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bhjang3/140039783589

060 詩經-衛風-芄蘭(환란)-덩굴 난 -


芄蘭之支(환란지지) : 덩굴 난의 가는 줄기여,
童子佩觿(동자패휴) : 어린 애가 뼈송곳을 차고 있네.
雖則佩觿(수칙패휴) : 비록 뼈송솟 차고 있어도,
能不我知(능불아지) : 나를 알아 보지 못하네.
容兮遂兮(용혜수혜) : 폼 잡고 나대며
垂帶悸兮(수대계혜) : 드리운 띠 늘어뜨려 흔들데네.

興이다. 芄蘭은 풀이니, 일명 蘿摩인데, 덩쿨로 자라고 자르면 흰 즙이 있어서 먹을 수 있다. 支는 枝와 같다. 觿는 송곳이니, 코끼리뼈로 만든다. 맺힌 것을 푸는 것이니 成人이 차는 것ㅇ이요, 童子가 수식은 아니다. 知는 智와 같으니 그 재주가 능히 족히 나보다 낫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容·遂는 徐緩하며 放肆한 모양이다. 悸는 띠 아래 드리운 모양이다.

芃蘭之葉(봉란지엽) : 덩굴 난의 가는 줄기여,
童子佩韘(동자패섭) : 어린애 손과 허리 깍지를차고 있네.
雖則佩韘(수칙패섭) : 비록 그렇게 상아깍지 차고 있어도,
能不我甲(능불아갑) : 나와는 어울리지 못하네.
容兮遂兮(용혜수혜) : 폼 잡고 나대며
垂帶悸兮(수대계혜) : 드리운 띠 늘어뜨려 흔들대네.

興이다. 韘은 깍지이니, 코끼리뿔로 만든다.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에 끼우니, 활시위를 당겨 활의 몸통을 여는 것이다. 鄭氏가 말하였다. “깍지이니, 바로 ꡔ大射禮ꡕ에 이른바 ‘朱極三’이 이것이다. 붉은 가죽으로 만드는데, 이것을 사용하여 오른손의 食指와 將指·無名指에 씌우는 것이다.”라 하였다. 甲은 뛰어남이니 그 재주가 능히 나보다 뛰어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http://www.tae11.org/>고전강의>시경

[위풍 제6편 환란2장(芄蘭二章)]

芄蘭之支여 童子佩觿ㅣ로다 雖則佩觿ㅣ나 能不我知로다 容兮遂兮하니 垂帶悸兮로다

(환란지지여 동자패휴ㅣ로다 수즉패휴ㅣ나 능불아지로다 용혜수혜하니 수대계혜로다 興也ㅣ라)
환란의 가지여, 동자가 뿔송곳을 찼도다. 비록 뿔송곳을 찼으나 능히 나보다 지혜롭지 못하도다. 늘어지고 처졌으니 띠를 드리움이 축 늘어졌도다.

芄 : 왕골 환 觿 : 뿔송곳 휴 悸 : 가슴 두근거릴 계, 여기서는 ‘띠 늘어진 모양 계’

○興也ㅣ라 芄蘭은 草니 一名蘿摩니 蔓生이며 斷之有白汁可啖이라 支는 枝로 同이라 觿는 錐也ㅣ니 以象骨爲之니 所以解結成人之佩요 非童子之飾也ㅣ라 知는 猶智也ㅣ니 言其才能不足以知於我也라 容遂는 舒緩放肆之貌라 悸는 帶下垂之貌라

○흥이라. 환란은 풀이니 일명 나마라 하니 벋어서 자라며 끊으면 흰 즙이 있으니 가히 먹음이라. 지는 ‘가지 지’와 같음이라. 휴는 송곳이니 코끼리 뼈로 만들었으니 성인이 맺힌 것을 풀기 위해서 차는 것이고 동자의 꾸밈이 아니니라. 지는 ‘지혜 지’와 같으니 그 재능이 족히 써 나보다 낫지 못하다라고 말함이라. 용과 서는 몸을 펴고 느릿느릿하며 방자한 모양이라. 계는 띠가 아래로 처진 모양이라.

蘿 : 덩굴 나 啖 : 먹을 담

芄蘭之葉이여 童子佩韘이로다 雖則佩韘이나 能不我甲이로다 容兮遂兮하니 垂帶悸兮로다

(환란지엽이여 동자패섭이로다 수즉패섭이나 능불아갑이로다 용혜수혜하니 수대계혜로다 興也ㅣ라)
환란의 잎사귀이여, 동자가 깍지를 찼도다. 비록 깍지를 찼으나 나보다 뛰어나지 못하리로다. 늘어지고 처졌으니 띠를 드리움이 늘어졌도다.

韘 : 깍지 섭

○興也ㅣ라 韘은 決也ㅣ니 以象骨爲之라 著右手大指니 所以鉤弦闓體라 鄭氏曰沓也ㅣ니 卽大射所謂朱極三이 是也ㅣ라 以朱韋爲之니 用以彄沓右手食指將指無名指也ㅣ라 甲은 長也ㅣ라 言其才能이 不足以長於我也ㅣ라 (芄蘭二章이라)

○흥이라. 섭은 따는 것이니 상아로 만들었음이라. 오른손 큰 손가락에 붙이니 갈고리와 활처럼 생겨서 몸을 따는 것이라. 정씨 가로대 답이라고도 하니, 곧 (『예기』) 대사편에 이른바 주극삼이라는 것이 이것이라. 붉은 가죽으로써 만들었으니 가락지를 만들어서 써 오른손 식지, 장지, 무명지에 끼우는 것이라. 갑은 어른이라. 그 재능이 족히 써 나보다 낫지 못함을 말함이라. (환란2장이라)

闓 : 열 개 鉤 : 갈고리 구 彄 : 가락지 구 沓 : 답답할 답

芄蘭二章章六句
此詩는 不知所謂니 不敢强解라
이 시는 이른바를 아지 못하니 감히 어거지로 해석하지 못하니라.

'중국고전 > 詩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2 백혜 /위풍衛風  (0) 2009.12.17
061 하광 /위풍衛風  (0) 2009.12.17
059 죽간 /위풍衛風  (0) 2009.12.16
058 맹 /위풍衛風  (0) 2009.12.16
057 석인 /위풍衛風  (0) 2009.1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