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 > 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梅  (0) 2017.04.01
매화 3  (0) 2017.03.29
매화 1  (0) 2017.03.29
겹홍매7  (0) 2016.05.25
겹홍매6  (0) 2016.05.25


'화훼 > 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화 3  (0) 2017.03.29
매화 2  (0) 2017.03.29
겹홍매7  (0) 2016.05.25
겹홍매6  (0) 2016.05.25
겹홍매5  (0) 2016.05.25

<한국의 석학 梁柱東 박사>

<향가 연구의 回憶>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발행.

양주동,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8.3.15. 재판.

 *<연구의 回憶> 은  위책 pp.889-898에 발문으로 수록함.

 

[참고]<향가연구의 회억> 은 발표 때마다 표현과 구성이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1.양주동,국학연구론고(을유문화사,1962)를 참고하면

'약간의 자랑과 감회'란 부제가 붙은

<향가연구의 회억>(위책,pp.343-353.) 첫 발표는 1958년이다.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2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2. <연구의 回憶>  이라는 글은 《文酒半生記》에도

<硏北論-'鄕歌'연구에의 發心>(신태양사,1960, pp. 286-297)이란 제목으로

탑재했는데 서두부분엔 다소 차이가 있다.

 

3.<연구의 回憶> 은  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pp.889-898에 발문으로 수록함. 완성본.

 

어려 시골서 漢學만 공부하다가 31운동 직후신학문을 뜻하고 서울로 올라와 중학 1년간에 數學에 몰두했고, 다음 日東에 건너가 대학에선 어찌 어찌한 기연으로 서구문학에 심취, 豫科에선 불문학, 본과는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재학 중에 보오들레에르키이츠에 흥미가 있었고, 한편 에머슨지이드 등을 좋아했다. 대학 졸업 후 약관에 평양 S전문에 교수로 갔다. 그 뒤 10년간 쥐꼬리만한 영미문학의 지식으로 칼라일세익스피어엘리어트 등을 하는 한편, 문단에선 시와 평론과 수필과 번역을 그적거려 약간의 文名을 날렸다. 가르치고 글쓰는 여가엔 거리에 나가 길가에서 노인들지겟군들과 함께 장기두기로 일과를 삼았었다. 참으로 태평閒日月消遣이었다.

국학에 대한 관심이야 어렸을 적부터 없지는 않았었지만, 한글 공부 등을취미정도로 했을 뿐, 그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지 못했었다. 더구나 어려서부터 야망은 오로지不朽文 章에 있었으매, 시인비평가사상인이 될지언정학자가 되리란 생각은 별로 없었다.

나로 하여금 국문학 고전연구에 기연을 지어준 것은 일제중엽 문필에의 저들의 극단의 强壓에 의한 부득이한 학문적 전향이었으나, 직접적 동기는 日人 조선어학자 소창(진평)씨의 향가 및 이두의 연구(1929)란 저서를 대함에서였다. 우연히 학교 도서관에 온경성제국대학 紀要 1 이란 부제가 붙은 그 책을 빌어 처음엔 호기심으로, 차차 경이와 감탄의 눈으로 하룻밤 사이에 그것을 통독하고 나서 나는 참으로 글자 그대로 경탄했고, 한편 비분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었다. 첫째, 우리 문학의 가장 오랜 유산, 더구나 우리문화 내지 사상의 현존 最古源流가되는 이 귀중한향가의 해독을 近千年來 아무도 우리의 손으로 시험치 못하고 외인의 손을 빌었다는 그 민족적 부끄러움, 둘째, 나는 이 사실을 통하여 한 민족이다만 총칼에 의해서만 망함이 아님을 문득 느끼는 동시에 우리의 문화가 언어와 학문에 있어서까지 완전히 저들에게 빼앗겨 있다는 사실을 통절히 깨달아, 내가 혁명가가 못되어 총칼을 들고 저들에게 대들지는 못하나마 어려서부터 학문과 문자에는 약간의天分이 있어 맘속 깊이도 있는 터이니 그것을 무기로 하여 그 빼앗긴 문화유산을 학문적으로나마 결사적으로 戰取奪還해야 하겠다는, 내딴에 사뭇 비장한 발원과 결의를 했다.

