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화급고독품(化給孤獨品)

     佛所行讚  化給孤獨品第十八


18. 화급고독품(化給孤獨品)

佛所行讚  化給孤獨品 第十八

 

그때 어떤 큰 장자(長者) 있었으니
이름을 급고독(給孤獨)이라 하였다.
큰 부자로서 재물은 한량없이 많았는데
널리 보시하여 가난한 이 구제했다네.
時有大長者,
名曰給孤獨,
巨富財無量,
廣施濟貧乏。
 

그는 멀리 북쪽에 있는
교살라국(憍薩羅國)에서 오다가
어떤 친구 집에서 묵었었는데
그 주인 이름은 수라(首羅)라 했네.
遠從於北方,
憍薩羅國來,
止一知識舍,
主人名首羅。
 

그는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와
죽원(竹園)에 계신단 말 듣고
그 이름 받들고 그 덕을 존경하여
그 밤으로 곧 그 숲에 나아갔네.
聞佛興於世,
近住於竹園,
承名重其德,
卽夜詣彼林。
 

여래께서는 이미 그의 근기가 성숙했고
깨끗한 믿음이 생긴 줄 아시고
그에 맞게 그 사실 칭찬하며
그를 위하여 법을 설하셨네.
如來已知彼,
根熟淨信生,
隨宜稱其實,
而爲說法言。
 

“그대는 이미 바른 법을 좋아해
청정하게 믿는 마음 간절하기에
능히 잠을 줄이고
나에게 와 예를 올리니
내 오늘은 그대를 위하여
첫 손님에 대한 예의 두루 갖추리.
汝已樂正法,
淨信心虛渴,
能減於睡眠,
而來敬禮我,
今日當爲汝,
具設初賓儀。
 

그대는 전생에 덕의 종자[本] 심었고
그 희망 견고하고 깨끗해
부처란 이름 듣자 기뻐했으니
바른 법의 그릇이 될 만하여라.
汝宿殖德本,
堅固淨其望,
聞佛名歡喜,
堪爲正法器。
 

빈 마음으로 널리 은혜 베풀어
가난하고 궁핍한 이에게 두루 베푸니
그 이름과 덕 두루 흘러 퍼져
그 결실 이룸은 전생 인연 때문이라네.
虛懷廣行惠,
周給於貧窮,
名德普流聞,
果成由宿因。
 

이제는 마땅히 법보시를 행하되
지극한 마음으로 정성껏 베풀고
때로는 고요함의 보시 베풀며
아울러 깨끗한 계(戒) 받아 지니면
今當行法施,
至心精誠施,
時施寂靜施,
兼受持淨戒。
 

계(戒)는 장엄하는 도구가 되고
또 능히 나쁜 갈래[趣] 변화시켜서
사람으로 하여금 하늘에 오르게 하여
하늘의 다섯 가지 즐거움으로 보답하리라.
戒爲莊嚴具,
能轉於惡趣,
令人上昇天,
報以天五樂。
 

구(求)하는 모든 것 큰 괴로움이요
애욕은 모든 허물 모으나니
그러므로 마땅히 악을 멀리 여의고
욕심 떠나 고요한 즐거움 닦으라.
諸求爲大苦,
愛欲集諸過,
當脩遠離惡,
離欲寂靜樂。
 

늙고 병들고 죽는 괴로움
세상의 큰 근심인 줄 알아
세상을 바르게 관찰함으로써
남ㆍ늙음ㆍ병듦ㆍ죽음 여의어야 하리.
知老病死苦,
世閒之大患,
正觀察世閒,
離生老病死。
 

남ㆍ늙음ㆍ병듦ㆍ죽음이
이미 이 인간에게 있음을 보았네.
하늘에 나더라도 또한 그러하나니
항상 존재함 없기 때문이라네.
旣見於人閒,
有老病死苦,
生天亦復然,
無有常存者。
 

항상함이 없으면 그게 바로 괴로움이요
괴로움은 곧 내가 없음이며
무상함과 괴로움은 내가 아니니
어떻게 거기에 나와 내 것 있으랴.
無常則是苦,
苦則無有我,
無常苦非我,
何有我我所。
 

괴로움은 곧 괴로움인 줄 알고
모임[集]은 곧 모임인 줄 알아
괴로움이 멸하면 곧 고요함이요
그 길[道]은 곧 안온한 곳이니라.
知苦卽是苦,
集者則爲集,
苦滅卽寂靜,
道卽安隱處。
 

온갖 생겨남엔 유동(流動)하는 성질 있으니
그것이 곧 괴로움의 근본인 줄을 알라.
그 끝을 싫어해 근원을 막고자 할 뿐
있음과 없음을 원하는 것 아니네.
群生流動性,
當知是苦本,
厭末塞其源,
不願有非有。
 

남ㆍ늙음ㆍ죽음은 성대한 불길로서
온 세간을 두루 태우네.
남과 죽음에 동요됨을 깨달아
마땅히 생각 없음[無想] 익혀야 하네.
生老死盛火,
世閒普熾然,
見生死動搖,
當習於無想。
 

삼마제(三摩提)는 최후의 경지로서
감로(甘露)의 고요한 곳이라네.
모든 것 공(空)하여 나와 내 것이 없고
이 세간은 모두 다 꼭두각시 같나니
三摩提究竟,
甘露寂靜處,
空無我我所,
世閒悉如幻。
 

마땅히 이 몸을 관찰해 보라.
4대(大)와 5온(蘊)의 덩어리라네.”
그때 장자는 이 설법 듣고
그 자리에서 초과(初果)를 얻었네.
當觀於此身,
諸大衆行聚,
長者聞說法,
卽得於初果。
 

“나고 죽음의 바다는 소멸했으나
오직 한 방울 남은 것 있으니
비고 한가한 데서 욕심 여읨 닦았어도
제일 유(有)와 무(無)에 대한 몸의 견해는 남아
지금 세속 사람이
진리 보아 참으로 해탈함만 못했네.
生死海消滅,
唯有一滴餘,
空閑修離欲,
第一有無身,
不如今俗人,
見諦眞解脫。
 

“모든 고행을 여의지 못하고
갖가지 다른 견해의 그물 있으면
제일의 유(有)에까지 이르렀다 해도
그것은 참된 이치 보지 못한 것이니
삿된 생각으로 하늘 복에 집착하면
유(有)에 대한 애욕의 결박 더욱 깊어지리.
”不離諸苦行,
種種異見網,
雖至第一有,
不見眞實義,
邪想著天福,
有愛縛轉深。
 

그때 장자는 이 설법 듣고
음개(陰蓋)가 곧 환히 열려
이내 바른 견해를 얻게 되었고
모든 그릇된 견해 영원히 사라짐이
마치 사나운 가을 바람이
두터운 구름을 흩는 것 같네.
長者聞說法,
陰蓋煥然開,
逮得於正見,
諸邪見永除,
猶如秋厲風,
飄散於重雲。
 

“자재천(自在天)의 인(因)이라 헤아리지 말고
그릇된 인(因)에서 생긴 것도 아니며
또한 아무런 인 없이
이 세간이 생긴 것도 아니라네.
不計自在因,
亦非邪因生,
亦復非無因,
而生於世閒。
 

