⑥보리수 아래에서 마귀의 항복을 받는 상,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나나 무스꾸리-비둘기 [Nana Mouskouri-La Paloma]
https://www.youtube.com/watch?v=lJg5W8wVigo&index=5&list=PLfhEyfhvO0vxGKTH4kALGWp5B2rU3iqq7
코니 프란시스-오 수잔나 (Connie Francis-Oh Susanna)
https://www.youtube.com/watch?v=EOV77eBjGgk&list=PLfhEyfhvO0vxGKTH4kALGWp5B2rU3iqq7&index=20
스와니 강(The Swanee River)
https://www.youtube.com/watch?v=fB3qn1MNWNY&list=PLfhEyfhvO0vxGKTH4kALGWp5B2rU3iqq7&index=22
미(MIIII)-Yesterday
https://www.youtube.com/watch?v=i7IjxKQnf-w&list=PLfhEyfhvO0vxGKTH4kALGWp5B2rU3iqq7&index=26
O Sole Mio
https://www.youtube.com/watch?v=U8TUvcjSNXo
이탈리아 나폴리의 가곡. 나의 태양이라는 뜻이며('오 나의 태양'이 아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애인을 찬양한 곡이다. 1898년에 만들어진 곡으로 조반니 카푸로(Giovanni Capurro)가 작사하고 에두아르도 디 카푸아(Eduardo di Capua)가 작곡하였다
루치아노 파바로티, 플라시도 도밍고, 호세 카레라스 (쓰리 테너)가 부른 오 솔레 미오. 다른 사람의 파트를 실수로 불러버린 파바로티가 머쓱해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사[편집]
(원 가사)
(한국어 번안)
(원 가사의 발음)
1. chebel-la cosa 'naiur-na-ta'e so-le
오 맑은 햇빛 너 참 아 름 답 다
(께 벨라 꼬자 나이 유르 나 따에 솔 레)
n'a-riase-re-na dop-po 'na tem-pe - sta!
폭 풍 우 지 난 후 너 더욱 찬 란 해!
(나 리아 세레나 돕뽀 나 템뻬스타 )
pe'll'aria fre-sca pa-re gia 'na fe-sta
시 원 한 바 람 솔 솔 불어 올 때-
(뻴라리아 프레스카 파레쟈 나 페스타)
chebel-la cosa 'naiur-na-ta'e so-le
하늘에 밝은 해는 비 치 인 다
(께 벨라 꼬자 나이유르나따에 솔레)
Ma n'a-tu so-le chiu bel-lo ohi-ne'
나 의 몸 에 는 사 랑 스 런
(마 나뚜 솔레 끼우 벨로 이네)
'o so-le mi-o sta-nfron-teate
나 의 햇님만 비 치 인 다
(오 솔레 미오 스탄프론떼아 떼)
'o so - - le'o so-le mi-o
오 나 - - -의 나의 햇님
( 오 솔 - -레 오 솔레 미오)
sta-nfron-tea te sta-nfron-tea te
찬 란 하 게 - - - 비 치 인 다!- - -
(스탄프떼아 떼 스탄프론떼아 떼!- -)
2. Lùcene 'e llastre d''a fenesta toia;
'na lavannara canta e se ne vanta
e pe' tramente torce, spanne e canta
lùcene 'e llastre d'a fenesta toia.
Ma n'atu sole
cchiu' bello, oi ne'.
'O sole mio
sta 'nfronte a te!
3. Quanno fa notte e 'o sole se ne scenne,
me vene quase 'na malincunia;
sotto 'a fenesta toia restarria
quanno fa notte e 'o sole se ne scenne.
Ma n'atu sole
cchiu' bello, oi ne'.
'O sole mio
sta 'nfronte a te!
법정 <법구경>
- 第 6 章. 현철품(賢哲品) - 현자(賢者)의 장 THE WISE MAN
6, 지혜로운 사람
76
내 허물을 지적하고 꾸짖어주는 지혜로운 사람을 만났거든 그를 따르라
그는 감추어진 보물을 찾아준 고마운 분이니 그를 따르라
그런 사람을 따르면 좋은 일이 있을 뿐 나쁜 일은 결코 없으리라.