소창씨의 저서를 읽은 다음날 나는 우선 장기판을 패어서 불때고, 미문학서는 잠깐 궤 속에 집어넣어 두고, 상경하여 한글 古文獻 藏書家 여러분 故 一簑(方鍾鉉)六堂, 一石(이희승)가람(이병기) 諸氏歷訪하여 그 귀중한 문헌들을 한두 달 동안의 기한으로 빌었다. 그 국보급의 장서들을 아낌없이 빌려주던 諸家厚意를 나는 잊을 수 없다. 한 가지 삽화-내가 그 책들을 빌어 큰 보따리짐을 만들어 등에 지고 아침에 낑낑 걸어 역으로 나가는 길에 鄭爲堂(인보)을 우연히 만났는데, 그는 내가 짐꾼이 되었음에 깜짝 놀라,

, 无涯! 그 등에 진 것이 무엇이오?

책이오.

책이라니? 무슨 책이기에 짐꾼에게 지우지 않고 몸소 지고 가시오?

, 가만히 두고 기다려보십시오. 몇 달 뒤에 우리 문화사상 깜짝 놀랄 일이 생겨나리다!

내려가서 우선 한달 동안은 문헌 蒐集에 골몰하고, 다음은 글자대로 불철주야로 심혈을 傾注, 머리를 싸매고 여러 문헌을 섭렵연구한 결과 약 반년만에 우선 소창씨의 역독의 태반이 誤謬임과 그것을 論破할 학적 준비가 완성되었다. 그러나 악전고투 무리한 심한 공부는 드디어 건강을 상하여 대번에 극심한 肺炎에 걸려 발열이 며칠 동안 40도 넘어 아주 인사불성, 사람들이 모두 죽는 줄 알았었다. 아내가 흐느끼고 찾아온 학생들이 모두 우는데, 내가 혼미한 중 문득 후다닥 일어나 부르짖었다-

하늘이 이 나라 문학을 망치지 않으려는 한, 는 죽지 않는다!

이만한 血願이요 자부심이었다. 천행으로 병은 나았고, 나는 곧 나의所見을 써서청구학 총19호에 그것을 발표했다(향가의 해독 특히원왕생가하여19371.국학연구논고譯收).청구학총이란 日人학자, 주로 사학자들의 전문지였는데, 그들이 내 글을 권두에 실었다. 소창씨의 향가해독의 황당함을 일일이 학적으로 논증변박한 것인데, 글도 少壯氣銳를 다한 명문이었다.

一文이 금방 한일 학계를 驚倒시켰고, 더구나 낭패한 것은 저쪽 학계였다. 소창씨의 그 가 그의 학위 논문이요,경성제대1논문집이요, 게다가 일본 학술원상과 또 소위天皇상까지 받은大著인데, 그것이 한낱 小壯鮮人私學 교수에게 여지없이반휴지가 되니, 저들의 낭패는 상상하고도 남음이 있었다. 당시 城大 총장 日紙이제 조선도 공부를 시작했다는 논제로 저희 학자들을 경고했고, 학자 稻葉某가 나를 평양까지 委訪하고, 동경제대史學잡지에는 日人 조선어학자 金澤씨가 나의 소론에 全幅적으로 찬성, 소창씨의 답변을 요구하는 등의 소동이었다.

소창씨가 부득이史學잡지(44)에 답변문을 썼는데, 자기의 해석이 잘못되었음을 솔직히 시인했으나, 아직도 조선인 연소학도에게 전적으로 굴 복투항하기는 자존심이 不許했던지, 다음과 같은 군소리들을 그 문중에 붙였다 -駑馬가 늙었지마는, 뜻은 아직도 쇠하지 않았다. 10년 뒤에 다시 양씨와 대하는 날이 있을 것이다.」「무릇 남의 역독 중의 많은 잘된 것은 시렁 위에 올려놓아 두고 그릇된 부분만 골라서 지적비탄함으로써 마치 대부분이 틀린 것처럼 거론함이 과연 학자의 옳은 태도일까?