만일 자재천이 만들어 낸 것이라면
어른과 아이, 먼저와 뒤가 없어야 할 것이요
또한 다섯 갈래의 윤회도 없어야 할 것이며
생긴 것은 당연히 멸하지 않아야 할 것이네.
若自在天生,
無長幼先後,
亦無五道輪,
生者不應滅。
 

또한 재환(災患)도 없어야 할 것이며
악을 지어도 허물되지 않아야 하리니
깨끗하거나 깨끗하지 못한 업(業)은
다 자재천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라네.
亦不應災患,
爲惡亦非過,
淨與不淨業,
斯由自在天。
 

만일 자재천이 만들어 낸 것이라면
세상은 아무도 의심하지 않으리라.
아들이 아비에게서 생겨난 것 같으리
누가 그 아비를 모른다 하리.
若自在天生,
世閒不應疑,
如子從父生,
孰不識其尊。
 

사람이 궁하고 괴로운 때를 만나도
도리어 하늘을 원망하지 않을 것이요
모두 자재천을 숭상할 것이니
마땅히 다른 신(神)은 받들지 않으리라.
人遭窮苦時,
不應反怨天,
悉應宗自在,
不應奉餘神。
 

자재천이 정말 지은 것이라면
자재천이라 이름해선 안 될 것이니
그는 곧 지은 이이기 때문에
그는 마땅히 늘 지어야 하리.
自在是作者,
不應名自在,
以其是作故,
彼則應常作。
 

언제나 지으면 스스로 고달플 것이니
어떻게 자재(自在)라 할 수 있으랴.
만일 아무 생각 없이 지었다 하면
어린애 장난과 같을 것이네.
常作則自勞,
何名爲自在,
若無心而作,
如嬰兒所爲。
 

만일 작심하고서 지었다 하면
마음이 있으니 자재가 아니리라.
괴롭고 즐거움이 중생 때문이라면
그것은 자재천이 지은 것 아니네.
若有心而作,
有心非自在,
苦樂由衆生,
則非自在作。
 

자재천이 괴로움과 즐거움 내었다면
그에게 사랑과 미움이 있음이니
이미 사랑하고 미워함이 있다면
마땅히 자재천이라 일컫지 않으리.
自在生苦樂,
彼應有愛憎,
已有愛憎故,
不應稱自在。
 

만일 다시 자재천이 지었다면
중생들은 잠자코 있어야 할 것이니
그의 자재한 힘에 맡겼거늘
무엇 하러 구태여 선(善)을 닦으리.
若復自在作,
衆生應默然,
任彼自在力,
何用修善爲。
 

정령 또 선악을 닦는다 해도
마땅히 그 업보가 없기 때문이네.
만일 자재천이 그 업(業)을 내었다면
일체는 모두 그 업이 같아야 할 것이네.
正復修善惡,
不應有業報,
自在若業生,
一切則共業。
 

만일 모두가 업이 같다면
모두 자재천이라 일컬어야 할 것이네.
만일 자재천이 인(因)이 없다면
일체도 또한 인이 없어야 할 것이네.若是共業者,
皆應稱自在,
自在若無因,
一切亦應無。통합뷰어
만일 다른 자재천을 의지한다면
자재천은 마땅히 끝이 없어야 하리.
그러므로 저 모든 중생들
아무도 지은 이 없네.
若因餘自在,
自在應無窮,
是故諸衆生,
悉無有作者。
 

마땅히 알라. 자재천의 이치는
이 이론(理論)에 마주치면 곧 깨어져서
일체 이치가 서로 어긋나니
만일 설명할 수 없다면 곧 허물이 있다네.
當知自在義,
於此論則壞,
一切義相違,
無說則有過。
 

또 만일 자성(自性)에서 생겼다 해도
그 허물 또한 이와 같으리.
저 모든 인명론자(因明論者)들
일찍이 이렇게 말하지 않았네.
若復自性生,
其過亦如是,
諸明因論者,
未曾如是說。
 

의지할 것도 없고 또한 그 인(因)이 없이도
능히 지어지는 것이 거기 있다고 말하네.
그러나 세상 모든 것 다 인을 말미암음이
마치 종자를 의지하는 것 같네.
無所依無因,
而能有所作,
彼彼皆由因,
猶如依種子。

그러므로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은
자성(自性)에서 생긴 것 아닌 줄 아네.
이 세상의 모든 지어진 것들
오직 한 인으로 생긴 것 아니건만
是故知一切,
則非自性生,
一切諸所作,
非唯一因生。
 

그러면서 여기 한 자성을 말하나니
그러므로 그것은 인이 아니네.
혹은 말하기를 그 자성은
온갖 곳에 두루하다고 하지만
而說一自性,
是故則非因,
若言彼自性,
周滿一切處。통합뷰어
만일 온갖 곳에 두루하다면
지은이도 지어진 이도 없을 것이니
이미 지은이도 지어진 이도 없다면
그것은 곧 인이 되지 않으리.若周滿一切,
亦無能所作,
旣無能所作,
是則非爲因。
 

만일 온갖 곳에 두루하다면
그 온갖 것을 만든 이 있으리니
그것은 곧 온갖 때에 있어서
늘 만드는 이가 있어야 하리.
若遍一切處,
一切有作者,
是則一切時,
常應有所作。
 

만일 늘 만드는 이가 있다고 하면
때를 기다렸다가 물건을 낼 리 없으리니
그러므로 또한 마땅히 알라.
자성이 인(因)이 되는 것 아니라네.
若言常作者,
無待時生物,
是故應當知,
非自性爲因。
 

또한 말하기를 그 자성은
일체의 구나(求那)를 여의었다 하지만
그러면 저 만들어진 모든 것들
또한 반드시 구나를 여의어야 하리.
又說彼自性,
離一切求那,
一切所作事,
亦應離求那。
 

그러나 이 모든 세간은
다 구나가 있음을 보나니
그러므로 또한 이 자성은
일체의 인이 아님을 아네.
一切諸世閒,
悉見有求那,
是故知自性,
亦復非爲因。
 

만일 저 자성에 대해
구나와 다르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상(常)으로써 인을 삼기 때문에
그 성질 다르지 않아야 할 것이네.
若說彼自性,
異於求那者,
以常爲因故,
其性不應異。
 

그런데도 중생은 구나와 다르니
그러므로 자성은 그 인이 아니요.
자성이 만일 항상한 것이라면
사물 또한 무너지지 않아야 하리.
衆生求那異,
故自性非因,
自性若常者,
事亦不應壞。
 

만일 자성으로 그 인을 삼는다면
인과(因果)의 이치는 같아야 하리라.
그러나 세간의 무너짐을 보나니
그러므로 따로 인이 있음을 아네.
以自性爲因,
因果理應同,
世閒見壞故,
當知別有因。
 

만일 그 자성이 인(因)이 된다면
마땅히 해탈을 구하지 않아도 되니
그것은 그 자성 있기 때문에
그것의 나고 멸함에 맡겨야 할 것이네.
若彼自性因,
不應求解脫,
以有自性故,
應任彼生滅。
 

