지 않으므로 다만 글의 벗이었을 뿐 술은 노상 상섭과 같이 하였다.”로 시작되는 ‘백주회’는 주류천하의 김삿갓의 멋을 지닌 문주의 여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문주반생기 [文酒半生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