深觀善惡 心知畏忌 畏而不犯 終吉無憂 故世有福 念思紹行 善致其願 福祿轉勝
심관선악 심지외기 외이불범 종길무우 고세유복 염사소행 선치기원 복록전승
77
남을 훈계하고 가르쳐 깨우치라 사람들을 옳지 못함으로부터 구하라
이와 같은 사람을 선한 이는 사랑하고 악한 이는 미워할 것이다.
晝夜當精勤 牢持於禁戒 爲善友所敬 惡友所不念
주야당정근 뇌지어금계 위선우소경 악우소불념
78
나쁜 벗과 사귀지 말라 저속한 무리들과도 어울리지 말라
착한 벗과 기꺼이 사귀고 지혜로운 이를 가까이 섬기라.
常避無義 不親愚人 思從賢人 狎附上士
상피무의 불친우인 사종현인 압부상사
79
진리를 음료수로 삼는 사람은 맑은 마음으로 편안히 잠들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항상 즐긴다 성인들이 말씀하신 그 진리를.
喜法臥安 心悅意淸 聖人演法 慧常樂行
희법와안 심열의청 성인연법 혜상락행
80
물 대는 사람은 물을 끌어들이고 활 만드는 사람은 화살을 곧게 한다
목수는 재목을 다듬고 지혜로운 사람은 자기 자신을 다룬다.
弓工調角 水人調船 材匠調木 智者調身
궁공조각 수인조선 재장조목 지자조신
81
큰 바위가 그 어떤 바람에도 끄떡하지 않는 것처럼
지혜로운 사람은 비난에도 칭찬에도 흔들리지 않는다.
譬如厚石 風不能移 智者意重 毁譽不傾
비여후석 풍불능이 지자의중 훼예불경
82
깊은 못은 맑고 고요해 물결에 흐려지지 않는것 처럼
지혜로운 사람은 진리를 마음이 저절로 깨끗해진다.
譬如深淵 澄靜淸明 慧人聞道 心爭歡然
비여심연 징정청명 혜인문도 심쟁환연
83
현명한 사람은 어디서나 집착을 버리고 쾌락을 찾아 헛수고를 하지 않는다 즐거움을 만나거나 괴로움을 만나거나 지혜로운 사람은 흔들리지 않는다.
大人體無欲 在所昭然明 雖或遭苦樂 不高現其智
대인체무욕 재소소연명 수혹조고락 불고현기지
84
자기를 위해서나 남을 뉘해서나 자손과 재산과 토지를 바라지 말라
부정한 방법으로 부자 되기를 바라지 말라 덕행과 지혜로써 떳떳한 사람이 되라.
大賢無世事 不願子財國 常守戒慧道 不貪邪富貴
대현무세사 불원자재국 상수계혜도 불탐사부귀
85
그 많은 사람 가운데 생의 저쪽 기슭에 이른 이는 아주 드물다
대개의 사람들은 이쪽 기슭에서 갈팡질팡 헤매고 있을 뿐이다.
世皆沒淵 鮮克度岸 如或有人 欲度必奔
세개몰연 선극도안 여혹유인 욕도필분
86
진리가 바르게 말해졌을 때 그 이치에 따르는 사람은
건너기 어려운 죽음의 강을 건너 머지않아 저쪽 기슭에 이르리라.
誠貪道者 攬受正敎 此近彼岸 脫死爲上
성탐도자 남수정교 차근피안 탈사위상
87
지혜로운 사람은 어둠을 등지고 밝음을 찾아 나서야 한다
어둠의 집을 떠나 출가하여 고독 속에서 기쁨을 찾으라.
斷五陰法 靜思智慧 不反入淵 棄의其明
단오음법 정사지혜 불반입연 기의기명
88
번뇌를 물리칠 좋은 약을 구하라 지혜로운 사람은 욕망을 버리고
아무것도 가진 것 없이 마음의 때를 씻어 자신을 맑히라.
