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사구(司寇) 정유일(鄭惟一)이 세상을 뜨자, 북해(北海)가 듣고 다음과 같이 만사를 지었다.

念昔游玄菟 념석유현토

傾蓋淸江上 경개청강상

寒月漾芳罇 한월양방준

雪花凝毳帳 설화응취장

斯年五子上河梁 사년오자상하양

握手臨風起三唱 악수림풍기삼창

別來何自遽游仙 별래하자거유선

萬里逍遙鶴背煙 만리소요학배연

秋夜冷然華表柱 추야랭연화표주

碧天無際望君還 벽천무제망군환

그리워라 지난날 현도 땅에 노닐 때

청강 위에 일산을 기울이고 즐긴 일

싸늘한 달빛 감미로운 술잔에 일렁이고

눈송인 털방장에 엉기었었지

그해 다섯 사람은 다리에 올라

바람머리에 손잡고 일어나 세 번이나 노래 불렀지

헤어진 뒤 갑자기 신선이 되어

학 타고 놀 속 만릿길을 소요하다니

가을밤은 쓸쓸하고 화표주에

푸른 하늘 가없는데 그대 오기만을 바라누나

말쑥하고 속기가 없어 읽으면 마음이 시원해진다. 중국인이 인재를 아끼기가 대개 이와 같다.

[황홍헌 / 허봉의 감식안]

33. 황 조사(黃詔使 황홍헌을 가리킴)의 시를 사람마다 시원찮게 여겼으나 나의 중형만은,

“이런 재주는 예로부터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했지만, 남들은 믿지 않았다.

《풍교운전(風敎雲箋)》에 첨사(詹事)의 글이 실린 것을 보면, 문법이 간결ㆍ엄숙하고 전아ㆍ미려하며 온후ㆍ순수하였으니 나의 중형은 인재를 아는 분이라고 할 만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