분격한 그의 답변 중 우선 前說을보고 내가 그 日人式한 도전에 도리어 용기를 얻어 불가불 이을 위하여 계속 10, 아니 필생의 힘을 기울여 끝내 그와 대결하리라는 결심을 다시 굳게 했고, 後說에 대하여는 간단히 金聖嘆西廂記續篇 評文 중 다음의 一節을 그에게 사신으로 적어 보냈다. 그가 그 글의 뜻을 알았는지 의문이다 -

<옛날에 어떤 사람이 한 글을 지었는데, 마침 들으니 이즘에 某甲이 또한 그 글을 짓는다 하는지라, 자기의 초고를 감히 발표하지 못하고 某甲을 찾아가 그 글을 읽어보고 자기도 모르게 혀를 빼어 칭찬하더니, 돌아와 마침내 제 글의 초고를 불살라 후세에 전하지 않았다 한다. 아아, 이 어찌 엄청난 大人이 아니랴. 내가 늘 斲山(착산)에게 말하되,

아깝다, 그 글이 치 않았도다. 그 글이 반드시 某甲의 글과 마찬가지로 妙絶했으리로다.

斲山이 묻되,어찌 그러할 줄을 아느뇨?

가로되,그야말로甘苦疾徐중의 사람이니, 그의 다투는 바가 다만半字 사이에 있는 것이다(渠所爭 只在一字半字之間 世)>.(번역)


그 뒤 평양 S하고 서울로 올라와 빈궁과 문헌의 결핍과 싸우면서 다시 拮据 數年, 드디어조선古歌연구를 일제말기(1942)에 완성간행했다. 중간의 노력과 고심은 이루 말할 나위도 없다. 사뇌가 全首四壁, 심지어 뒷간에도 붙여두고 자나깨나, 앉으나 누우나, 그 풀이에 온 정신과 힘을 기울였다. 어떤 것은 밥먹다가 문득 깨쳐 일어나 한바탕 춤을 추어 집사람에게 미친양 오해된 적도 있고, 어떤 것은 用便 중 홀연히 터득하여 뒤도 못다 본채 크게 소리치며 얼른 적으려고 서실로 뛰어든 적도 있고, 또 어떤 것은 전차나 도보 중에, 심지어 어떤 것은 자다가 꿈 속에서 깨쳐 소스라쳐 놀라 깨어 황급히 紙筆을 찾아 잊기 전에 그 대강을 얼른 메모해두고 잔 적이 있으니, 가위 옛사람의馬上枕上厠上食卓上을 더한四上이라 할 만했다.

눈만 감으면 보이는 것은 모조리 사뇌가 全文 - 片言集字들의 삼삼한 나열이요, 논증의 재료가 되는 호한한 내외관계 문헌들의 인용될만한 語句들이었다.

연구 도중의 잊혀지지 않는 몇 가지 일이 회상된다.

첫째는 책 빌러 다니던 고심,

둘째는 가난과 유혹과 싸우던 기억.

이러한기쁜 괴로움들 외에 다음과 같은 작은 일도 회상된다.

카아드 한 장 없이 되는 대로 공책에다 古語彙들과 출처들을 그적거려 두었었는데, 막상 원고를 定草할 때에 원전과 대비해보니, 그것이 없다. 예컨대古語이란 말은두시언해17 9월인석보8에만 보이는데,두언 17:9라 공책에 연필로 적었던 것이 희미하게 지워져서 판독할 길이 없다.

그 한 말을 다시 찾아내려면, 호한한두언4권 전부를 모조리 다시 내려읽을 수밖에 없다. 어서 출판은 해야 하겠고(당시 우리의 이 전적으로 금지되려는 기미가 있어 내 책 출판은 그야말로 焦眉을 요했다),그래 부득이 가족 전부 - 아내와 두 딸을 억지로동원하여 나를 합한 네 사람이 6책씩 나누어 가지고 일일이 첫장부터 훑어 내려갔다.

그러나 6책씩을 다 마쳤는데도 은 나타나지 않는다. 실수는 필경 차녀에게 있는 듯했다. 아내와 장녀는 내에 그래도 다소 동정적인 열심한근무이나, 어린 딸은 아무런 흥미와 세심의 주의가 있을 리 없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그녀의 담당분 권1318을 내가 재조사한 결과 제17권에서 드디어,가 아니라, 찾아지고야 말았다.

그 중간의 고심, 그 끝내의 기쁨! 책이 된 뒤에 그것을 나의 무보수助手들이었던 나의 가족들 - 특히 강제로 징용되어 흥미없는, 성가신, 학자 아버지의뜻 모를 일에 고역하다가 욕만 먹고 울던 어린 딸에게바치지 않은 나의 학자적체면이 지금에도 이다.

