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말에 문충공(文忠公) 정몽주(鄭夢周)는 진유(眞儒)이며,

임금을 도와서 큰일을 할 만한 인재로서 나아와 높이 등용되었다.

태조의 알아줌을 가장 두터이 받아, 여러 번 그 막하(幕下)에 부름을 받았다

위화도 회군 뒤에는 태조와 함께 승진하게 하여 상(相)이 되었다.

문충공은 김진양(金震陽) 등 제공(諸公)과 함께,

몸을 잊고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고려의 사직(社稷)을 붙들려 하였다.

그때 태조의 공업(功業)은 날로 왕성해져서

여러 신하들의 마음이 그에게로 쏠려,

형세가 남의 신하로 그치기는 어렵게 되었으므로,

문충공은 그를 꺾을 계책을 세웠다.

태종이 일찍이 태조에게 아뢰기를,

“정몽주가 어찌 우리 집안을 저버리겠습니까.” 하니,

태조가 말하기를,

“우리가 무고한 모함을 받게 되면

몽주는 죽음으로써 우리를 변명해 주겠지만,

만약 나라에 관계되는 일이라면 알 수 없다.” 하였다.

문충공의 마음과 형적이 더욱 드러나자

태종은 잔치를 베풀어 그를 초청하고,

노래를 지어 술을 권하며,

 

此亦何如 차역하여

彼亦何如 피역하여

城隍堂後垣 성황당후원

頹落亦何如 퇴락역하여

我輩若此爲 아배약차위

不死亦何如 불사역하여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성황당 뒷담이

다 무너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하여

아니 죽으면 또 어떠리

 

라고 읊으니,

문충공도 이에 노래를 지어 술잔을 보내면서,

 

此身死了死了 차신사료사료

一百番更死了 일백번경사료

白骨爲塵土 백골위진토

魂魄有也無 혼백유야무

向主一片丹心 향주일편단심

寧有改理也歟 녕유개리야여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塵土)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하고 응수하였다.

태종이 문충공의 뜻이 변하지 않을 것을 알고

드디어 제거해 버리기로 마음먹었다.

문충공이 하루는 태조의 집에 병문안을 가서

그 기색을 살피고 돌아오는 길에,

옛날의 술친구네 집 앞을 지나게 되었다.

주인은 외출하고 뜰에는 꽃이 활짝 피어 있었는데,

바로 들어가 술을 청하여 마시고

꽃 사이에서 춤을 추면서,

“오늘은 날씨가 몹시 사납구나.” 하고,

큰 대접으로 몇 대접의 술을 마시고 나왔다.

그 집 사람이 이상히 여겼더니,

얼마 안 되어 정 시중(侍中)이 해를 입었다는 말이 들렸다.

 

문충공이 태종의 집에서 돌아올 적에

그 앞을 가로질러 지나가는 활을 멘 무부(武夫)가 있었다.

문충공이 따라오는 녹사(錄事)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너는 뒤에 떨어져라.” 했더니,

대답하기를,

“소인은 대감을 따르겠습니다.

어찌 다른 데로 가겠습니까.” 하니,

재삼 꾸짖어 말렸으나 듣지 않았다.

문충공이 살해를 당할 적에 서로 끌어안고 함께 죽었는데,

그 당시 창졸간에 그의 성명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어,

마침내 후세에 전하지 못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