가령 해탈을 얻는다 하더라도
자성은 도리어 결박되게 될 것이네.
만일 자성을 보지 못하면서
그 법의 인을 본다고 한다면
假令得解脫,
自性還生縛,
若自性不見,
爲見法因者。
 

그것 또한 인이 되지 못하리니
인과의 이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간의 모든 보이는 일들
인과 과가 다 함께 나타나네.
此亦非爲因,
因果理殊故,
世閒諸見事,
因果悉俱見。
 

만일 자성에 마음이 없다면
마음엔 인이 있을 수 없네.
연기를 보고 불을 아는 것처럼
인과 과는 서로 구하는 게 비슷하다네.若自性無心,
不應有心因,
如見煙知火,
因果類相求。
 

그 인을 보지 못하고는
그 일을 볼 수 없네.
금(金)으로 그릇이나 옷을 만드는 것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금과는 떨어질 수 없다네.
非彼因不見,
而生於見事,
猶金造器服,
始終不離金。
 

자성을 이 일의 인이라 한다면
처음과 끝이 어찌 다를 수 있으랴.
만일 때[時]로 말미암아 만드는 이 있게 되면
마땅히 해탈을 구하지 않으리니
自性是事因,
始終豈得殊,
若使時作者,
不應求解脫。
 

그 때란 항상하기 때문에
그 시절(時節)에 맡겨야 마땅하리라.
이 세간은 끝이 없는 것처럼
시절도 또한 그와 같다네.
以彼時常故,
應任彼時節,
世閒無有邊,
時節亦復然。
 

그러므로 수행하는 사람도
마땅히 방편을 구하지 않아야 하네.
다라표구나(陀羅驃求那)라는
세상의 또 다른 주장이 있네.
是故脩行者,
不應方便求,
陁羅驃求那,
世閒一異論。
 

비록 여러 가지 주장들이 있기는 하나
인(因)이 같지 않음을 알아야 하네.
만일 내[我]가 짓는다고 한다면
반드시 하고픈 대로 생하였을 것이네.
雖有種種說,
當知非一因,
若說我作者,
應隨欲而生。
 

그러나 지금은 하고픈 대로 되지 않나니
어떻게 내가 짓는다 하리.
갈구하지 않는데 그것을 얻고
갈구하는데 도리어 얻지 못하네.
而今不隨欲,
云何說我作,
不欲而更得,
欲者反更違。
 

괴로움과 즐거움에 자재롭지 못한데
어떻게 내가 짓는다 하리.
만일 내가 짓는 것이라 한다면
나쁜 갈래의 업은 없었을 것이네.
苦樂不自在,
云何言我作,
若使我作者,
應無惡趣業。
 

그런데 갖가지 업의 과(果) 생기나니
그러므로 내가 짓는 것 아님을 아네.
나는 때[時]를 따라 짓는다고 한다면
때를 따라 오직 착한 일만 지었을 것인데
種種業果生,
故知非我作,
言我隨時作,
時應唯作善。
 

선(善)과 악(惡)이 인연 따라 생겨나니
그러므로 내가 짓는 것 아님을 알리.
만일 인(因) 없이 지어졌다면
마땅히 방편 닦을 일 없어야 하리라.
善惡隨緣生,
故知非我作,
若使無因作,
不應修方便。
 

일체는 저절로 정해져 있거늘
무엇 하러 구태여 인을 닦으리.
세간에서는 갖가지 업을 지어
갖가지로 결과를 거둔다네.
一切自然定,
修因何所爲,
世閒種種業,
而獲種種果。
 

그러므로 일체 세간에는
인 없이 지어진 것 없음을 아네.
마음이 있고 또 마음 없음은
모두 인연 따라 일어난다네.
是故知一切,
非爲無因作,
有心及無心,
悉從因緣起。
 

그러므로 이 세간의 일체법은
인 없이 생긴 것 하나도 없네.”
장자는 마음이 열리고 풀려
훌륭하고 묘한 이치 밝게 통달했다네.
世閒一切法,
非無因生者,
長者心開解,
通達勝妙義。
 

한 모양의 진실한 지혜가 생겨
결정코 참된 이치 밝게 알았네.
세존의 발에 공경스레 예배하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다네.
一相實智生,
決定了眞諦,
敬禮世尊足,
合掌而啓請。
 

“이 사바제(舍婆提)8)에 머무소서.
토지는 풍족하고 또 안락합니다.
이 나라의 바사닉(波斯匿) 대왕은
사자원족(師子元族)의 후손입니다.
居在舍婆提,
土地豐安樂,
波斯匿大王,
師子元族胄。
 

복덕(福德)의 그 이름 널리 퍼져
멀고 가까운 모든 곳에서 존경합니다.
제가 이제 정사(精舍)를 세우고자 하니
부디 가엾게 여기시어 받아 주소서.
福德名稱流,
遠近所宗敬,
欲造立精舍,
唯願哀愍受。
 

부처님 마음은 평등하시므로
거처의 안락함을 구하시지 않겠지만
이 중생들 가엾게 여기시어
제 간청 어기시지 않을 줄 압니다.”
知佛心平等,
所居不求安,
愍彼衆生故,
不違我所請。
 

부처님께서는 그 장자의 마음에
크게 보시할 생각 일으키면서
물듦도 없고 집착하는 바도 없이
중생의 마음 잘 보호할 줄 아셨네.
佛知長者心,
大施發於今,
無染無所著,
善護衆生心。
 

“너는 이미 참된 진리 보았고
본 마음 보시하기 좋아하나니
돈과 재물과 범상치 않은 보배를
마땅히 내어 보시해야 하리.
汝已見眞諦,
素心好行施,
錢財非常寶,
宜應速施爲。
 

마치 창고가 불에 탔을 때
이미 낸 물건 보배라 해도
밝은 사람은 덧없음 알아
재물 내어 널리 은혜 베풂 같다네.
如藏庫被燒,
已出者爲珍,
明人知無常,
出財廣行惠。
 

탐욕이 많은 이는 지키고 아껴
다할까 두려워 쓸데 쓰지 않고
또한 덧없음을 두려워할 줄 모르다가
속절없이 잃고는 근심하고 후회 더하네.
慳貪者守惜,
恐盡不受用,
亦不畏無常,
徒失增憂悔。
 

때맞춰 근기에 따라 베풀기
마치 건장한 사내가 도적을 만나
능히 베풀고 능히 싸우듯 하면
이는 용감하고 지혜 있는 장부라네.
應時應器施,
如健夫臨敵,
能施而能戰,
是則勇慧士。
 

베푸는 이는 뭇 사람 사랑 받고
좋은 이름은 널리 두루 퍼지며
어질고 착한 이를 벗하기 좋아하니
그 목숨 마쳐도 마음 항상 기쁘네.
施者衆所愛,
善稱廣流聞,
良善樂爲友,
命終心常歡。
 

뉘우침 없고 두려움도 없으며
아귀 세계에 태어나지 않으리.
이것은 곧 꽃의 결실이 되어
그 열매 또한 생각키 어려우리.
無悔亦無怖,
不生餓鬼趣,
此則爲花報,
其果難思議。
 

여섯 갈래 세계를 윤회할 때
좋은 짝은 보시보다 더한 것 없나니
만일 천상이나 인간 세계에 태어나면
뭇 대중이 받들고 섬길 것이요.
輪迴六趣中,
良伴無過施,
若生天人中,
爲衆所奉事。
 

