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터넷에는 완역된 것이 없어 초역을 시도해 본다.
참고로
<남가태수전>과 <침중기>에서 발생한 고사성어의 유의어를 찾아본다.
`일장춘몽(一場春夢)`의 유의어 :
一場春夢(일장춘몽), 白日夢(백일몽),
南柯一夢(남가일몽), 南柯之夢(남가지몽),
邯鄲之枕(한단지침), 邯鄲之夢(한단지몽),
呂翁枕(여옹침), 一炊之夢(일취지몽), 槐安夢(괴안몽),
老生之夢(노생지몽)
황량몽(黃粱夢):
한단 지방에서 꾼 꿈으로 인생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말하는 성어이다.
黃粱一炊(황량일취),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枕中記》
탕현조(湯顯祖,1550 -1617)
開元七年,道士有呂翁者,得神仙術,
行邯鄲道中,息邸舍,
攝帽弛帶,隱嚢而坐。
당나라 현종 때, 도사 여옹(呂翁)은 신선술을 얻어
한단으로 가는 도중에 지방의 주막에서 쉬었다.
모자를 벗고 허리띠를 느슨하게 풀고 행랑에 기대어 앉았다.
俄見旅中少年,乃盧生也。
衣短褐,乘靑駒,將適於田,
亦止於邸中,與翁共席而坐,
言笑殊暢。
잠시 후 여행 중인 소년을 만났는데 곧 노생이었다.
짧은 갈옷을 입고 푸른 망아지를 타고 들에 가려다가
그 집에 들러 여옹과 함게 앉았다.
노생은 담소함이 매우 유창했다.
久之,盧生顧其衣裝敝褻,乃長歎息曰:
「大丈夫生世不諧、困如是也!」
한참 후 노생은 자신의 허름한 옷차림을 보고 한숨을 쉬면서 말했다.
「사나이로 세상에 태어나서 가난에 찌들리는 이 꼴이 무엇입니까?」
翁曰:「觀子形體,無苦無恙,
談諧方適,而歎其困者,何也。」
여옹이 말했다.
「자네 모습을 보니 괴로움이나 근심이 없어 보이는데
즐겁게 얘기하다가, 갑자기 가난을 탓하다니 어찌된 일인가?」
生曰:「吾此苟生耳,何適之謂。」
노생:「저는 그저 목숨만 붙어있을 따름인데
어찌 즐겁다고 하십니까?」
翁曰:「此不謂適,而何謂適。」
여옹:「이것을 즐겁지 않다고 한다면
무엇을 즐겁다 하겠는가?」
答曰:「士之生世,當建功樹名,出將入相,
列鼎而食,選聲而聽。
使族益昌而家益肥,然後可以言適乎。
노생:「선비가 세상에 태어나서
마땅히 공명을 세워 장수로 출전하고 재상에 올라
풍부한 음식을 누리고 아름다운 음악을 들으며
종족이 더욱 번창하고 집안이 더욱 부유해진 연후에
즐거움을 말할 수 있겠지요.
吾嘗志于學,富於游藝,自惟當年,靑紫可拾。
今已適壯,猶勤畎畝,非困而何。」
言訖而目昏思寐。
저는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고 학식이 풍부해져
자기 당년에 고관대작을 얻으려 했습니다.
지금 이미 장년인데 아직도 들에 가서 경작해야 하니
곤궁한 게 아니면 무엇입니까?」
말을 마치자 눈이 어두워지며 잠들려 했다.
時主人方蒸黍,
翁乃探嚢中枕以授之曰:
「子枕吾枕,當令子榮適如志。」
그때 주막 주인은 마악 조밥을 짓고 있었는데
여옹이 자루 속에서 베개를 찾아 노생에게 주면서 말했다.
「자네 이걸 베개를 베게.
자네 뜻대로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게 할 테니.」
其枕靑瓷,而竅其兩端,
生俛首就之,見其竅漸大,明朗。
乃舉身而入,遂至其家。
그 베개는 청자였는데 양 끝에 구멍이 있었다.
노생은 머리를 뉘여 취침했는데
그 구멍이 점점 커지더니 환해졌다.
이에 몸을 들어 구멍 속으로 들어가
드디어 한 집에 이르렀다.
'고전문학 > 고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중기 03 (0) | 2012.03.25 |
---|---|
침중기 02 (0) | 2012.03.25 |
이공좌(李公佐), 남가태수전 南柯太守傳 04 (0) | 2012.03.22 |
이공좌(李公佐), 남가태수전 南柯太守傳 03 (0) | 2012.03.22 |
이공좌(李公佐), 남가태수전 南柯太守傳 02 (0) | 201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