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암마라녀견불품(菴摩羅女見佛品)

佛所行讚菴摩羅女見佛品第二十二

22. 암마라녀견불품(菴摩羅女見佛品)

佛所行讚  菴摩羅女見佛品  第二十二

 

세존께서는 널리 교화해 마치시고
열반(涅槃)에 드실 마음 생겨
저 왕사성을 출발해
파련불읍(巴連弗邑)으로 나아가셨다네.
世尊廣化畢,
而生涅槃心,
發於王舍城,
詣巴連弗邑。통합뷰어
거기에 도착하신 뒤로는
바타리지제(婆吒利支提)에 머무셨나니
그곳은 저 마갈제(摩竭提)의
변방에 있는 속국이었다네.
到已住於彼,
婆咤利支提,
彼是摩竭提,
邊邑附庸國。
 
 

그 나라의 주인인 바라문은
학식이 많고 경전에 밝았으며
나라의 안위를 우러러 상(相)을 살피던
그 나라의 앙관사(仰觀師)였네.
國主婆羅門,
多聞明經典,
瞻相土安危,
國之仰觀師。
 
 

마갈왕은 사자(使者) 보내어
저 앙관사에게 명령하였다.
“견고한 성을 쌓아 올려
그 이웃 강한 나라에 대비하라.”
摩竭王遣使,
勅告彼仰觀,
命起於牢城,
以備於强鄰。
 

세존께서 예언하셨다.
“여기는 하늘신이 보호하는 곳이니
그 안에 성곽을 쌓으면
영원히 튼튼하여 위태로운 일 없으리.”
世尊記彼地,
天神所保持,
於中起城郭,
永固不危亡。
 

앙관사는 듣고 마음이 기뻐
부처ㆍ법ㆍ승단에 공양하였네.
부처님께서는 그 성문을 나가
항하(恒河) 강가로 나아가실 때
仰觀心歡喜,
共養佛法僧,
佛出彼城門,
往詣恒河濱。
 

앙관사는 부처님을 존경하는 뜻으로
그것을 구담문(瞿曇門)이라 이름했네.
항하 강가의 많은 사람들
모두 나와 세존을 맞이하였네.
仰觀深敬佛,
名爲瞿曇門,
恒河側人民,
皆出迎世尊。
 

갖가지 공양 베풀며
저마다 배를 준비해 건너게 하였네.
세존께서는 그 많은 배 중에서 하나만 쓰면
여러 사람 마음과 어긋나리라 생각하시고
興種種供養,
各嚴舩令渡,
世尊以舩多,
偏受違衆心。
 

세존께서는 곧 신통력을 부리시어
자기와 대중들의 몸을 숨기고
이쪽 언덕에서 문득 사라져
저쪽 언덕으로 건너가셨네.
卽以神通力,
隱身及大衆,
忽從此岸沒,
而出於彼岸。
 

부처님께서 지혜의 배를 타시고
중생을 널리 제도하셨으니
그 공덕의 힘으로 말미암아
강을 건널 때 배를 빌리지 않으셨다네.
以乘智慧舩,
廣濟於衆生,
緣斯德力故,
濟河不憑舟。
 

항하 강가의 많은 사람들
같은 소리로 기이하다 외치고
이 나루에 대해 모두들 말하기를
구담 나루[瞿憂津]라 하였네.
恒河側人民,
同聲唱奇哉,
咸言名此津,
名爲瞿曇津。
 

성문 이름은 구담문이고
나루 이름은 구담 나루로서
그 이름 세상에 널리 퍼져
여러 대(代)를 거치며 전하여왔네.
城門瞿曇門,
津名瞿曇津,
斯名流於世,
歷代共稱傳。
 

여래께서는 다시 앞으로 나아가
저 구리(鳩梨) 마을에 이르셔서는
설법하여 많은 사람 교화하셨고
다시 나제(那提) 마을에 이르셨는데
如來復前行,
至彼鳩梨村,
說法多所化,
復至那提村。
 

사람들 돌림병으로 많이 죽자
그 친척들 모두 와서 물었네.
“돌림병으로 죽은 모든 친족들
죽은 뒤에 어디에 태어났습니까?”
人民多疫死,
親戚悉來問,
諸親疫死者,
命終生何所。
 