원고는 되었으나, 일제말기라, 출판해 줄 책사가 또 없었다. 여 장의 원고를 보따리에 싸가지고 이 서점, 저 서점으로 돌아다니며 간행을 애걸했으나, 모두 나의 꾀죄한 주제와 보따리를 보고 나를돌았다고 보는 표정으로 물리쳤다. 보따리를 들로 어느 서점 아닌 주점에 들어가 大醉통곡하는 중에 학자 씨를 만나 또 한바탕 歔欷한 것을 기억한다. 자필로 몇 10부를 등사하여 동호간에 나누어 후세에 남길까 하는 처량한 결론이었으나, 다행히 博文書館 故 盧군의 厚意로 간행케 되었다.

그러나 또 내 교정이 어떻게 까다롭고 改竄이 어떻게 심했던지, 조판을 뜯어고치기가 무릇 몇 10수백, 인쇄소에선 아주 골머리를 앓고 몇 번이나 일이 중단되었다. 간신히 일을 강행하여 드디어 千餘面의 큰 책을 完刊했음은 지금에 생각해도 다행한 일이다. 가 되자 나는 또 그에 고심했다. 저간의 온갖 腐心胸中에 깊이 축적된 비분感慨한 생각을 어떻게 표현할까?

때는 일제의 포학 最期, 맘대로 쓸 자유는 애초에 없었고, 이불을 뒤집어쓰고 며칠을 苦吟한 끝에 겨우 一文했다. 나로서는 실로 感懷깊은, 고심의名文이었다.

끝에庚辰小春이란 이 적혀 있다. 물론 그 완성된 때(194012)를 기념키 위함이나, 하필庚辰임은 그 당시 敵治연호를 굳이 피하려한 고심이요,小春은 음력10의 뜻 외에 내딴에는 당시 이로써 우리 민족문화의작은 봄이 온 것, 곧 저 셸리의 시西風賦의 끝줄


오오, 바람이여, 겨울이 오면,

봄인들 어이 까마득하리?

의 뜻을 겸한 것이었다.


지금도 나는 이 의 초간본을 대할 때마다 悲喜交集하는 동시에, 가끔 표지를 쓰다듬으며 와 범례와 引書目을 읽어보며 세밀한 證釋을 다시 검토해 보다가 종종 회심의 미소를 짓곤 한다. 책이 처음 나온 날 첫 책을 論敵 소창씨에게 부처증정했고, 23책을 爲堂六堂에게 보냈고, 다음 한 책씩은 아내와 두 딸에게 주었다. 六堂은 내 책을 몹시 높이 평가하여 뒤에해방 전과 뒤에 간행된 저서로 후세에 전할 것은 오직 梁某古歌연구가 있을 뿐이라고 某 史학자에게 述懷하더라 傳聞했고, 爲堂은 그의 생애의 중에도 가장 苦心得意의 역작사뇌가證釋 題詞長詩 5수를 내게 써주었다. 지금도 나는 각 대학에서 古歌의 강의를 시작할 때마다 그題詞를 먼저 읊고 풀이한다

 詞腦歌 證釋題詞 五首 <爲堂 鄭寅普>

*운영자 注:총 五首로 구성된 아래 위당 정인보 선생의

詞腦歌 證釋題詞五首를 옮기

양주동 선생의 번역과 해설을 첨가한.

뒤에 추가한 내용임

詞腦歌 證釋 題詞 其五  (0) 11:33:52

詞腦歌 證釋 題詞 其四  (0) 11:30:11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三  (0) 11:26:16

詞腦歌 證釋 題詞 其二  (0) 11:17:22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一  (0) 11:11:45

梁柱東,詞腦歌 證釋 題詞 注譯  (0)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6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五首

- 爲堂 鄭寅普 題詞 五首  & 양주동 국역 및 해설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一

其一

題詞 제1

閼川川水淸且綠

알천의 냇물은 맑고 또 푸른데

東原送唱花滿谷

새내벌 건네는 노래, 골 안에 꽃이 활짝.

長短與仁性宜

그 노래 장단이 어진 성품에 절로 맞아

不屑爲變調相續

변조로 뒤를 잇기를 굳이 마다했더니라.