抑制情欲 絶樂無爲 能自拯濟 使意爲慧
억제정욕 절락무위 능자증제 사의위혜
89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을 바르게 닦고
집착을 끊고 소유욕을 버리고 항상 편안하고 즐거우며
번뇌가 사라져 빛나는 사람은 이 세상에서 이미 대자유의 경지에 이른 것이다.
學取正智 意惟正道 一心受諦 不起爲樂 漏盡習除 是得度世
학취정지 의유정도 일심수체 불기위락 누진습제 시득도세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8099?category=56367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14.명철품 明哲品
明哲品者 擧智行者 修福進道 法爲明鏡
명철품자 거지행자 수복진도 법위명경
명철품이란 지혜로운 수행자를 들어
복을 닦고 도에 나아가게 하며, 법을 밝은 거울로 삼게 한다는 말이다.
1. 深觀善惡 心知畏忌 畏而不犯 終吉無憂
심관선악 심지외기 외이불범 종길무우
선과 악을 자세히 살펴보면 마음으로 두려워하고 꺼려하는 것 아나니
그것을 두려워하여 범하지 않으면 마침내 길(吉)하여 걱정이 없으리.
2. 故世有福 念思紹行 善致其願 福祿轉勝
고세유복 염사소행 선치기원 복록전승
그러므로 세상에 복 있는 이 그를 사모해 그 행을 따르면
그 소원을 잘 이루게 되어 복록(福祿)이 갈수록 더해지리라. 紹 이을 소
3. 信善作福 積行不厭 信知陰德 久而必彰
신선작복 적행불염 신지음덕 구이필창
선을 믿고 행하여 복을 짓고 수행을 쌓아가되 싫증내지 않으며
남 모르는 덕행을 믿고 알면 오랜 뒤에는 반드시 나타나리라.
4. 常避無義 不親愚人 思從賢友 押附上士
상피무의 불친우인 사종현우 압부상사
의리 없는 일은 항상 피하고 어리석은 사람과 친하지 말라.
현명한 친구 따르기를 생각하고 훌륭한 스승을 가까이서 모셔라.
5. 喜法臥安 心悅意淸 聖人演法 慧常樂行
희법와안 심열의청 성인연법 혜상낙행
법을 좋아하면 편안하기 그지없고 마음은 기쁘고 뜻도 맑아진다
지혜로운 사람은 성인의 법을 듣고 그것을 언제나 즐거워하며 실천한다.
6. 仁人智者 齋戒奉道 如星中月 照明世間
인인지자 제계봉도 여성중월 조명세간
어진 사람과 지혜로운 사람은 계율을 지키고 도를 받들어
마치 별 가운데 저 달처럼 이 세상을 밝게 비춘다.
7. 弓工調角 水人調船 材匠調木 智者調身
궁공조각 수인조선 재장조목 지자조신
활 만드는 사람은 뿔을 다루고 뱃사공은 배를 다루며
목수는 나무를 다루지만 지혜 있는 사람은 제 몸을 다스린다.
8. 譬如厚石 風不能移 智者意重 毁譽不傾
비여후석 풍불능이 지자의중 훼예불경
비유하면 저 무거운 바위를 바람이 옮길 수 없는 것처럼
지혜로운 사람은 뜻이 무거워 비방과 칭찬에 흔들리지 않는다.
9. 譬如深淵 澄靜淸明 慧人聞道 心淨歡然
비여심연 징정청명 혜인문도 심정환연
비유하면 저 깊은 못물이 맑고 고요하며 투명하듯이
지혜로운 사람은 도(道)를 듣고는 마음이 깨끗해짐을 좋아한다네.
10. 大人體無欲 在所照然明 雖或遭苦樂 不高現其智
대인체무욕 재소조연명 수혹조고락 불고현기지
대인(大人)은 원래 탐욕이 없어 머무는 곳마다 밝은 모습 빛나고
혹 괴로움이나 즐거움을 만나도 잘난체하며 지혜를 드러내지 않는다.
11. 大賢無世事 不願子財國 常守戒慧道 不貪邪富貴
대현무세사 불원자재국 상수계혜도 불탐사부귀
대현(大賢)은 세상일에 관심이 없어 자식이나 재물이나 나라도 원치 않고
항상 계율과 지혜의 도를 지켜 그릇된 부귀를 탐하지 않는다.