부처님께서는 업보(業報)를 잘 아시어
그 물음에 따라 모두 예언해주시고
다시 비사리(鞞舍離)로 나아가시어
암라(菴羅) 숲속에 머무셨네.
佛善知業報,
悉隨問記說,
前至鞞舍離,
住於菴羅林。
 

저 암마라(菴摩羅)라는 여자는
부처님께서 그 동산에 오셨단 말 듣고
그 시녀(侍女) 무리들 거느리고
조용히 나와 맞이했었네.
彼菴摩羅女,
承佛詣其園,
侍女衆隨從,
庠序出奉迎。
 

모든 정(情)의 근(根)을 거두어 잡고
몸에는 가벼운 흰 옷을 입어
갖가지로 장엄한 옷을 버리고
목욕하고 향과 꽃으로 단정했네.
善執諸情根,
身服輕素衣,
捨離莊嚴服,
自沐浴香花。
 

마치 세상의 정숙하고 어진 여자
깨끗한 소복 입고 하늘에 절하는 듯
단정하고 아름다운 그 얼굴 모습
마치 하늘 여인[天玉女]의 모습 같았네.
猶世貞賢女,
潔素以祠天,
端正妙容姿,
猶天玉女形。
 

부처님께서 멀리서 여인 오는 것 보시고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네.
“저 여자는 지극히 단정하여
능히 수행자의 마음 붙들 수 있으리니
佛遙見女來,
告諸比丘衆,
此女極端正,
能留行者情。
 

너희들은 마땅히 바른 생각과
지혜로써 그 마음 진정시켜라.
차라리 사나운 호랑이 입이나
미친 사내의 예리한 칼 아래 있을지언정
汝等當正念,
以慧鎭其心,
寧在暴虎口,
狂夫利劍下。
 

여자를 보고 그것에 대하여
애욕의 정을 일으키지 말라.
여자는 아름다운 그 자태 나타낼 때
다니거나 섰거나 앉았거나 누웠거나
不於女人所,
而起愛欲情,
女人顯恣態,
若行住坐臥。
 

더 나아가서는 그 그림에 이르기까지
모두 아름다운 자태를 나타내어
사람의 착한 마음 겁탈하나니
어떻게 스스로 방어하지 않으리.
乃至畫像形,
悉表妖姿容,
劫奪人善心,
如何不自防。
 

울고 웃으며 기뻐하고 성내며
멋대로의 몸짓으로 눈썹 떨구고
혹은 흩은 머리나 기울어진 머리 묶음도
오히려 사람 마음 어지럽게 하거늘
現啼笑憙怒,
縱體而垂肩,
或散髮髻傾,
猶尚亂人心。
 

하물며 그 몸짓과 태도 꾸미고
아름답고 고운 얼굴 나타내면서
장엄한 꾸밈으로 더러운 꼴 숨겨
어리석은 사내를 유혹하고 속이니
況復飾容儀,
以顯妙姿顏,
莊嚴隱陋形,
誘誑於愚夫。
 

정신을 빼앗고 나쁜 생각 내게 하여
추하고 더러운 꼴을 깨닫지 못하게 함이랴.
그러므로 마땅히 덧없고 괴로우며
더럽고 내 것은 없다고 관찰하여
迷亂生德想,
不覺醜穢形,
當觀無常苦,
不淨無我所。
 

그 참된 모양을 자세히 봄으로써
탐욕의 생각을 없애야 하느니라.
스스로 경계를 바르게 관찰하면
하늘여인이라도 좋아할 것 없겠거늘
諦見其眞實,
滅除貪欲想,
正觀於自境,
天女尚不樂。
 

하물며 어떻게 인간세계 탐욕이
능히 사람 마음을 붙들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마땅히 정진(精進)의 활과
지혜의 칼날과 예리한 화살 쥐고
況復人閒欲,
而能留人心,
當執精進弓,
智慧鋒利箭。
 

바른 생각의 겹 갑옷 입고
다섯 가지 탐욕과 결전해 보라.
차라리 뜨거운 쇠창으로써
두 눈을 찔러 뚫을지언정
被正念重鎧,
決戰於五欲,
寧以熱鐵搶,
貫徹於雙目。
 