 

一從玄文燒殘後

역대(歷代)의 병화(兵火)로 옛 문적 다 타버린 뒤

篇籍寥寥寄蠋

노래 적은 책이 겨우 자취뿐 남았으나,

吏讀借寫已詰屈

이두로 적혔으니 풀기 사뭇 어려웠고

又兼古言殊今讀

게다가 옛말이 지금과는 아주 달라,

有如玉笛過嶺啞

마치 피리가 [영마루] 지나면 벙어리 되듯,

矕引無人發宮角

본래의 그 옛가락을 낼 사람이 없더니,

 

誰與健者梁柱東 [吾賢友-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硏究)]

어와, 건장(健壯)할손, 제 누군고? 양주동!

雙瞳的的不移矚

또렷한 두 눈동자, 까딱 않는 그 눈초리_

謋然一夕四解

포정(庖丁)이 소가르듯 하룻밤에 홱 갈라내니

繁音雅奏隨所觸

번화한 소리, 아담한 곡조가 손가는 대로 울려낫네.

爲君起作如意舞

지화자, 내 일어나 如意춤을 추노니,

言之歎之俱未足.

말로나 감탄으로나 이 기쁨 다 못펴네!

注:생략

[해설]

新羅歌謠淵源 特質 由來略述하고 千年만에 再構鄙解를 찬양한 것. 通編佳吟이나, 특히 有如玉笛云云의 제9 · 10구가 絶調.

다음 鄙姓名은 내게 준 草稿吾賢友’. 改本直截, 原草가 은근.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3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其二

其二

題詞 제2

 

大界茫茫衆星行

망망한 대우주(大宇宙)에 운행하는 저 뭇 별들,

望之無極孰經營

바라봐 끝없으니 뉘 경영하나?‘ 해도,

獨有分度森不忒

전문가의 보는 눈엔 한 , , 어김 없어

手捫九天日未仄

구천을 다 만져도 해도 아니 기우네.

君於古歌略似此

그대의 고가 풀이 바로 이와 비슷커니,

笑他游蜂讚窓紙

우습다, 붕붕 벌들은 창호지를 뚫는구나!

 

蠢編塚刻收惟謹

좀 먹은 책, 金石을 빠짐없이 다 거두고

山謳野曲無不採

산노래 들노래를 모조리 수집하여,

始也叢雜若無取

처음엔 풀포긴 양 되는 대로 섞였더니

終焉條貫各有待

나중엔 조목조목 서로 맞춰 꿰어냈네.

陰翕陽移自此準

어두워 소리 막힌 것, 환해서 울리는 것,

古訛今變自此稽

고금의 변화를 모조리 상고할 제,

循以達之莫余防

순리(順理)로 풀어가니 뉘라서 막아내리?

五寸渠盡天下方

다섯 치 정규(正規)하나로 천하의 모난 것 다 재었네.

 

鳴鳩乳燕白日麗

지금은 비둘기 구구, 제비 젖 먹이는 대낮인데

曾是荊刺如人忘

바로 전엔 가싯덤불 찾을 이도 없었던 곳,

十二琴弦仙乎下

가얏고 열두 줄이 시르릉 둥당 울려내리니,

舊譜無恙吟鳳凰.

옛 악보 바로 그대로 봉황을 읊는구나.

 

[해설]

벽두 大界茫茫은 어떠한 聲勢, 5 · 6가 또 어떤 謹嚴· 破顔이뇨. 詩法· 辭意가 모두 絶調. 鄙業績에 대한 讚揚이나, 나로선 미상불 點頭되는 아는 이의 말’.

游蜂은 구구한 群小學者, 당시 日人 學者 某를 가리킴인가.

叢雜 · 條貫*學的 方法論, ‘陰弇陽侈史學的 炯眼, 五寸榘 盡天下方爲學原理모두 斯學에 대한 그의 드높은 見識을 드러낸 것으로 字字兼金, 句句千鉤.

[條貫*]

若夫條貫乎叢雜, 得魚而忘筌, 則又有竢乎後來之君子云.’

<鄙著 自題語結辭>이 실로 이에 의했음.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4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其三

其三

題詞 제3

3 

誰道史志非活物

뉘라서 역사의 기록이 죽은 것이라 말하는가?