12. 智人知動搖 譬如沙中樹 朋友志未强 隨色染其素
지인지동요 비여사중수 붕우지미강 수색염기소
지혜로운 사람은 알고 있다네 마치 저 모래 밭의 나무처럼 흔들려
친구간에 뜻이 굳세지 못하면 빛깔 따라 흰 바탕 물이 든다네.
13. 世皆沒淵 鮮尅度岸 如或有人 欲度必奔
세개몰연 선극도안 여혹유인 욕도필분
세상 사람은 모두 깊은 못에 빠져 저 언덕에 이른 이 아주 적구나.
그런데도 혹 어떤 사람은 그곳으로 건너가려 반드시 달려간다.
14. 誠貪道者 覽受正敎 此近彼岸 脫死爲上
성탐도자 남수정교 차근피안 탈사위상
진실로 도를 탐하는 사람 바른 가르침 받들어 행한다.
그는 저 언덕에 가까웠나니 나고 죽음을 벗어나 으뜸이 되리.
覽 볼 람, 받아들이다.
15. 斷五陰法 靜思智慧 不反入淵 棄猗其明
단오음법 정사지혜 불반입연 기의기명
다섯 가지 쌓임[五陰]의 법을 끊고 고요히 지혜를 생각한다.
깊은 못에 다시 빠지지 않고 그 밝음을 의지하여 버리지 않느니라.
猗 의지하다
16. 抑制情欲 絶樂無爲 能自拯濟 使意爲慧
억제정욕 절락무위 능자증제 시의위혜
온갖 정욕을 억눌러 제어하고 그것을 끊어 무위(無爲)를 좋아한다.
그는 자기를 스스로 구제하고 마음을 부려 지혜로 만든다.
拯 건질 증, 구원하다
17.學取正智 意惟正道 一心受諦 不起爲樂 漏盡習除 是得度世
학취정지 의유정도 일심수제 불기위락 누진습제 시득도세
바른 지혜를 배워 가지고 마음에 오로지 바른 도만 생각하라.
한마음으로 진리를 받아 일으키지 않음을 즐거움으로 삼으라.
번뇌 없애고 습기를 없애면 이 세상을 건너게 되느니라.
14,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제14 명철품(第十四 明哲品)▶───법구비유경
한문출처 : 중화전자불전협회(中華電子佛典協會:CBETA)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 국역출처 : 동국역경원 전자불전연구소 한글대장경 ------------------------------------------------------------------------------------------ 法句譬喩經明哲品第十四 법구비유경 제14 명철품 ------------------------------------------------------------------------------------------
옛날 어떤 범지가 있었다. 그는 나이 20세였는데 타고난 천재(天才)로서, 크고 작은 어떤 일이라도 그 눈을 스치기만 하면 모두 다 해결할 수 있었다. 그래서 제 총명만을 믿고 스스로 맹세하였다. '천하의 기술은 기어코 다 배우고야 말 것이다. 만일 한 가지 기예라도 통달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그것은 밝게 통달했다고 할 수 없다.' 이렇게 맹세하고 그는 이러저리 돌아다니며 유학하면서 어떤 스승이고 찾지 않은 데가 없었다. 여섯 가지 기예와 잡술·천문·지리·의약, 그리고 무너지는 산과 흔들리는 땅을 진압하는 법, 도박·장기·바둑·기악(妓樂)·박찰(搏撮)과 옷 재단하기와 비단에 수놓기, 고기 썰기와 음식 만들기 등, 인간의 일치고 통달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그리고 그는 생각하였다. '사내로서 이만하면 누가 감히 당할 수 있겠는가? 시험삼아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나에게 대적하는 이를 꺾어 항복받음으로써, 천하에 이름을 떨치고 기술이 하늘을 찌를 듯해진 다음에 그 공적을 역사에 실어 백대(百代)까지 남기리라.' 