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중시조 이전의 족보는 허구일 가능성이 크다. 실재 중시조 이상의 혈통을 찾는 건

사막에서 바늘 찾기다.

[주]족보는 씨쪽의 뿌리이다. 족보가 처음 출현한 것은 1423년(세종 5)이고 보면 그 이전의 혈통은 집안에 따라 기록문화의 차이는 있겠지만 시조를 신라 경순왕에 줄을 댄다든가 하는 것은 기억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허구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대개 중시조를 고려조 중기 이후로 정하는데, 거기서부터는 어느 정도 사실성을 인정할 수 있겠다.

사전에서 족보의 ‘연원 및 발간’항을 발췌하면 아래와 같다.

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K&i=235800

[연원 및 발간〕

족보는 서양에서도 있었다고 하나 동양의 족보와 같은 것이라기보다 대체로 개인의 가계사(家系史)와 같은 것이다. 동양에서 족보는 중국 한나라 때부터 있었다고 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때 족보가 등장하고 있다. 족보의 연원을 살핌에 있어 족보의 편성·간행을 촉진시킨 우리 나라 고유의 사회적 정세를 도외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김두헌(金斗憲)은 “한국에 있어 족보의 발생은 벌족(閥族)의 세력이 서로 대치하고, 동성일족(同姓一族)의 관념도 매우 현저하게 된 이후의 일이며, 계급적 의식과 당파관념이 자못 치열해짐에 따라 문벌의 우열을 명백히 하려고 하였음에 기인한다.”고 말하였다.

족보 간행을 촉진시킨 요인으로는

① 동성불혼(同姓不婚)과 계급내혼제(階級內婚制)의 강화,

② 소목질서(昭穆秩序) 및 존비구별(尊卑區別)의 명확화,

---[펀자주]소목질서(昭穆秩序)란 종묘나 사당에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차례.

왼쪽 줄을 소(昭)라 하고, 오른쪽 줄을 목(穆)이라 하여 1세를 가운데에 모시고

2세, 4세, 6세는 소에 모시고, 3세, 5세, 7세는 목에 모신다. ---

③ 적서(嫡庶)의 구분,

④ 친소(親疏)의 구분,

⑤ 당파별(黨派別)의 명확화 등 다섯 가지를 들고 있다.

≪고려사≫나 고려시대의 묘지명 등의 사료에 의하면, 소규모의 필사(筆寫)된 계보는 이미 고려시대 이래로 귀족 사이에 작성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한 동족 또는 한 분파 전체를 포함하는 족보는 조선 중기에 이르러 비로소 출현하였다. 족보가 처음 출현한 것은 1423년(세종 5)으로 이때에 간행된 문화 유씨(文化柳氏)의 ≪영락보 永樂譜≫가 최초의 족보로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족보는 문화 유씨의 두번째 족보인 1562년 간행의 10책의 ≪가정보 嘉靖譜≫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에 1476년 발간의 ≪안동권씨세보≫가 현존하는 최고의 족보임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 조선 초기 15세기에 간행된 족보는 남양 홍씨(南陽洪氏, 1454), 전의 이씨(全義李氏, 1476), 여흥 민씨(驪興閔氏), 1478), 창녕 성씨(昌寧成氏, 1493) 등의 족보이다.

위에서 얘기한 바와 같이 족보는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처음으로 출현하였는데 모든 동족이 같은 시기에 족보를 간행한 것은 아니다. 어떤 종족은 16세기에, 어떤 종족은 17세기, 18세기, 19세기, 20세기에 비로소 족보를 간행하였던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