애욕을 가진 마음으로써
여색(女色)을 보지 않아야 하리.
애욕은 그 마음 미혹시켜
여색(女色)에 현혹되게 하나니
不以愛欲心,
而觀於女色,
愛欲迷其心,
炫惑於女色。
 

어지러운 생각으로 목숨 마치면
반드시 세 가지 나쁜 길에 떨어지리라.
그러므로 나쁜 길의 괴로움 두려워해
여인의 속임을 받지 않아야 하네.
亂想而命終,
必墮三惡道,
畏彼惡道苦,
不受女人欺。
 

감관[根]을 경계에 얽어매지도 말고
경계를 감관에 얽어매지도 말라.
그 가운데서 생겨나는 탐욕의 생각은
감관이 경계를 얽어매기 때문이니라.
根不繫境界,
境界不繫根,
於中貪欲想,
由根繫境界。
 

마치 두 마리 밭가는 소가
한 멍에 한 굴레에 매인 것 같아서
소가 서로를 얽어맨 것 아니니
감관 경계도 또한 그러하니라.
猶如二耕牛,
同一軛一鞅,
牛不轉相縛,
根境界亦然。
 

그러므로 마땅히 마음을 제어해
함부로 방일하지 말지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 위해
갖가지로 설법해 마치시자
是故當制心,
勿令其放逸,
佛爲諸比丘,
種種說法已。
 

저 암마라 여자
차츰차츰 세존 앞에 다가왔네.
부처님께서 나무 밑에 앉으시어
고요히 선정에 들어 사유하시는 것 보고
彼菴摩羅女,
漸至世尊前,
見佛坐樹下,
禪定靜思惟。
 

‘부처님께서 대비(大悲)하신 마음으로
내 이 숲을 받으셨으면’하고 생각했다.
단정한 마음으로 태도를 가다듬어
본래의 아름답고 고운 정을 버리고
念佛大悲心,
哀受我樹林,
端心斂儀容,
止素妖冶情。
 
 
공경하는 모습으로 마음이 지극하여
머리 조아려 발에 대고 예배했네.
세존께서 앉으라 명령하시고
그 마음에 맞추어 설법하셨네.
恭形心純至,
稽首接足禮,
世尊命令坐,
隨心爲說法。
 

“네 마음 이미 순수하고 고요하며
덕 있는 모습 밖으로 드러난다.
젊은 나이에 재물은 풍족하고
덕을 갖추고 좋은 얼굴 겸하고도
汝心已純靜,
表徹外德容,
壯年豐財寶,
備德兼姿顏。
 

능히 바른 법을 믿고 즐기나니
이것은 세상에서 어려운 일이니라.
장부로서 노숙하고 지혜 있어서
법을 좋아하는 것 기특한 일 아니네.
能信樂正法,
是則世之難,
丈夫宿智慧,
樂法非爲奇。
 

그러나 여자는 정과 뜻이 약하고
지혜는 옅고 애욕은 깊은데도
능히 바른 법을 좋아한다면
그야말로 그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네.
女人情志弱,
智淺愛欲深,
而能樂正法,
此亦爲甚難。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났으면
법을 스스로 좋아해야 하리라.
재물과 색(色)은 항상한 보배 아니요
오직 바른 법만이 보배가 되느니라.
人生於世閒,
唯應法自娛,
財色非常寶,
唯正法爲珍。
 

좋던 건강도 병으로 무너지고
젊음도 늙음으로 변하게 되며
목숨은 죽음으로 곤(困)함을 받지만
수행하는 법만은 침노할 수 없느니라.
强良病所壞,
少壯老所遷,
命爲死所困,
行法無能侵。
 

사랑하는 것도 떠나지 않는 것 없고
사랑하지 않는 것 억지로 만나며
구하는 것 뜻대로 얻지 못하나
오직 법만은 마음을 따르느니라.
所愛莫不離,
不愛而强鄰,
所求不隨意,
唯法爲從心。
 

남의 힘[他力]은 큰 고통 되지만
자재로운 힘은 큰 기쁨 되나니
여자는 모두 남의 힘에 의지하고
겸하여 남의 자식 배는 고통 있다네.
他力爲大苦,
自在力爲歡,
女人悉由他,
兼懷他子苦。
 