그렇게 그는 돌아다니다가 어느 나라의 시장에 들어가 구경하게 되었는데 어떤 사람이 앉아서 각궁(角弓) 만드는 것을 보았다. 소힘줄을 쪼개고 소뿔을 다듬는데 놀리는 손이 마치 나는 것 같았고, 활을 만들어 다루는 솜씨가 걸림이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앞다투어 활을 사갔다. 그는 가만히 생각하였다. '나는 젊을 때부터 모든 것을 두루 배웠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활을 만드는 사람을 보아도 그것을 업신여겨 배우지 않았었다. 만일 저 사람과 기술을 겨룬다면 내가 저 사람보다 못할 것이다. 그러니 나는 저 사람을 따라가서 배워야겠다.' 그리하여 그는 그 활쟁이에게 제자 되기를 청하여 마음을 다해 배웠고 그런지 한 달만에 활 만드는 법을 모두 익혀 그의 기술은 스승보다 나아졌다. 그래서 그는 재물로 보답하고는 하직하고 떠났다. 또 다른 나라로 가다가 강을 건너게 되었다. 그런데 어떤 뱃사공이 배를 저어가는데 마치 나는 것 같았고 배를 돌리는 솜씨와 거슬러 올라가고 내려감에 있어서 그 빠르기가 견줄 데가 없었다. 그는 또 생각하였다. '비록 내 기술이 많다 하지만 아직 배 부리는 기술은 배우지 못했다. 아무리 천한 기술이라 하더라도 알지 못하면 안 된다. 나는 저것을 배워 온갖 기술을 모두 갖추어야겠다.' 그리하여 그는 그 뱃사공에게 제자되기를 청하여, 공경을 다하여 받들어 섬기고 열심히 노력하여 한 달만에 그 기술을 전부 익혔다. 그래서 배를 이리저리 돌리는 기술이 스승보다 나았다. 그는 또 재물로 보답하고는 하직하고 떠났다. 그는 또 어느 나라로 갔는데 천하에 짝할 만한 것 없는 그 나라 국왕의 궁전을 보고 생각하였다. '이 궁전을 지은 목수의 기술이 어쩌면 저럴 수 있단 말인가? 나는 은둔해 살았기 때문에 그만 그것을 배우지 못했다. 만일 지금 저 사람과 기술을 겨룬다면 반드시 이기지 못할 것이니 또 마땅히 저 기술을 배워야 마음이 놓일 것같다.' 그리고는 그 궁전을 지은 목수를 찾아가서 제자 되기를 청하여 정성을 다해 공양하면서 끌과 도끼를 잡았다. 그래서 한 달만에 자질하기·칫수재기·모[方]내기·둥글리기·둥근 자와 네모난 자[規矩] 다루는 방법 따위를 모두 익히고, 무늬파기·새겨넣기 등 목수 일을 다 배웠다. 그는 뛰어난 천재(天才)였기에 하는 일이 모두 스승보다 나았다. 그는 다시 재물로 보답하고 하직하고 떠났다. 이리하여 천하의 열여섯 큰 나라를 두루 돌아다니면서, 상대에게 명령하여 기술을 겨루고는 마음대로 말하고 혼자 다녀도 아무도 감히 상대할 자가 없었다. 그래서 그 마음은 잔뜩 교만해져서 이 천지 사이에 누가 감히 나를 당하겠는가라고 생각하였다. 부처님께서 기원정사에 계시면서 멀리서 이 사람을 보시고는 제도할 수 있음을 아시고, 곧 신통으로 한 사람의 사문으로 변화하여 지팡이를 짚고 발우를 들고 그의 앞으로 가셨다. 그 범지는 원래 그 나라에는 도법이 없고 사문(沙門)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저 사람은 무엇하는 사람인지 괴상히 여겨 그가 오기를 기다렸다가 물어 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조금 있다가 사문이 오자 범지가 물었다. "어떤 왕족도 그대 같은 이를 보지 못하였고, 어떤 옷차림도 그런 차림새는 없었으며 아무리 종묘(宗廟)의 특이한 기물(器物)이라 해도 그런 그릇은 보지 못하였소. 그대는 무엇 하는 사람이기에 형상과 옷차림새가 보통 사람과 다릅니까?" 사문이 대답하였다. "나는 몸을 다스리는 사람이오." 그는 다시 물었다. "어떻게 하는 것을 몸을 다스린다고 합니까?"