비록 축생 세계에 태어나더라도
보시의 과보를 따라 즐거움 누리리.
지혜로서 고요한 선정을 닦는 것은
의지함도 없고 헤아림도 없다네.
生於畜生道,
施報隨受樂,
智慧脩寂定,
無依無有數。
 

아무리 감로(甘露)의 도 얻었다 해도
오히려 보시를 바탕하여 이룬 것이네.
그는 은혜로운 보시를 연(緣)하여
여덟 가지 대인(大人)의 생각을 닦고
雖獲甘露道,
猶資施以成,
緣彼惠施故,
脩八大人念。
 

그 생각 따라 기쁜 마음 있으며
결정코 삼마제(三摩提)를 얻는 것이네.
삼매(三昧)는 지혜를 증가시켜
능히 나고 멸함을 바로 보게 하나니
隨念歡喜心,
決定三摩提,
三昧增智慧,
能正觀生滅。
 

나고 멸함을 바르게 관찰한 다음
차례차례 해탈을 얻게 된다네.
재물 버려 은혜로 베푸는 이는
탐욕과 집착을 없애 버리네.
正觀生滅已,
次第得解脫,
捨財惠施者,
蠲除於貪著。
 

자비롭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베풀어
미움ㆍ성냄ㆍ거만을 아울러 버리네.
은혜로 베푼 결과를 분명하게 보고
베풂 없는 어리석음 버려지는 것 보아
慈悲恭敬與,
兼除嫉恚慢,
明見惠施果,
無施癡見除。
 

모든 맺음[結]의 번뇌를 멸하나니
이것은 다 은혜로 베푼 결과라네.
그러므로 은혜로 베풂이야말로
해탈의 인(因)이 됨을 알아야 하리.
諸結煩惱滅,
斯由於惠施,
當知惠施者,
則爲解脫因。
 

마치 사람이 씨 뿌리고 가꾸는 것
그늘과 꽃과 열매 얻기 위함이듯
보시도 또한 그와 같아서
과보의 즐거움이 대열반이라네.
猶如人種栽,
爲蔭花果故,
布施亦如是,
報樂大涅槃。
 

견고하지 않은 재물의 보시로서
그 값으로 견고한 결과를 얻는다네.
음식을 보시하면 오직 힘만 얻고
옷을 보시하면 좋은 몸을 얻네.
不堅固財施,
獲報堅固果,
施食唯得力,
施衣得好色。
 

만일 정사(精舍)를 세우면
온갖 결과 구족함을 이룬다네.
혹은 보시로서 5욕(欲)을 구하거나
혹은 큰 재물을 탐해 구하네.
若建立精舍,
衆果具足成,
或施求五欲,
或貪求大財。
 

혹은 명예를 위해 보시 행하거나
혹은 하늘에 태어나 즐거움 누리기 위함이네.
혹은 가난과 괴로움 면하기를 원하는데
오직 그대만의 생각 없는 보시는
或爲名聞施,
有求生天樂,
或爲免貧苦,
唯汝無想施。
 

보시 중에서 최상의 보시로서
무슨 이익이든 얻지 못할 게 없으리.
그대의 마음가짐 크고 넓으니.
마땅히 빨리 성취케 해야 하리.
施中之最上,
無利而不獲,
汝心有所弘,
宜令速成就。
 

어리석은 애욕의 마음으로 왔지만
맑고 깨끗한 눈을 떠 돌아가라.”
장자는 부처님의 가르침 받고
은혜로운 마음 더욱 밝아졌다네.
癡愛心來遊,
淸淨眼開還,
長者受佛教,
惠心轉增明。
 

이내 저 우바저사(優波低舍)를 청해
어진 벗되어 함께 돌아가지만
그들은 저 교살라국(憍虄羅國)으로 돌아가
두루 돌아다니며 좋은 터를 찾다가
請優波低舍,
賢友而同歸,
還彼憍薩羅,
周行擇良墟。
 

그 태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원(祇園)의
숲과 물이 지극히 맑고 고요함을 보았네.
그들은 태자가 있는 곳으로 나아가
그 밭을 사려고 청해 보았네.
見太子祇園,
林流極淸閑,
往詣太子所,
請求買其田。
 

그러나 태자는 귀한 보배처럼 아껴서
아예 팔 생각을 내지 않았네.
“비록 황금을 가득히 깔더라도
오히려 그 땅은 내놓을 수 없으리.”
太子甚寶惜,
元無出賣心,
設布黃金滿,
猶尚地不遷。
 

장자는 마음으로 매우 기뻐해
곧 황금을 두루 깔았네.
기타(祇陀)태자가 말했네.
“내가 주지도 않았는데 어찌하여 금을 까는가.”
長者心歡喜,
卽遍布黃金,
祇言我不與,
汝云何布金。
 

장자가 말했네.
“주지 않으려면 어찌 황금을 깔라 하였소.”
그리하여 두 사람은 서로 다투다
관청에서 송사까지 벌이게 되자
長者言不與,
何言滿黃金,
二人共諍說,
延及斷事官。
 

여러 사람들 모두 기특하다 찬탄하였고
기타 태자 또한 그 정성 알게 되었네.
그 이유를 자세히 물었을 때
대답하여 말했네. “정자를 세워
衆皆歎奇特,
祇亦知其誠,
廣問其因緣,
辭言立精舍。
 

여래와 제자들 그리고
비구들에게 공양하려 한다네.”
태자는 부처라는 이름을 듣고
그 마음에 곧 깨달음 생겼네.
供養於如來,
幷及比丘僧,
太子聞佛名,
其心卽開悟。
 

다만 그 황금의 반만 받고
화해 구하고 함께 정사 세우자 했네.
“그대는 땅을, 나는 숲을
우리 함께 부처님께 공양하자.”
唯取其半金,
求和同建立,
汝地我樹林,
共以供養佛。
 

그래서 장자는 땅을, 태자는 숲을 바쳐
사리불로 감독관을 삼아
경영하기 시작해 정사를 세울 때
밤낮으로 꾸준히 해 어느새 완성되었네.
長者地祇林,
以付舍利弗,
經始立精舍,
晝夜勤速成。
 

높이 드러나고 훌륭하게 장엄함이
마치 사천왕의 궁전 같았네.
법을 따르고 도(道)에 맞추어
여래의 쓰임에도 알맞았네.
高顯勝莊嚴,
猶四天王宮,
隨法順道宜,
稱如來所應。
 

세간에 일찍이 없던 일로서
사위성을 더욱더 빛내었네.
여래께서는 신비한 공덕을 나타내고
제자들 모여들어 안거(安居)할 때
世閒未曾有,
增暉舍衛城,
如來現神蔭,
衆聖集安居。
 

시자(侍者) 없는 이에겐 시자를 내려주고
시자 있는 이에겐 도에 필요한 물자를 대었네.
장자는 이 복으로 말미암아
그 목숨 끝나자 하늘에 태어났고
자손들은 그 업을 이어 받아
대대로 복밭[福田]을 심었네.
無侍者哀降,
有侍資道宜,
長者乘斯福,
壽盡上昇天,
子孫繼其業,
歷世種福田。
 
 

 

 

 

그때 어떤 큰 장자(長者) 있었으니

이름을 급고독(給孤獨)이라 하였다.