噓吸故與後昆一

그 속의 숨결이 후손과 하나인 걸!

細如毫芒迷如煙

털끝마냥 가늘고 연기처럼 아스름해도

有由來者不容忽

유래가 있는 건 호리(毫厘)도 어김 없거니,

矧伊動天感鬼神

하물며 천지 · 귀신을 감동턴 것이야

殷殷未隨風雲沒

그 어찌 풍운을 따라 영영 없어지오리?

 

未之思也遠何有

미쳐 생각 못했을 뿐, 무엇이 멀 것가?’

今人盡從古人出

지금 사람 모두 다 엣 사람서 나온 것을.

知君爲此洗心久

그대 이를 위해 맘 씻는 지 오래지만,

古意要從見在掇

옛 뜻은 요컨댄 현재로써 거둘[]

吾情吾詞之所安

내 정과 내 글로써 만족타 여겨지면

千載之上豈必別

천년 전 원[] 노래인들 어찌 그리 다르리?

   

不離喉嚨無麗羅

목청 내어 읊어서 고려 · 신라 매만지고

證以文獻若合節

문헌으로 대증(對證)하니 대쪽처럼 들어맞네

兒女完孌大同花

여인의 고운 맵씨 대동강 건너편 꽃’,

亂離慘悽井邑月

처참한 난리 중에 정읍골의 돋는 달’.

春木之芚援我手

봄 나무의 새싹이 나의 손을 당기니

今夕何夕皓齒發

이 저녁 어인 저녁고! 내 흰 이[]가 드러나네.

 

  :생략

[해설]

古歌史的 位置와 그 傳統的 永遠存在道破.

細如毫茫云云史志의 이른바 草蛇灰線을 터득한 말이나,

그의 得意한 간드러진 표현.

今人盡從古人出이 또 그의 體得史觀一端.

철학적 차원은 다르나, T. S. 엘리옽의 名句

현재의 시간과 과거의 시간은

아마 未來의 시간에 現存하고

未來의 시간은 過去의 시간에 포함된다.”

<四重奏>偶合된다 할까.

洗心’ 2字 知心의 말.

1112吾情吾詞’ ‘豈必別云云은 그가 鄙解에 약간 疑念을 품었음인가.

春木之芚를 너무 後生한 듯하나, 亦復何害?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5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其四

題詞 제4

4

 

君才炳蔚少與倫

그대의 빛난 재주 뭇 사람에 뛰어나서

弱歲操筆已動人

약관(弱冠)에 붓을 들어 사람을 이미 놀랫것다!

玆基索具菑畚善

그 천품에 꾸준히 처녀지(處女地)를 개척터니

眷言土風嘆荒榛

국고(國故)가 폐허됨을 탄식코 되 이룩하려

過余爲言願委身

날 찾아 이르는 말몸을 이에 바치리니

先哲有遺可終湮

서닌(先民)이 남기신 것을 끝내 인몰(湮沒)시키리?“

 

燈前細雨相可否

비오는 밤 등불 앞에 앉아 토론하니,

深知長識貫簡編

깊은 지식, 높은 식견이 만권서(萬卷書)를 꿰뚫어,

一鼓能使堅疊

한 번 북을 치매 굳은 성벽 무너지고

再鼓四面寂然

두 번 북을 치니 사면이 모두 고요!

猶然俛首不敢逸

그리고도 머리 숙여 잠시도 안 게을러

疏證纖悉究曉曛

새벽에 자다란 주석(注釋), 저녁에도 치밀한 고증(考證).

 

聞君成書使我喜

이제 책이 되었다니 얼마나 반가운가!

欲取黃花佐淸罇

국화를 가져다가 술과 안주로 내 이받네

酒以暢君解久悴

술론 오래 꾀죄한 그대 얼굴 펴게 하고

花以賁君

꽃으론 의로운 그대 빛내어 위로콰저.

 

[해설]

두 사람의 文交 · 學硏을 서한 1.

過余爲言內容과 특히 相可否’ 3가 반드시 實事가 아니나, 아마 그의 矜持거나 行文鋪張일 터.

그가 이처럼 鄙學과의 史的 因緣과 관련을 矜張하여서까지 굳이 後代에 전코자 意圖했음은 오히려 令譽.