저 : 摴(노름 저) 포 : 蒱 (노름 포) 廚 : 厨의 대치,(부엌 주)이체자 ㄱ : 捔 자
於是沙門因其所習而說偈言。 그 때 사문은 그전에 배운 것을 게송으로 말하였다.
弓匠調角 水人調船 巧匠調木 智者調身 譬如厚石 風不能移 智者意重 毁譽不傾 譬如深淵 澄靜淸明 慧人聞道 心淨歡然
활 만드는 사람은 뿔[角]을 다루고 뱃사공[水人]은 배를 다루며 목수는 나무를 다루지만 지혜 있는 사람은 제 몸을 다스린다.
비유하면 저 무거운 바위는 바람이 옮길 수 없는 것처럼 지혜로운 사람은 뜻이 무거워 비방과 칭찬에 흔들리지 않는다.
비유하면 저 깊은 못물이 맑고 고요하며 투명하듯이 지혜로운 사람은 도(道)를 듣고는 마음이 깨끗해짐을 좋아한다네.
그 때 사문은 그 게송을 마치고 허공으로 날아 올라, 다시 부처님의 몸을 나타냈는데 32상(相)과 80종호(種好)의 광명이 환히 트여 온 천지를 두루 비추었다. 부처님께서 허공에서 내려와 그 사람에게 말씀하셨다. "나의 도덕과 변화는 몸을 잘 길들인 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 때 그 사람은 온몸을 땅에 던지고 머리를 조아리며 물었다. "원컨대 몸을 길들이는 방법을 듣고 싶습니다." 부처님께서 범지에게 말씀하셨다. "5계(戒)·10선(善)·4등(等 : 無量心)·6도(度 : 波羅蜜)·4선(禪)·3해탈(解脫)을 닦아야 한다. 이런 것들이 다 몸을 다스리는 법이다. 대개 활 만들기·배 부리기·목수와 또 여섯 가지 기예 따위의 기술은 다 겉만 꾸미고 치장하는 것으로서, 몸을 방탕하게 하고 마음을 방자하게 하여 나고 죽음의 길에서 윤회하게 하느니라." 범지는 이 말씀을 듣고 즐거워하면서 믿고 이해하여 제자가 되기를 원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잘 왔도다, 사문아." 그러자 그의 수염과 머리털이 저절로 떨어져 곧 사문이 되었다. 부처님께서는 거듭 그를 위하여 4제(諦)와 8해탈(解脫)의 법을 설명하셨고 그는 곧 아라한의 도를 증득하였다.
32상(三十二相) - 범어로는 Dv tri atmah puru -lak a ni 라고 함. 부처님 몸에 갖춘 32표상(標相). 32대인상(大人相)·32대장부상(大丈夫相)이라고도 함. 이 상(相)을 갖춘 이는 세속에 있으면 전륜왕(轉輪王)이 되고, 출가하면 부처가 된다고 함. 80종호(八十種好) - 80수형호(隨形好)라고도 함. 부처님 몸에 갖추어진 여든 가지 출중한 모양을 말함. 이는 32상을 다시 세밀하게 나눈 것으로 경·논에 따라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4제(四諦) - 범어로는 Catv ri- ryasaty ni 라고 함. 4성제(聖諦)라고도 하며 고(苦)·집(集)·멸(滅)·도(道)의 불교 불변의 진리를 나타낸 것. 고제(苦諦)는 현실을 바로 고(苦)라고 관하는 것이고, 집제(集諦)는 고(苦)의 이유 근거 혹은 원인을 말하며, 고의 원인은 번뇌인데 특히 애욕과 업(業)을 말함. 멸제(滅諦)는 깨달을 목표 즉 이상(理想)의 열반을 말하고, 도제(道諦)는 열반에 이르는 방법 즉 실천하는 수단을 말함. 4제 중 앞의 2제는 유전(流轉)하는 인과(因果)이고, 뒤의 2제는 깨달음[悟]의 인과를 나타낸 것이다.