큰 부자로서 재물은 한량없이 많았는데

널리 보시하여 가난한 이 구제했다네.

時有大長者,

名曰給孤獨,

巨富財無量,

廣施濟貧乏。

 

그는 멀리 북쪽에 있는

교살라국(憍薩羅國)에서 오다가

어떤 친구 집에서 묵었었는데

그 주인 이름은 수라(首羅)라 했네.

遠從於北方,

憍薩羅國來,

止一知識舍,

主人名首羅。

 

그는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나와

죽원(竹園)에 계신단 말 듣고

그 이름 받들고 그 덕을 존경하여

그 밤으로 곧 그 숲에 나아갔네.

聞佛興於世,

近住於竹園,

承名重其德,

卽夜詣彼林。

 

여래께서는 이미 그의 근기가 성숙했고

깨끗한 믿음이 생긴 줄 아시고

그에 맞게 그 사실 칭찬하며

그를 위하여 법을 설하셨네.

如來已知彼,

根熟淨信生,

隨宜稱其實,

而爲說法言。

 

“그대는 이미 바른 법을 좋아해

청정하게 믿는 마음 간절하기에

능히 잠을 줄이고

나에게 와 예를 올리니

내 오늘은 그대를 위하여

첫 손님에 대한 예의 두루 갖추리.

汝已樂正法,

淨信心虛渴,

能減於睡眠,

而來敬禮我,

今日當爲汝,

具設初賓儀。

 

그대는 전생에 덕의 종자[本] 심었고

그 희망 견고하고 깨끗해

부처란 이름 듣자 기뻐했으니

바른 법의 그릇이 될 만하여라.

汝宿殖德本,

堅固淨其望,

聞佛名歡喜,

堪爲正法器。

 

빈 마음으로 널리 은혜 베풀어

가난하고 궁핍한 이에게 두루 베푸니

그 이름과 덕 두루 흘러 퍼져

그 결실 이룸은 전생 인연 때문이라네.

虛懷廣行惠,

周給於貧窮,

名德普流聞,

果成由宿因。

 

이제는 마땅히 법보시를 행하되

지극한 마음으로 정성껏 베풀고

때로는 고요함의 보시 베풀며

아울러 깨끗한 계(戒) 받아 지니면

今當行法施,

至心精誠施,

時施寂靜施,

兼受持淨戒。

 

계(戒)는 장엄하는 도구가 되고

또 능히 나쁜 갈래[趣] 변화시켜서

사람으로 하여금 하늘에 오르게 하여

하늘의 다섯 가지 즐거움으로 보답하리라.

戒爲莊嚴具,

能轉於惡趣,

令人上昇天,

報以天五樂。

 

구(求)하는 모든 것 큰 괴로움이요

애욕은 모든 허물 모으나니

그러므로 마땅히 악을 멀리 여의고

욕심 떠나 고요한 즐거움 닦으라.

諸求爲大苦,

愛欲集諸過,

當脩遠離惡,

離欲寂靜樂。

 

늙고 병들고 죽는 괴로움

세상의 큰 근심인 줄 알아

세상을 바르게 관찰함으로써

남ㆍ늙음ㆍ병듦ㆍ죽음 여의어야 하리.

知老病死苦,

世閒之大患,

正觀察世閒,

離生老病死。

 

남ㆍ늙음ㆍ병듦ㆍ죽음이

이미 이 인간에게 있음을 보았네.

하늘에 나더라도 또한 그러하나니

항상 존재함 없기 때문이라네.

旣見於人閒,

有老病死苦,

生天亦復然,

無有常存者。

 

항상함이 없으면 그게 바로 괴로움이요

괴로움은 곧 내가 없음이며

무상함과 괴로움은 내가 아니니

어떻게 거기에 나와 내 것 있으랴.

無常則是苦,

苦則無有我,

無常苦非我,

何有我我所。

 

괴로움은 곧 괴로움인 줄 알고

모임[集]은 곧 모임인 줄 알아

괴로움이 멸하면 곧 고요함이요

그 길[道]은 곧 안온한 곳이니라.

知苦卽是苦,

集者則爲集,

苦滅卽寂靜,

道卽安隱處。

 

온갖 생겨남엔 유동(流動)하는 성질 있으니

그것이 곧 괴로움의 근본인 줄을 알라.

그 끝을 싫어해 근원을 막고자 할 뿐

있음과 없음을 원하는 것 아니네.

群生流動性,

當知是苦本,

厭末塞其源,

不願有非有。

 

남ㆍ늙음ㆍ죽음은 성대한 불길로서

온 세간을 두루 태우네.

남과 죽음에 동요됨을 깨달아

마땅히 생각 없음[無想] 익혀야 하네.

生老死盛火,

世閒普熾然,

見生死動搖,

當習於無想。

 

삼마제(三摩提)는 최후의 경지로서

감로(甘露)의 고요한 곳이라네.

모든 것 공(空)하여 나와 내 것이 없고

이 세간은 모두 다 꼭두각시 같나니

三摩提究竟,

甘露寂靜處,

空無我我所,

世閒悉如幻。

 

마땅히 이 몸을 관찰해 보라.

4대(大)와 5온(蘊)의 덩어리라네.”

그때 장자는 이 설법 듣고

그 자리에서 초과(初果)를 얻었네.

當觀於此身,

諸大衆行聚,

長者聞說法,

卽得於初果。

 

“나고 죽음의 바다는 소멸했으나

오직 한 방울 남은 것 있으니

비고 한가한 데서 욕심 여읨 닦았어도

제일 유(有)와 무(無)에 대한 몸의 견해는 남아

지금 세속 사람이

진리 보아 참으로 해탈함만 못했네.

生死海消滅,

唯有一滴餘,

空閑修離欲,

第一有無身,

不如今俗人,

見諦眞解脫。

 

“모든 고행을 여의지 못하고

갖가지 다른 견해의 그물 있으면

제일의 유(有)에까지 이르렀다 해도

그것은 참된 이치 보지 못한 것이니

삿된 생각으로 하늘 복에 집착하면

유(有)에 대한 애욕의 결박 더욱 깊어지리.

”不離諸苦行,

種種異見網,

雖至第一有,

不見眞實義,

邪想著天福,

有愛縛轉深。

 

그때 장자는 이 설법 듣고

음개(陰蓋)가 곧 환히 열려

이내 바른 견해를 얻게 되었고

모든 그릇된 견해 영원히 사라짐이

마치 사나운 가을 바람이

두터운 구름을 흩는 것 같네.

長者聞說法,

陰蓋煥然開,

逮得於正見,

諸邪見永除,

猶如秋厲風,

飄散於重雲。

 

“자재천(自在天)의 인(因)이라 헤아리지 말고

그릇된 인(因)에서 생긴 것도 아니며

또한 아무런 인 없이

이 세간이 생긴 것도 아니라네.

