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bhjang3/140039862480
064 詩經-衛風-木瓜(모과)
投我以木瓜(투아이목과) : 나에게 모과를보내 주시니
報之以瓊琚(보지이경거) : 아름다운 패옥으로 보답 하오니,
匪報也(비보야) : 답례가 아니오라,
永以爲好也(영이위호야) : 영원히 좋은 짝이라 생각해서라오.
比이다. 木瓜는 모과나무이니, 열매는 小瓜와 같고 시어서 먹을 수 있다. 瓊은 옥이 아름다운 것이요, 琚는 佩玉의 이름이다.
○ 말하자면, “사람들이 나에게 微物을 줌에 나는 마땅히 重寶로 보답하고도 오히려 보답했다고 여겨지지 않는 것은 다만 길이 우호하여 잊지 않고자 해서이다.”라고 한 것이니, 의심컨대 또한 남녀가 서로 贈答한 말일 것이니 「靜女」와 같은 類이다.
投我以木桃(투아이목도) : 나에게 복숭아를보내 주시니,
報之以瓊瑤(보지이경요) : 아름다운 구슬로보답 하오니,
匪報也(비보야) : 답례가 아니오라,
永以爲好也(영이위호야) : 영원히 좋은 짝이라 생각해서라오.
比이다. 瑤는 美玉이다.
投我以木李(투아이목이) : 나에게 오얏을보내 주시니,
報之以瓊玖(보지이경구) : 아름다운 옥돌로 보답하나니,
匪報也(비보야) : 답례가 아니오라,
永以爲好也(영이위호야) : 영원히 좋은 짝이라 생각해서라오.
比이다. 玖는 美玉이다.
木瓜 三章이니, 章 四句이다.
衛風은 十篇에 三十四章이요, 二百三句이다.
張子가 말하였다. “衛國은 땅이 大河에 접하여 그 땅이 薄하기 때문에 그 사람들의 기상이 輕浮하며 그 땅이 平下하므로 그 사람들의 바탕이 柔弱하며 그 땅이 肥饒하여 밭갈고 김매는 노력을 하지 않으므로, 그 人心이 怠惰하니, 그 사람들의 性情이 이와 같다면 그 聲音이 또한 淫靡하였다. 그러므로, 그 음악을 들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懈慢하게하여 邪僻한 마음이 있으니 鄭詩는 이를 본딴 것이다.
衛風終.
[위풍 제10편 목과3장(木瓜三章)]
投我以木瓜애 報之以瓊琚ㅣ오 匪報也는 永以爲好也ㅣ니라
(투아이목기애 보지이경거ㅣ오 비보야는 영이위호얘니라 比也ㅣ라)
나에게 모과로써 던져줌에 갚기를 경거로써 했고, 갚았다고 않는 것은 길이 써 좋게 지내려 함이니라.
*瓜 : 오이 과, 뒤의 琚(패옥 거)와 운을 맞추기 위해 여기서는 ‘고’로 읽음
○比也ㅣ라 木瓜는 楙木也ㅣ니 實如小瓜요 酢可食이라 瓊은 玉之美者ㅣ오 琚는 佩玉名이라 ○言人이 有贈我以微物에 我當報之以重寶오도 而猶未足以爲報也는 但欲其長以爲好而不忘耳라 疑亦男女相贈答之辭이니 如靜女之類라
○비교한 시라. 목과는 무목(모과나무)이니 열매가 조그마한 오이 같고 시면서 가히 먹을 만하니라. 경은 옥의 아름다운 것이고, 거는 차는 옥이름이라. ○사람이 나에게 하찮은 물건으로써 줌에 내가 마땅히 귀한 보물로써 주고도 오히려 족히 써 갚았다고 아니함은 다만 그 오래도록 좋게 지내고 잊지 않으려 함이라. 아마도 또한 남녀가 서로 주고 답례하는 말이니 정녀장과 같은 종류라.
楙 : 모과 무, 무성할 무 酢 : 초 초, 실 초
投我以木桃애 報之以瓊瑤ㅣ오 匪報也는 永以爲好也ㅣ니라
(투아이목도애 보지이경요ㅣ오 비보야는 영이위호얘니라 比也ㅣ라)
나에게 복숭아로써 던져줌에 갚기를 경요로써 하고, 갚았다고 않는 것은 길이 써 좋게 지내려 함이니라.
○比也ㅣ라 瑤는 美玉也ㅣ라
○비라. 요는 아름다운 옥이라.
投我以木李애 報之以瓊玖ㅣ오 匪報也는 永以爲好也ㅣ니라
(투아이목리애 보지이경기ㅣ오 비보야는 영이위호얘니라 比也ㅣ라)
나에게 오얏으로써 던져줌에 갚기를 경구로써 하고, 갚았다고 않는 것은 길이 써 좋게 지내려 함이니라.
玖 : 구슬 구, 여기서는 李(오얏 리)와 운을 맞추기 위해 ‘기’로 읽는다.
○比也ㅣ라 玖는 亦玉名也ㅣ라
○비라. 구는 또한 옥 이름이라.
木瓜三章章四句
衛國十篇二十四章二百三句
위나라 10편 24장 203구이라.
張子曰衛國이 地濱大河하야 其地土薄이라 故로 其人氣輕浮하고 其地平下라 故로 其人質柔弱하고 其地肥饒하야 不費耕耨라 故로 其人心怠惰라 其人情性이 如此則其聲音이 亦淫靡라 故로 聞其樂이 使人懈慢而有邪僻之心也ㅣ라 鄭詩도 放此하니라
장자 가라사대 위나라가 땅 가에 큰 하수가 있어서 그 땅이 토박하니라. 그러므로 그 사람의 기운이 가볍고 떠있고, 그 땅이 평평하고 낮음이라. 그러므로 그 사람의 바탕이 유약하고, 그 땅이 비옥하고 기름져서 소비하고 밭 갈고 김매지 않느니라. 그러므로 그 사람들의 마음이 게으르니라. 그 사람들의 성정이 이와 같으면 그 성음이 또한 음탕하고 어지러우니라. 그러므로 그 음악을 들으면 사람으로 하여금 게을러지게 하여 사벽한 마음이 있느니라. 정나라 시도 이와 같으니라.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6 군자우역 /왕풍 (0) | 2009.12.18 |
---|---|
065 서리 /왕풍 (0) | 2009.12.17 |
063 유호 /위풍衛風 (0) | 2009.12.17 |
062 백혜 /위풍衛風 (0) | 2009.12.17 |
061 하광 /위풍衛風 (0) | 2009.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