昔佛在舍衛國。有山民村五六十家。去國五百里。村中有一貧家。其主人婦懷妊 坐前世戀慕富貴。放身散意快樂須臾。從爾以來長塗受苦。如今憂惱當何恃怙。一人
옛날 부처님께서 사위국에 계셨다. 그 나라에서 5백 리 밖에 5, 60가구가 사는 산촌이 있었고 그 마을에는 한 가난한 집이 있었다. 그 집 부인이 아기를 배어 열 달 만에 사내 아이 쌍둥이를 낳았는데 그 얼굴은 견줄 데 없이 단정하였다. 부모는 매우 사랑하여 첫째의 이름은 쌍덕(雙德)이라 하였고, 둘째의 이름은 쌍복(雙福)이라 하였다. 난 지 5, 60일쯤 되는 날 아버지는 소를 먹이고 돌아와 한쪽 평상 위에 누워 쉬고 있었다. 그 어머니는 불 땔 나무를 주우러 밭에 갔다가 아직 돌아오지 않았다. 두 아이는 좌우를 돌아보다가 그 어머니가 보이지 않자 한 아이가 한탄하면서 다른 아이에게 말하였다. "나는 전생에 막 도를 얻게 되었는데 어리석은 생각으로 목숨은 항상한 것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 생사(生死) 윤회에 떨어져 헤아릴 수 없는 겁을 지내다가 이제야 이 가난한 집의 아들로 태어났다. 짚덤불 속에 누워 담요 한 자락을 덮고 살며, 거친 음식으로 겨우 몸을 지탱해 갈 뿐이니, 이렇게 해서야 아무리 오래 지낸들 어떻게 도를 얻겠는가? 이것은 다 전생에 부귀를 탐하여, 몸을 방일하게 하고 마음이 산만해져 잠깐 동안 쾌락을 즐겼기 때문이다. 그 때부터 지금까지 오랫동안 고통을 받았고 지금도 이와 같이 고생하는 것이니, 장차 무엇을 믿고 의지해야 하겠는가?" 한 아이가 대답하였다. "나는 그 때 너무 어려워서 한동안 애써보았지만 끝내 정진하지 못했고 여러 세상에서 온갖 고통을 받아 왔다. 이것은 다 내 스스로 지은 것이요, 부모가 만들어준 것이 아니다. 다만 우리가 이것을 당할 뿐인데 무슨 할 말이 있겠는가?" 그 아버지는 그들이 이와 같이 서로 자책하는 소리를 듣고 매우 괴상히 여겨 생각하였다. '아아, 이것은 삿된 귀신이 와서 이런 재변을 일으키는 것이다. 어떻게 난 지 수십 일밖에 되지 않은 아이가 이런 말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아마 훗날 부모를 죽이고 일가를 멸할 것이다. 더 자라기 전에 죽여야 하겠다.' 이렇게 생각한 아버지는 빨리 나가 문을 닫고, 그들을 버려둔 채 밭으로 나갔는데 땔감을 주워 가지고 와서 불을 놓아 태워 죽이기 위해서였다. 어머니가 돌아와 그 남편에게 물었다. "이 땔감은 무엇에 쓰려는 것입니까?" 남편이 말하였다. "아주 괴상한 일이 있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아이들은 아마도 귀신인 것 같소. 반드시 우리 집안을 망칠테니, 그래서 더 크기 전에 태워 죽이려는 것이오." 그러자 어머니는 이 말을 듣고 마음 속으로 깜짝 놀랐으나 그래도 망설이면서 그 말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말하였다. "며칠 더 기다려 봅시다. 다시 그런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 이튿날 그들 부부는 함께 사립문 밖에 나가 가만히 들어보았다. 두 아이는 방 안에서 앞에서와 같이 제각기 한탄하였다. 그들 부부는 함께 그 아이들의 말을 듣고 그 까닭을 매우 괴상하게 여겼다. 그래서 땔감을 모아다가 몰래 태워 죽이려 하였다. 부처님께서 천안(天眼)으로 부부가 두 아들을 태워 죽이려 하는 것을 보시고 가엾게 여기시면서, 그들이 전생에 지은 복이 있으므로 제도할 수 있다고 생각하셨다. 그래서 그 마을로 가서 두루 광명을 놓으시자, 천지가 크게 진동하고 산천 초목이 전부 금빛으로 변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모두 놀라 부처님께 나아가 예배하고 기뻐하였고, 또한 부처님께서는 지극한 신통력을 갖추시어 삼계에서 비할 데가 없음을 알았다. 