不計自在因,

亦非邪因生,

亦復非無因,

而生於世閒。

 

만일 자재천이 만들어 낸 것이라면

어른과 아이, 먼저와 뒤가 없어야 할 것이요

또한 다섯 갈래의 윤회도 없어야 할 것이며

생긴 것은 당연히 멸하지 않아야 할 것이네.

若自在天生,

無長幼先後,

亦無五道輪,

生者不應滅。

 

또한 재환(災患)도 없어야 할 것이며

악을 지어도 허물되지 않아야 하리니

깨끗하거나 깨끗하지 못한 업(業)은

다 자재천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라네.

亦不應災患,

爲惡亦非過,

淨與不淨業,

斯由自在天。

 

만일 자재천이 만들어 낸 것이라면

세상은 아무도 의심하지 않으리라.

아들이 아비에게서 생겨난 것 같으리

누가 그 아비를 모른다 하리.

若自在天生,

世閒不應疑,

如子從父生,

孰不識其尊。

 

사람이 궁하고 괴로운 때를 만나도

도리어 하늘을 원망하지 않을 것이요

모두 자재천을 숭상할 것이니

마땅히 다른 신(神)은 받들지 않으리라.

人遭窮苦時,

不應反怨天,

悉應宗自在,

不應奉餘神。

 

자재천이 정말 지은 것이라면

자재천이라 이름해선 안 될 것이니

그는 곧 지은 이이기 때문에

그는 마땅히 늘 지어야 하리.

自在是作者,

不應名自在,

以其是作故,

彼則應常作。

 

언제나 지으면 스스로 고달플 것이니

어떻게 자재(自在)라 할 수 있으랴.

만일 아무 생각 없이 지었다 하면

어린애 장난과 같을 것이네.

常作則自勞,

何名爲自在,

若無心而作,

如嬰兒所爲。

 

만일 작심하고서 지었다 하면

마음이 있으니 자재가 아니리라.

괴롭고 즐거움이 중생 때문이라면

그것은 자재천이 지은 것 아니네.

若有心而作,

有心非自在,

苦樂由衆生,

則非自在作。

 

자재천이 괴로움과 즐거움 내었다면

그에게 사랑과 미움이 있음이니

이미 사랑하고 미워함이 있다면

마땅히 자재천이라 일컫지 않으리.

自在生苦樂,

彼應有愛憎,

已有愛憎故,

不應稱自在。

 

만일 다시 자재천이 지었다면

중생들은 잠자코 있어야 할 것이니

그의 자재한 힘에 맡겼거늘

무엇 하러 구태여 선(善)을 닦으리.

若復自在作,

衆生應默然,

任彼自在力,

何用修善爲。

 

정령 또 선악을 닦는다 해도

마땅히 그 업보가 없기 때문이네.

만일 자재천이 그 업(業)을 내었다면

일체는 모두 그 업이 같아야 할 것이네.

正復修善惡,

不應有業報,

自在若業生,

一切則共業。

 

만일 모두가 업이 같다면

모두 자재천이라 일컬어야 할 것이네.

만일 자재천이 인(因)이 없다면

일체도 또한 인이 없어야 할 것이네.若是共業者,

皆應稱自在,

自在若無因,

一切亦應無。통합뷰어

만일 다른 자재천을 의지한다면

자재천은 마땅히 끝이 없어야 하리.

그러므로 저 모든 중생들

아무도 지은 이 없네.

若因餘自在,

自在應無窮,

是故諸衆生,

悉無有作者。

 

마땅히 알라. 자재천의 이치는

이 이론(理論)에 마주치면 곧 깨어져서

일체 이치가 서로 어긋나니

만일 설명할 수 없다면 곧 허물이 있다네.

當知自在義,

於此論則壞,

一切義相違,

無說則有過。

 

또 만일 자성(自性)에서 생겼다 해도

그 허물 또한 이와 같으리.

저 모든 인명론자(因明論者)들

일찍이 이렇게 말하지 않았네.

若復自性生,

其過亦如是,

諸明因論者,

未曾如是說。

 

의지할 것도 없고 또한 그 인(因)이 없이도

능히 지어지는 것이 거기 있다고 말하네.

그러나 세상 모든 것 다 인을 말미암음이

마치 종자를 의지하는 것 같네.

無所依無因,

而能有所作,

彼彼皆由因,

猶如依種子。

그러므로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은

자성(自性)에서 생긴 것 아닌 줄 아네.

이 세상의 모든 지어진 것들

오직 한 인으로 생긴 것 아니건만

是故知一切,

則非自性生,

一切諸所作,

非唯一因生。

 

그러면서 여기 한 자성을 말하나니

그러므로 그것은 인이 아니네.

혹은 말하기를 그 자성은

온갖 곳에 두루하다고 하지만

而說一自性,

是故則非因,

若言彼自性,

周滿一切處。통합뷰어

만일 온갖 곳에 두루하다면

지은이도 지어진 이도 없을 것이니

이미 지은이도 지어진 이도 없다면

그것은 곧 인이 되지 않으리.若周滿一切,

亦無能所作,

旣無能所作,

是則非爲因。

 

만일 온갖 곳에 두루하다면

그 온갖 것을 만든 이 있으리니

그것은 곧 온갖 때에 있어서

늘 만드는 이가 있어야 하리.

若遍一切處,

一切有作者,

是則一切時,

常應有所作。

 

만일 늘 만드는 이가 있다고 하면

때를 기다렸다가 물건을 낼 리 없으리니

그러므로 또한 마땅히 알라.

자성이 인(因)이 되는 것 아니라네.

若言常作者,

無待時生物,

是故應當知,

非自性爲因。

 

또한 말하기를 그 자성은

일체의 구나(求那)를 여의었다 하지만

그러면 저 만들어진 모든 것들

또한 반드시 구나를 여의어야 하리.

又說彼自性,

離一切求那,

一切所作事,

亦應離求那。

 

그러나 이 모든 세간은

다 구나가 있음을 보나니

그러므로 또한 이 자성은

일체의 인이 아님을 아네.

一切諸世閒,

悉見有求那,

是故知自性,

亦復非爲因。

 

만일 저 자성에 대해

구나와 다르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상(常)으로써 인을 삼기 때문에

그 성질 다르지 않아야 할 것이네.

若說彼自性,

異於求那者,

以常爲因故,

其性不應異。

 

그런데도 중생은 구나와 다르니

그러므로 자성은 그 인이 아니요.

자성이 만일 항상한 것이라면

사물 또한 무너지지 않아야 하리.

衆生求那異,

故自性非因,

自性若常者,

事亦不應壞。

 

만일 자성으로 그 인을 삼는다면

인과(因果)의 이치는 같아야 하리라.

그러나 세간의 무너짐을 보나니

그러므로 따로 인이 있음을 아네.

以自性爲因,

因果理應同,

世閒見壞故,

當知別有因。

 

만일 그 자성이 인(因)이 된다면

마땅히 해탈을 구하지 않아도 되니

그것은 그 자성 있기 때문에

그것의 나고 멸함에 맡겨야 할 것이네.

若彼自性因,

不應求解脫,

以有自性故,

應任彼生滅。

 

가령 해탈을 얻는다 하더라도

자성은 도리어 결박되게 될 것이네.

