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나무와 울지 못하는 거위
昨日山中之木 以不材得終其年
今主人之鴈 以不材死 先生將何處
莊周笑曰 周將處夫材與不材之間
材與不材之間 似之而非也 故未免乎累 ―「山木」
이 예시문도 일부만 취한 것입니다. 장자가 제자들과 산길을 가다가 잎과 가지가 무성한 큰 나무를 보았습니다. 그 나무를 베지 않고 있는 나무꾼에게 그 까닭을 묻자 나무꾼은 ‘쓸모가 없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장자가 말하기를 이 나무는 쓸모가 없기(不材) 때문에 천수(天壽)를 다할 수 있었다고 했습니다.
장자 일행이 산에서 내려와 친구 집에 묵었는데 주인은 매우 반기며 심부름하는 아이에게 거위를 잡으라고 했습니다. 심부름하는 아이가 주인에게 물었습니다. 한 놈은 잘 울고, 한 놈은 울지 못하는데 어느 놈을 잡을까요 하자 주인은 울지 못하는 놈을 잡으라고 했습니다. 다음날 제자들이 장자에게 물었습니다.
“어제 산의 나무는 쓸모가 없어서 천수를 다할 수 있었는데, 오늘 이 집의 거위는 쓸모가 없어서 죽었습니다. 선생께서는 장차 어디에 서겠습니까?”
장자가 웃으면서 대답하였다.
“나는 쓸모 있음과 쓸모없음의 중간에 처하겠다. 쓸모 있음과 쓸모없음의 중간이란 도道와 비슷하면서도 실은 참된 도가 아니기 때문에 화를 면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쓸모가 있으면 천수를 다하지 못한다고 하지만, 쓸모가 없으면 취직이 안 되지 않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습니다. 대체로 여러분의 고민이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대학의 고민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학이 취업을 준비하는 곳이 아니라고 하지만 그렇다고 졸업 후의 취업을 외면할 수도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재(材)와 부재(不材)에 대한 현실적 고민이 없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장자가 제기한 재와 부재의 논의는 이러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장자가 중간에 서겠다고 한 것은 중간 지점인 절충의 자리에 서겠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간도 사실은 도와 비슷하지만 도가 아니기 때문에 화를 면치 못한다는 것이 장자의 결론입니다.
장자 사상은 사실 재, 부재의 차원을 초월하고 있습니다. 재는 무엇인가의 쓸모입니다. 그리고 쓸모라는 것은 다른 어떤 것의 하위개념입니다. 다른 것을 만드는 데 유용한가 유용하지 않은가 하는 수준의 것이지요. 오늘날은 상품 생산에 유용한가 그리고 그것이 팔리는 상품인가 팔리지 않는 상품인가가 절대적 기준이 되고 있음은 물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간이란 대단히 애매한 표현입니다만 절충의 자리가 아니라 오히려 양쪽 모두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음을 만물의 근원인 도(道)에 노닐게 함으로써 만물을 부리되 만물에 얽매이지 않아야 화를 입지 않는다는 것이 장자의 주장입니다. 이 경우 우리에게 남는 것은 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도를 닦는다는 것이 우리와는 아무 상관없는 일로 치부되고 있습니다. 절간의 선방에 앉아 있는 스님들의 일이라고 치부하지요. 그러나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합니다. 현실적으로는 재, 부재의 고민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입니다.
장자의 논리에 따르면 도道는 재와 부재를 조감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자의 도는 일차적으로 당시의 주류 담론이던 부국강병 논리를 반성하고 뛰어넘는 곳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부국강병의 구체적 사업에 쓸모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차원을 초월해야 하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도는 상품 생산에 유용한가 아닌가 하는 차원을 뛰어넘는 곳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본주의적 가치 나아가 근대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문명론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정립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이데올로기의 본질을 통찰하는 것이어야 하고 우리들에게 요구하는 능력과 경쟁력이란 과연 무엇인가를 조감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합니다. 그러한 각성이 도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으로서는 여전히 재, 부재의 중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장자의 도란 무엇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으리라고 생각합니다. 나도 마찬가지입니다. 장자는 위의 예시문 마지막 구절에서 “나는 쓸모 있음과 쓸모없음의 중간에 처하겠다”고 하며 빙그레 웃었다고 되어 있습니다. 중간의 의미가 무엇인지, 또 그 웃음의 진의(眞意)가 무엇인지 짐작해볼 수 있는 이야기가 제4편 「인간세」(人間世)에 있습니다. 그 내용만 간추려 소개하겠습니다. 장자의 진의는 여러분들이 짐작해보기 바랍니다.
목수 장석匠石이 제나라로 가다가 사당 앞에 있는 큰 도토리나무를 보았다. 그 크기는 수천 마리의 소를 덮을 만하였고, 그 둘레는 백 아름이나 되었으며, 그 높이는 산을 위에서 내려다볼 만하였다. …… 구경꾼들이 장터를 이루었지만 장석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지나가버렸다.
그의 제자가 장석에게 달려가 말했다.
“제가 도끼를 들고 선생님을 따라다닌 이래로 이처럼 훌륭한 재목은 본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도 선생님께서는 거들떠보지도 않으시니 어찌된 일입니까?”
장석이 말했다.
“그런 말 말아라. 쓸데없는 나무다. 그것으로 배를 만들면 가라앉고, 관을 만들면 빨리 썩어버리고, 그릇을 만들면 쉬이 깨져버리고, 문짝을 만들면 나무진이 흘러내리고, 기둥을 만들면 곧 좀이 먹는다. 그것은 재목이 못 될 나무야. 쓸모가 없어서 그토록 오래 살고 있는 것이야.”
장석이 집에 돌아와 잠을 자는데 그 큰 나무가 꿈에 나타나 말했다.
“그대는 나를 어디에다 견주려는 것인가? 그대는 나를 좋은 재목에 견주려는 것인가? 아니면 돌배, 배, 귤, 유자 등 과일나무에 견주려는 것인가? 과일나무는 과일이 열리면 따게 되고, 딸 적에는 욕을 당하게 된다. 큰 가지는 꺾이고 작은 가지는 찢어진다. 이들은 자기의 재능으로 말미암아 고통을 당하는 것이지. 그래서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일찍 죽는 것이다. 스스로 화를 자초한 것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세상 만물이 이와 같지 않은 것이 없다.
나는 쓸모없기를 바란 지가 오래다.
몇 번이고 죽을 고비를 넘기고 이제야 뜻대로 되어 쓸모없음이 나의 큰 쓸모가 된것이다. 만약 내가 쓸모가 있었다면 어찌 이렇게 커질 수 있었겠는가?그대와 나는 다 같이 하찮은 물건에 지나지 않는다. 어찌하여 서로를 하찮은 것이라고 헐뜯을 수 있겠는가?
그대처럼 죽을 날이 멀지 않은 쓸모없는 사람이 어찌 쓸모없는 나무를 알 수가 있겠는가?”
'중국고전 > 莊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비 꿈 /장자를 아십니까 12 (0) | 2011.02.02 |
---|---|
빈 배 /장자를 아십니까 11 (0) | 2011.02.02 |
책은 옛사람의 찌꺼기입니다 /장자를 아십니까 09 (0) | 2011.02.02 |
아기가 자기를 닮았을까 두려워하다 /장자를 아십니까 08 (0) | 2011.02.02 |
부끄러워 기계를 사용하지 않을 뿐 /장자를 아십니까 07 (0) | 201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