부처님께서는 그 쌍둥이의 집으로 가셨다. 쌍둥이들은 부처님의 광명을 보고 한량없이 기뻐하였고, 부모들도 놀라워하면서 제각기 한 아이씩 안고 부처님께 나아가 아뢰었다. "이 아이들은 난 지 5, 60일 밖에 되지 않았는데 이러이러한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매우 괴상히 여겨 어떤 재변이 있을까 두려워하여 불에 태워 죽이려 하였는데, 마침 부처님께서 오셔서 죽이지 못하였습니다. 알 수 없습니다. 이 아이들은 무슨 귀신입니까? 부디 해설하여 주십시오. 이 무슨 재변이옵니까?" 아이들은 부처님을 보고 기뻐 날뛰었고, 부처님께서 그것을 보시고 크게 웃으시자 입에서 다섯 빛깔의 광명이 나와 온 천지를 두루 비추었다. 부처님께서 아이들의 부모와 그 마을 사람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두 어린아이는 귀신이 아니다. 복덕을 짓고 태어난 아이들이다. 옛날 가섭(迦葉)부처님 때 이 아이들은 일찍이 사문이 되었었다. 어릴 때부터 친구가 되어 뜻을 같이하였고 집을 떠나 각기 정진하여 거의 도를 얻게 되었었는데, 갑자기 삿된 생각을 일으켜 그만 타락하고 말았다. 그리고 세상의 영화를 누리다가 복에 의해 하늘에 태어났고, 다시 인간 세계에 태어나면 제후나 국왕이나 장자가 된다는 믿음을 일으켰기 때문에 곧 타락하여 열반을 얻지 못하고 이렇게 생사를 받게 된 것이다. 그래서 여러 겁 동안 서로 붙어 다니다가 지금 나의 세상에 와서 비로소 쌍둥이로 태어난 것이다. 과거에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으로 아직 그 복이 남아 있어 제도할 수 있으며, 죄가 없어지고 복이 생겨 전생 일을 알게 된 것이다. 그래서 내가 일부러 와서 구제하는 것이다. 만일 내가 와서 구제하지 않았더라면 잘못 불에 타 죽었을 것이다."
於是世尊即說偈言。 그리고는 부처님께서 다시 게송을 말씀하셨다.
대인(大人)은 원래 탐욕이 없어 머무는 곳마다 밝은 모습 빛나고 혹 괴로움이나 즐거움을 만나도 잘난 체하며 지혜를 드러내지 않는다.
대현(大賢)은 세상일에 관심 없어 자식이나 재물이나 나라도 원치 않고 항상 계율과 지혜의 도를 지켜 그릇된 부귀를 탐하지 않는다.
지혜로운 사람은 알고 있다네 마치 저 모래밭의 나무처럼 흔들려 친구간에 뜻이 굳세지 못하면 빛깔 따라 흰 바탕 물이 든다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실 때, 아이들은 부처님을 보고 그 몸이 불쑥 자라나 마치 여덟 살 먹은 아이와 같아졌고 아이들은 곧 사문이 되어 아라한의 도를 증득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부처님의 광명 모습과 또 아이들의 몸이 변해 불쑥 자라난 것을 보고, 모두 크게 기뻐하며 수다원도를 증득하였다. 그리고 그 부모들도 의심이 풀리고 또 법안(法眼)을 얻었다.
|
'불교 불경 > 법구비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구비유경 제16. 술천품 - 제22 술불품 읽기 (0) | 2019.01.30 |
---|---|
법구비유경 제15.나한품 (羅漢品 ) (0) | 2019.01.20 |
법구비유경 제13 우암품(愚闇品) (0) | 2019.01.16 |
법구비유경 제12 화향품 (0) | 2019.01.15 |
법구비유경 제11.심의품 (心意品 ) (0) | 2019.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