만일 자성을 보지 못하면서

그 법의 인을 본다고 한다면

假令得解脫,

自性還生縛,

若自性不見,

爲見法因者。

 

그것 또한 인이 되지 못하리니

인과의 이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간의 모든 보이는 일들

인과 과가 다 함께 나타나네.

此亦非爲因,

因果理殊故,

世閒諸見事,

因果悉俱見。

 

만일 자성에 마음이 없다면

마음엔 인이 있을 수 없네.

연기를 보고 불을 아는 것처럼

인과 과는 서로 구하는 게 비슷하다네.若自性無心,

不應有心因,

如見煙知火,

因果類相求。

 

그 인을 보지 못하고는

그 일을 볼 수 없네.

금(金)으로 그릇이나 옷을 만드는 것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금과는 떨어질 수 없다네.

非彼因不見,

而生於見事,

猶金造器服,

始終不離金。

 

자성을 이 일의 인이라 한다면

처음과 끝이 어찌 다를 수 있으랴.

만일 때[時]로 말미암아 만드는 이 있게 되면

마땅히 해탈을 구하지 않으리니

自性是事因,

始終豈得殊,

若使時作者,

不應求解脫。

 

그 때란 항상하기 때문에

그 시절(時節)에 맡겨야 마땅하리라.

이 세간은 끝이 없는 것처럼

시절도 또한 그와 같다네.

以彼時常故,

應任彼時節,

世閒無有邊,

時節亦復然。

 

그러므로 수행하는 사람도

마땅히 방편을 구하지 않아야 하네.

다라표구나(陀羅驃求那)라는

세상의 또 다른 주장이 있네.

是故脩行者,

不應方便求,

陁羅驃求那,

世閒一異論。

 

비록 여러 가지 주장들이 있기는 하나

인(因)이 같지 않음을 알아야 하네.

만일 내[我]가 짓는다고 한다면

반드시 하고픈 대로 생하였을 것이네.

雖有種種說,

當知非一因,

若說我作者,

應隨欲而生。

 

그러나 지금은 하고픈 대로 되지 않나니

어떻게 내가 짓는다 하리.

갈구하지 않는데 그것을 얻고

갈구하는데 도리어 얻지 못하네.

而今不隨欲,

云何說我作,

不欲而更得,

欲者反更違。

 

괴로움과 즐거움에 자재롭지 못한데

어떻게 내가 짓는다 하리.

만일 내가 짓는 것이라 한다면

나쁜 갈래의 업은 없었을 것이네.

苦樂不自在,

云何言我作,

若使我作者,

應無惡趣業。

 

그런데 갖가지 업의 과(果) 생기나니

그러므로 내가 짓는 것 아님을 아네.

나는 때[時]를 따라 짓는다고 한다면

때를 따라 오직 착한 일만 지었을 것인데

種種業果生,

故知非我作,

言我隨時作,

時應唯作善。

 

선(善)과 악(惡)이 인연 따라 생겨나니

그러므로 내가 짓는 것 아님을 알리.

만일 인(因) 없이 지어졌다면

마땅히 방편 닦을 일 없어야 하리라.

善惡隨緣生,

故知非我作,

若使無因作,

不應修方便。

 

일체는 저절로 정해져 있거늘

무엇 하러 구태여 인을 닦으리.

세간에서는 갖가지 업을 지어

갖가지로 결과를 거둔다네.

一切自然定,

修因何所爲,

世閒種種業,

而獲種種果。

 

그러므로 일체 세간에는

인 없이 지어진 것 없음을 아네.

마음이 있고 또 마음 없음은

모두 인연 따라 일어난다네.

是故知一切,

非爲無因作,

有心及無心,

悉從因緣起。

 

그러므로 이 세간의 일체법은

인 없이 생긴 것 하나도 없네.”

장자는 마음이 열리고 풀려

훌륭하고 묘한 이치 밝게 통달했다네.

世閒一切法,

非無因生者,

長者心開解,

通達勝妙義。

 

한 모양의 진실한 지혜가 생겨

결정코 참된 이치 밝게 알았네.

세존의 발에 공경스레 예배하고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다네.

一相實智生,

決定了眞諦,

敬禮世尊足,

合掌而啓請。

 

“이 사바제(舍婆提)8)에 머무소서.

토지는 풍족하고 또 안락합니다.

이 나라의 바사닉(波斯匿) 대왕은

사자원족(師子元族)의 후손입니다.

居在舍婆提,

土地豐安樂,

波斯匿大王,

師子元族胄。

 

복덕(福德)의 그 이름 널리 퍼져

멀고 가까운 모든 곳에서 존경합니다.

제가 이제 정사(精舍)를 세우고자 하니

부디 가엾게 여기시어 받아 주소서.

福德名稱流,

遠近所宗敬,

欲造立精舍,

唯願哀愍受。

 

부처님 마음은 평등하시므로

거처의 안락함을 구하시지 않겠지만

이 중생들 가엾게 여기시어

제 간청 어기시지 않을 줄 압니다.”

知佛心平等,

所居不求安,

愍彼衆生故,

不違我所請。

 

부처님께서는 그 장자의 마음에

크게 보시할 생각 일으키면서

물듦도 없고 집착하는 바도 없이

중생의 마음 잘 보호할 줄 아셨네.

佛知長者心,

大施發於今,

無染無所著,

善護衆生心。

 

“너는 이미 참된 진리 보았고

본 마음 보시하기 좋아하나니

돈과 재물과 범상치 않은 보배를

마땅히 내어 보시해야 하리.

汝已見眞諦,

素心好行施,

錢財非常寶,

宜應速施爲。

 

마치 창고가 불에 탔을 때

이미 낸 물건 보배라 해도

밝은 사람은 덧없음 알아

재물 내어 널리 은혜 베풂 같다네.

如藏庫被燒,

已出者爲珍,

明人知無常,

出財廣行惠。

 

탐욕이 많은 이는 지키고 아껴

다할까 두려워 쓸데 쓰지 않고

또한 덧없음을 두려워할 줄 모르다가

속절없이 잃고는 근심하고 후회 더하네.

慳貪者守惜,

恐盡不受用,

亦不畏無常,

徒失增憂悔。

 

때맞춰 근기에 따라 베풀기

마치 건장한 사내가 도적을 만나

능히 베풀고 능히 싸우듯 하면

이는 용감하고 지혜 있는 장부라네.

應時應器施,

如健夫臨敵,

能施而能戰,

是則勇慧士。

 

베푸는 이는 뭇 사람 사랑 받고

좋은 이름은 널리 두루 퍼지며

어질고 착한 이를 벗하기 좋아하니

그 목숨 마쳐도 마음 항상 기쁘네.

施者衆所愛,

善稱廣流聞,

良善樂爲友,

命終心常歡。

 

뉘우침 없고 두려움도 없으며

아귀 세계에 태어나지 않으리.

이것은 곧 꽃의 결실이 되어

그 열매 또한 생각키 어려우리.

無悔亦無怖,

不生餓鬼趣,

此則爲花報,

其果難思議。

 

여섯 갈래 세계를 윤회할 때

좋은 짝은 보시보다 더한 것 없나니

만일 천상이나 인간 세계에 태어나면

뭇 대중이 받들고 섬길 것이요.

