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천관집서(綠天館集序)

연암집 제 7 권 별집

종북소선(鍾北小選)

이서구 [李書九, 1754 ~ 1825]

자기 시대의 문장을 구사하라

옛글을 모방하여 글을 짓기를 마치 거울이 형체를 비추듯이 하면 ‘비슷하다’고 하겠는가? 왼쪽과 오른쪽이 서로 반대로 되는데 어찌 비슷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물이 형체를 비추듯이 하면 ‘비슷하다’고 하겠는가? 뿌리와 가지가 거꾸로 보이는데 어찌 비슷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듯이 한다면 ‘비슷하다’고 하겠는가? 한낮이 되면 난쟁이〔侏儒僬僥〕가 되고 석양이 들면 키다리〔龍伯防風〕가 되는데 어찌 비슷할 수 있겠는가. 그림이 형체를 묘사하듯이 한다면 ‘비슷하다’고 하겠는가? 걸어가는 사람이 움직이지 않고 말하는 사람이 소리가 없는데 어찌 비슷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옛글과 끝내 비슷할 수 없단 말인가?


[주D-001]난쟁이〔侏儒僬僥〕 : 주유(侏儒)는 난쟁이를 말하고, 초요(僬僥)는 《열자(列子)》 탕문(湯問)에 나오는 단인국(短人國) 사람, 또는 《국어(國語)》 노 하(魯下)에 나오는 키가 석 자밖에 안 된다는 종족이다.
[주D-002]키다리〔龍伯防風〕 :
용백(龍伯)은 《열자》 탕문에 나오는 대인국(大人國) 사람, 방풍(防風)은 《국어》 노 하에 나오는 키가 큰 종족이다.


그런데 어찌 구태여 비슷한 것을 구하려 드는가? 비슷한 것을 구하려 드는 것은 그 자체가 참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하는 셈이다. 천하에서 이른바 서로 같은 것을 말할 때 ‘꼭 닮았다〔酷肖〕’라 일컫고, 분별하기 어려운 것을 말할 때 ‘진짜에 아주 가깝다〔逼眞〕’라고 일컫는다. 무릇 ‘진(眞)’이라 말하거나 ‘초(肖)’라고 말할 때에는 그 속에 ‘가(假)’와 ‘이(異)’의 뜻이 내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천하에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배울 수 있는 것이 있고, 전혀 다르면서도 서로 비슷한 것이 있다. 언어가 달라도 통역을 통해 의사를 소통할 수 있고, 한자(漢字)의 자체(字體)가 달라도 모두 문장을 지을 수 있다. 왜냐하면 외형은 서로 다르지만 내심은 서로 같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보건대, ‘마음이 비슷한 것〔心似〕’은 내면의 의도라 할 것이요 ‘외형이 비슷한 것〔形似〕’은 피상적인 겉모습이라 하겠다.
이씨 집안의 자제인 낙서(洛瑞 이서구(李書九))는 나이가 16세로 나를 따라 글을 배운 지가 이미 여러 해가 되었는데, 심령(心靈)이 일찍 트이고 혜식(慧識)이 구슬과 같았다. 일찍이 《녹천관집(綠天館集)》을 가지고 와서 나에게 질문하기를,

“아, 제가 글을 지은 지가 겨우 몇 해밖에 되지 않았으나 남들의 노여움을 산 적이 많았습니다. 한 마디라도 조금 새롭다던가 한 글자라도 기이한 것이 나오면 그때마다 사람들은 ‘옛글에도 이런 것이 있었느냐?’고 묻습니다. ‘그렇지 않다’고 대답하면 발끈 화를 내며 ‘어찌 감히 그런 글을 짓느냐!’고 나무랍니다. 아, 옛글에 이런 것이 있었다면 제가 어찌 다시 쓸 필요가 있겠습니까. 선생님께서 판정해 주십시오.”

하였다. 그의 말을 듣고 나는 손을 모아 이마에 얹고 세 번 절한 다음 꿇어앉아 말하였다.

“네 말이 매우 올바르구나. 가히 끊어진 학문을 일으킬 만하다. 창힐(蒼頡)이 글자를 만들 때 어떤 옛것에서 모방하였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고, 안연(顔淵)이 배우기를 좋아했지만 유독 저서가 없었다. 만약 옛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창힐이 글자를 만들 때를 생각하고, 안연이 표현하지 못한 취지를 저술한다면 글이 비로소 올바르게 될 것이다. 너는 아직 나이가 어리니, 남들에게 노여움을 받으면 공경한 태도로 ‘널리 배우지 못하여 옛글을 상고해 보지 못하였습니다.’라고 사과하거라. 그래도 힐문이 그치지 않고 노여움이 풀리지 않거든, 조심스런 태도로 ‘은고(殷誥)와 주아(周雅)는 하(夏) · 은(殷) · 주(周) 삼대(三代) 당시에 유행하던 문장이요, 승상(丞相) 이사(李斯)와 우군(右軍)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는 진(秦) 나라와 진(晉) 나라에서 유행하던 속필(俗筆)이었습니다.’라고 대답하거라.”



[주D-003]
나이가 16세로 : 이서구는 1754년에 태어났으므로, 이 글을 지은 때는 1769년임을 알 수 있다.
[주D-004]은고(殷誥)와 주아(周雅) :
은고는 중훼지고(仲虺之誥)와 탕고(湯誥), 즉 《서경(書經)》을 가리키고, 주아는 주공(周公)이 제정했다는 소아(小雅)와 대아(大雅), 즉 《시경(詩經)》을 가리킨다.




'한문학 > 연암 박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의 사실성을 확보하라  (0) 2008.09.02
글이란 뜻을 표현하면 된다  (0) 2008.09.02
법고와 창신  (0) 2008.09.02
글을 잘 짓는 자는 아마 병법을 잘 알 것이다  (0) 2008.09.02
아, 연암 선생님!  (1) 2008.09.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