그러므로 마땅히 깊이 생각해
여자 몸을 싫어해 여의어야 한다.”
저 암마라 여자
법을 듣자 마음 기뻐지고
是故當思惟,
厭離於女身,
彼菴摩羅女,
聞法心歡喜。
 

굳건한 지혜 더욱 밝아져
능히 애욕을 끊을 수 있었네.
곧 스스로 여자 몸 싫어하고
또한 경계에도 물들지 않았네.
堅固智增明,
能斷於愛欲,
卽自厭女身,
不染於境界。
 

비록 누추한 형상 꼴 부끄럽긴 했으나
법의 힘은 그 마음 권하였기에
머리를 조아리며 부처님께 아뢰었네.
“높은 이의 포섭함 이미 받았습니다.
雖恥於陋形,
法力勸其心,
稽首而白佛,
已蒙尊攝受。
 

내일 저의 공양을 받아주시어
제 이 뜻한 소원 이루게 해주소서.”
부처님께서 그 정성스런 마음 아시고
겸하여 모든 중생 이익되게 하기 위해哀受明供養,
令滿其志願,
佛知彼誠心,
兼利諸群生。
 

잠자코 그의 청을 받아 주시어
그로 하여금 기뻐하게 하시자
그 여자는 눈과 귀 더욱 밝아져
예배하고 집으로 돌아갔다네.
默然受其請,
令卽隨歡喜,
視聽轉增明,
作禮而還家。
佛所行讚卷第四
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통합뷰어
  1. 3)3) 범어로는 Yastivana라도함. 왕사성(王舍城) 교외의 원림(園林). 나중에 이곳에 부처님과 스님들을 위해 정사를 세웠는데 안거(安居) 중에 여기서 머무는 일이 많았다고 함.
  2. 4)4)첫째는 열심히 정진하는 것[精勤]이요, 둘째는 욕심이 적어 만족할 줄 아는 것[所欲知足]이며, 셋째는 용맹한 마음이 있는 것[有勇猛心]이요, 넷째는 많이 알아 다른이에게 법을 설해주는 것이며, 다섯째는 두려움이나 공포가 없는 것이요, 여섯째는 계(戒)와 율(律)을 온전히 갖추는 것이며, 일곱째는 삼매를 성취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지혜가 있는 것이며, 아홉째는 해탈하는 것이요, 열째는 해탙지견(解脫智見)을 얻는 것이다.
  3. 5)5)첫째는 탐(貪)번뇌요, 둘째는 진(瞋)번뇌이며, 셋째는 치(癡)번뇌요, 넷째는 만(慢)번뇌이며, 다섯째는 의(疑)번뇌이고, 여섯째는 몸을 실체시하는 견해[身見], 일곱째는 치우친 견해[邊見], 여덟째는 삿된 견해[邪見], 아홉째는 틀린 견해를 바르다고 집착하는 견해[見取見], 열째는 외도의 계법을 뛰어난 것이라 집착하는[戒禁取見]견해이다.
  4. 6)6)탐(貪)ㆍ진(瞋)ㆍ치(癡) 3독(毒)을 말함.
  5. 7)7)사리불(舍利弗)ㆍ목련(目連)ㆍ대가섭(大迦葉)을 말함
  6. 8)8)범어로는 śrāvasti라고 함. 사위(舍衛)라고도 쓰며, 음역하여 실라벌(室羅筏)ㆍ시라바데(尸羅波提)라고 한다. 중인도 구살라국(拘薩羅國)의 도성으로 부처님 생존시에는 바사닉왕(波斯匿王)과 비유리왕(毘琉璃王)의 부자가 살았으며, 성 남쪽에는 기원정사가 있었다.
  7. 9)9)비람풍(毘藍風)은 범어로는 vairambhaka라고 함. 한역하여 신맹(迅猛) 또는 선풍(旋風)이라고도 한다. 겁말(劫末)ㆍ겁초(劫初)에 불고 속력이 매우 빨라 모든 만물을 파괴하는 바람.
  8. 10)10)다섯 가지의 부사의(不思議)하고 자재한 작용으로 첫째는 천안통(天眼通), 둘째는 천이통(天耳通), 셋째는 타심통(他心通), 넷째는 숙명통(宿命通), 다섯째는 신족통(神足通)을 말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