輪迴六趣中,

良伴無過施,

若生天人中,

爲衆所奉事。

 

비록 축생 세계에 태어나더라도

보시의 과보를 따라 즐거움 누리리.

지혜로서 고요한 선정을 닦는 것은

의지함도 없고 헤아림도 없다네.

生於畜生道,

施報隨受樂,

智慧脩寂定,

無依無有數。

 

아무리 감로(甘露)의 도 얻었다 해도

오히려 보시를 바탕하여 이룬 것이네.

그는 은혜로운 보시를 연(緣)하여

여덟 가지 대인(大人)의 생각을 닦고

雖獲甘露道,

猶資施以成,

緣彼惠施故,

脩八大人念。

 

그 생각 따라 기쁜 마음 있으며

결정코 삼마제(三摩提)를 얻는 것이네.

삼매(三昧)는 지혜를 증가시켜

능히 나고 멸함을 바로 보게 하나니

隨念歡喜心,

決定三摩提,

三昧增智慧,

能正觀生滅。

 

나고 멸함을 바르게 관찰한 다음

차례차례 해탈을 얻게 된다네.

재물 버려 은혜로 베푸는 이는

탐욕과 집착을 없애 버리네.

正觀生滅已,

次第得解脫,

捨財惠施者,

蠲除於貪著。

 

자비롭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베풀어

미움ㆍ성냄ㆍ거만을 아울러 버리네.

은혜로 베푼 결과를 분명하게 보고

베풂 없는 어리석음 버려지는 것 보아

慈悲恭敬與,

兼除嫉恚慢,

明見惠施果,

無施癡見除。

 

모든 맺음[結]의 번뇌를 멸하나니

이것은 다 은혜로 베푼 결과라네.

그러므로 은혜로 베풂이야말로

해탈의 인(因)이 됨을 알아야 하리.

諸結煩惱滅,

斯由於惠施,

當知惠施者,

則爲解脫因。

 

마치 사람이 씨 뿌리고 가꾸는 것

그늘과 꽃과 열매 얻기 위함이듯

보시도 또한 그와 같아서

과보의 즐거움이 대열반이라네.

猶如人種栽,

爲蔭花果故,

布施亦如是,

報樂大涅槃。

 

견고하지 않은 재물의 보시로서

그 값으로 견고한 결과를 얻는다네.

음식을 보시하면 오직 힘만 얻고

옷을 보시하면 좋은 몸을 얻네.

不堅固財施,

獲報堅固果,

施食唯得力,

施衣得好色。

 

만일 정사(精舍)를 세우면

온갖 결과 구족함을 이룬다네.

혹은 보시로서 5욕(欲)을 구하거나

혹은 큰 재물을 탐해 구하네.

若建立精舍,

衆果具足成,

或施求五欲,

或貪求大財。

 

혹은 명예를 위해 보시 행하거나

혹은 하늘에 태어나 즐거움 누리기 위함이네.

혹은 가난과 괴로움 면하기를 원하는데

오직 그대만의 생각 없는 보시는

或爲名聞施,

有求生天樂,

或爲免貧苦,

唯汝無想施。

 

보시 중에서 최상의 보시로서

무슨 이익이든 얻지 못할 게 없으리.

그대의 마음가짐 크고 넓으니.

마땅히 빨리 성취케 해야 하리.

施中之最上,

無利而不獲,

汝心有所弘,

宜令速成就。

 

어리석은 애욕의 마음으로 왔지만

맑고 깨끗한 눈을 떠 돌아가라.”

장자는 부처님의 가르침 받고

은혜로운 마음 더욱 밝아졌다네.

癡愛心來遊,

淸淨眼開還,

長者受佛教,

惠心轉增明。

 

이내 저 우바저사(優波低舍)를 청해

어진 벗되어 함께 돌아가지만

그들은 저 교살라국(憍虄羅國)으로 돌아가

두루 돌아다니며 좋은 터를 찾다가

請優波低舍,

賢友而同歸,

還彼憍薩羅,

周行擇良墟。

 

그 태자가 소유하고 있는 기원(祇園)의

숲과 물이 지극히 맑고 고요함을 보았네.

그들은 태자가 있는 곳으로 나아가

그 밭을 사려고 청해 보았네.

見太子祇園,

林流極淸閑,

往詣太子所,

請求買其田。

 

그러나 태자는 귀한 보배처럼 아껴서

아예 팔 생각을 내지 않았네.

“비록 황금을 가득히 깔더라도

오히려 그 땅은 내놓을 수 없으리.”

太子甚寶惜,

元無出賣心,

設布黃金滿,

猶尚地不遷。

 

장자는 마음으로 매우 기뻐해

곧 황금을 두루 깔았네.

기타(祇陀)태자가 말했네.

“내가 주지도 않았는데 어찌하여 금을 까는가.”

長者心歡喜,

卽遍布黃金,

祇言我不與,

汝云何布金。

 

장자가 말했네.

“주지 않으려면 어찌 황금을 깔라 하였소.”

그리하여 두 사람은 서로 다투다

관청에서 송사까지 벌이게 되자

長者言不與,

何言滿黃金,

二人共諍說,

延及斷事官。

 

여러 사람들 모두 기특하다 찬탄하였고

기타 태자 또한 그 정성 알게 되었네.

그 이유를 자세히 물었을 때

대답하여 말했네. “정자를 세워

衆皆歎奇特,

祇亦知其誠,

廣問其因緣,

辭言立精舍。

 

여래와 제자들 그리고

비구들에게 공양하려 한다네.”

태자는 부처라는 이름을 듣고

그 마음에 곧 깨달음 생겼네.

供養於如來,

幷及比丘僧,

太子聞佛名,

其心卽開悟。

 

다만 그 황금의 반만 받고

화해 구하고 함께 정사 세우자 했네.

“그대는 땅을, 나는 숲을

우리 함께 부처님께 공양하자.”

唯取其半金,

求和同建立,

汝地我樹林,

共以供養佛。

 

그래서 장자는 땅을, 태자는 숲을 바쳐

사리불로 감독관을 삼아

경영하기 시작해 정사를 세울 때

밤낮으로 꾸준히 해 어느새 완성되었네.

長者地祇林,

以付舍利弗,

經始立精舍,

晝夜勤速成。

 

높이 드러나고 훌륭하게 장엄함이

마치 사천왕의 궁전 같았네.

법을 따르고 도(道)에 맞추어

여래의 쓰임에도 알맞았네.

高顯勝莊嚴,

猶四天王宮,

隨法順道宜,

稱如來所應。

 

세간에 일찍이 없던 일로서

사위성을 더욱더 빛내었네.

여래께서는 신비한 공덕을 나타내고

제자들 모여들어 안거(安居)할 때

世閒未曾有,

增暉舍衛城,

如來現神蔭,

衆聖集安居。

 

시자(侍者) 없는 이에겐 시자를 내려주고

시자 있는 이에겐 도에 필요한 물자를 대었네.

장자는 이 복으로 말미암아

그 목숨 끝나자 하늘에 태어났고

자손들은 그 업을 이어 받아

대대로 복밭[福田]을 심었네.

無侍者哀降,

有侍資道宜,

長者乘斯福,

壽盡上昇天,

子孫繼其業,

歷世種福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