燈前細雨가 그 분의 아기자기한 필치.

一鼓 · 再鼓絶唱, 絶唱.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6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詞腦歌 證釋 題詞 其五

5

先人永言舊擅華

선인들의 부른 노래 예부터 꽃을 피워

蘇塗瓊芳長婆娑

소도(蘇塗)의 고운 송이를 항시 너훌 춤추었네.

彗星一曲天下晏

<혜성가> 한 곡조에 온 누리가 평안했고

落葉齋妹不勝嗟

<제망매가> 누이 제()엔 설움이 많았었지.

餘韻嫋嫋入無際

남은 가락 가늘게 가없는 데 올라가

海雲如縷至今多

지금도 바닷구름이 실오리 같이 많것다!

   

邇來求索何皇惑

이즈음 연구란 것 어찌 그리 허망한고

焦明廖廓視藪澤

하늘 높이 솟은 봉황을 숲·늪에서 찾다니!

釋之彌苦去彌遠

애써 풀이할수록 참과는 더 멀어져

幾令雅韻付

훌륭한 그 옛노래가 어둠에 묻힐 뻔했더니,

   

雲錦七襄章采殊

구름비단일곱 필이 무늬 워낙 다르니

辨此先要胸有

이를 제법 알려면 가슴에 짠 것있어야네.

爲謝流俗莫漫讀

이보아, 류속(流俗)들아, 허투루 이를 읽지 마소

千載沾襟有于勒*

천년 전 우륵이 읽고 흐느껴서 우옵네.

 

* 끝구 千載沾襟有于勒

정인보 문록의 원시엔

于勒沾襟聽萬德이라 한 것을 (양주동)가 사사로이 고치다.

 

[참고]

原詩2차 번역은

이병주,한국한시의 이해,민음사,pp.228-232에도 있음.

[11장 조선시대의 선가시]



출처: http://kydong77.tistory.com/17177 [김영동교수의 고전& life]

 (문주반생기 신태양사,1960, p.295 /총302면)

이 책의 公刊은 내딴에는 실로 快心事였고, 생애의 悲願一半이 그로써 이뤄진 셈이었다. 이로써 우리 고전문학의 最古源流가 우선 그 텍스트만이라도 밝혀졌음은 민족적으로도 다행한 일이다. 더구나 내가 이 에서 주력한 것은 사뇌가 본문, 곧 이두문의 해석 외에 그 證釋의 과정을 통하여 古語古文法(특히 조사의 분석적 연구) 또 차자로 쓰여진 古史 語彙, 國名地名人名官名 기타를 모조리 해명한 일이었다. 이 몇 가지 점에 있어 나는 이 책이 근세 未曾有鉅著임을 믿었고, 우리 민족과 문학이 있는 한 길이 후세에 전할 문자라고 자긍하고 확신했음과 같은 저자 자신의題語를 붓으로 썼다.


詞腦歌 箋注題語

秦延公設堯典, 但說粤稽古凡三萬言, 前輩以鄴下賣驢之諺譏之見日知錄, 某之此著, 亦幾近之矣. 第所說關於先民, 立言不爲一時, 不忍自棄, 聊公同好. 若夫條貫乎叢襍, 得魚而忘筌, 則又有竢乎後來之君子云.

(秦延公堯典을 풀이할새 다만粤若稽古를 해설함에 무릇 三萬言이라, 前輩鄴下 사람의 나귀 파는 속담으로 빈정댔으니(日知錄에 보임), 의 이 가 또한 그와 비슷하다. 그러나 풀이한 바가 선민에 관하였고 말을 세움이 한때를 위한 것이 아니어서 차마 스스로 버리기 어려워 애오라지 同好간에 공표함이니, 이에 제법 덤불로 뒤섞인 것을 가지로 꿰고 고기를 얻은 뒤에 통발을 잊음은 또 뒤에 오는 분들에게 기다림이 있다 하노라.)


일제말기에 이어 그 속편인 고려가요의 주석을 써서 지상에 연재했고, 해방후麗謠箋注(1947)란 제호로 정리간행했다. 그러나 이 두 는 모두 다만 텍스트의 古語學的 訓詁주석에 그쳤을 뿐, 그보다 더 요망되는, 古歌謠를 통한 문화사적 고찰과 그 사상적이데올로기적 해명에는 손이 미치지 못했다.여요전주 의 끝절 -


<따라서 이 양편에 있어서의 저자의 학적 노력 - 그 의도와 성과는 순수한 어학적고증학적 태도를 벗어나지 않았고, 또 벗어나려고도 하지 않았다. 그 이상의 것, 다시 말하면, 재료의 음미나 평설 - 그 비판적인 견해주장 같은 것은, 서설 기타에 비록 약간을 붙였으나, 단순한 재료의 소개에 그쳤을 뿐, 히 이후에 補足완성될 제3권에 미룰 수밖에 없다.>


이래 또 十有五 星霜, 나로서는 이 학적약속에 의해서도 단연 괄목할만한 학문적 진전이 있어 端的으로 문제의 그3을 내놓아야 할 터인데, 復稿만 아스름한 채로 조그만 持病을 핑계로 하여 牛步遲遲, 지금껏 새 획기적인 著作을 이어 내놓지 못함이 자못 부끄러운 일이다. 한편 또 나의 숨김없는 느낌을 한 가지 피력하자면, 그후 신진의 多士들이 斯學의 다른 여러 분야에서는 상당히 많은 勞作을 보여주나, 이 방면의 蘊奧 - 곧 나의 해독과 證釋에 대하여는 아직 半句集字도 수정해주는, 참으로 快心點頭되는 새로운 按說이 나타나지 않음이 유감이다. 비록 약간의 부분적 언급이 혹 없음이 아니나, 대부분은 나의 舊見에 색다른을 하여 꾸민친 설이거나, 그렇지 않으면산밑에 지나가는 빗소리일 뿐, 가장 翹望되는事實의 발견이 좀처럼 눈에 뜨이지 않음이 섭섭하다.

끝으로 나의 조그만 學的 路程에서 얻은 몇 가지 感懷를 붙여두자. 무릇 학문의 길에 있어서는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하다고 본다 -재주끈기. 그 중에 첫째은 그야말로 多生宿因이요 세째끈기는 애초부터 天質이니 무가내하지만,재주는 오히려 修練에도 유관한 일이매, 나는 저莊子名篇庖丁解牛을 미상불 三復하는 所以이다.


<始臣之解牛, 所見無非牛者, 三年之後, 未嘗見全牛也>


내가 맨처음 古歌를 풀 떄에 눈에 보이는 것이 모조리 古歌 아닌 것이 없었고, 년 뒤에는 일체의 借字(古歌地名人名 )가 모두 한번 보매 쪽쪽이 갈려짐을 체험했다. 이것은 진정 나의 전공으로서 내가 實感, 좀 지나친 自負이나, 내딴엔 속임없는告白이요,자랑이다. 그런데 지금은 오히려 그때만 못한 형편이니,19년 뒤에도 칼날이 새로 숫돌에서 나온 것 같다庖丁의 말에 부끄럽기 그지없다. 역시끈기가 쇠해가는 탓일까, 혹은시대가 흐르고이 달라졌음에 의하여 나의과 생각이 구태여 그때만큼 비장하고 오롯하지 못한 때문인가. 그러나 아직三分人事七分天으로 諦念될 만큼 老頹하진 않았으니, 다시 한번 奮迅을 기약할밖에.


梁柱東<增訂 古歌硏究>에도 수록함.

양주동, 『조선고가연구(朝鮮古歌硏究)』(양주동, 박문서관, 1942) 초간본

양주동,增訂 古歌硏究,일조각,1965.3.15. 초판 발행

1968.3.15. 재판,pp.889-898.

 

검찰 '뇌물수수 피의자 박근혜' 구속영장 청구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51768&iid=49438339&oid=001&aid=0009138634&ptype=052

헌정사상 세번째 영장 청구 전직 대통령 '불명예'

뇌물수수·직권남용·강요·공무비밀누설 등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이지헌 이보배 기자 = 박근혜 전 대통령의 뇌물수수·직권남용 등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박 전 대통령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은 27일 오전 11시26분께

박 전 대통령에게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검찰은 이날 발표와 동시에 서울중앙지법에 박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청구서를 접수했다.

 

박근혜 구속 심문 30일 오전 열려…31일 새벽 결정될듯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oid=001&aid=0009139585&isYeonhapFlash=Y&rc=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