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미를 추구한 주인장의 매력에 이끌려 일주일 뒤에 다시 들린 이 집에는 접시꽃이 나를 맞았다. 앞 꼭지에 있는 집의 대문간에 서서 우리나라 어디에나 산재한 접시꽃이 비시시 웃고 있었다. 주돈이의 <애련설>을 보면, 도연명은은일의 곷으로국화를 홀로 사랑하였고, 세상 사람들은 당나라 이세민 이후로 부귀의 상징인 모란을 좋아하지만 자신은 연꽃을 좋아하는 심경을 고백하엿다.

중국 육조시대 진(晉)나라 도연명이,

採菊東籬下동쪽울타리아래서국화를꺾다가
悠然見南山유연히남산을바라보네.

를 읊은 이후로 국화는 오상고절( 傲霜孤節)의 상징으로 한자문화권의 상류계층 사람들에게 선호도 높은 꽃이 되어 사군자 반열에 올랐다. 그런데 서양에서는 주로 조화로 사용되다 보니 인기 없는 꽃이 되었다. 보랏빛만 하더라도 한때 서울시에서 시내버스 빛깔로 사용했지만 이것 역시 바이올릿빛이 서양의 초상집 분위기 운운하여 요즈음은 그런 색상의 버스가 많지는 않다. 개인의 가치관과 선호도가 얼마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가 하는 데 대한 극명한 사례라 하겠다.

최치원이 접시꽃을 소외당한 꽃이라니 국화와 모란을 사랑한 중국인들, 중국문화 특히 유학의 몰락을 막기 위해 불교의 논리에 맞먹는 논리를 개발한 송대 성리학의 개조 주염계 선생이 생각난다. 아이러닉한 것은 석가가 개발한, 염화미소(捻華微笑)의 상징물인 연꽃을 사랑한 것이라 생각한다.

열두 살에 당나라에 유학한 최지원은 <秋夜雨中(추야우중)>에서 비오는 날 밤 한밤중 잠을 이루지 못하고 등불 앞에 앉아 만리길을 달려가는 향수를 노래하기도 했지만, <촉규화<에서는 길가의 접시꽃을 보고는 이방인의 소외감을 하소연하기도 했다.

도종환은 죽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을 생명의 연대감으로 승화시켜 <접시꽃 당신>에 담았다. 두 시를 함께 감상해 본다.

<蜀葵花> *접시꽃-자신의 신세

寂寞慌田側 적막한 거친 땅 곁에

繁花壓柔枝 번성한 꽃이 약한 가지 누르네.

香輕梅雨歇 매화에 비 개니 향기도 가벼워라

影帶麥風欹 보리밭 스쳐온 바람 그림자 드리운다.

車馬誰見賞 수레나 말 탄 사람 뉘라서 보아주리?

蜂蝶從相窺 벌이나 나비만이 한갓 서로 엿보네.

自慚生地賤 태어난 땅 천한 것 스스로 부끄러워

堪恨人棄遺 남에게서 버림받고도 그 한을 견디누나.

<접시꽃 당신>

-도종환

옥수수잎에 빗방울이 나립니다
오늘도 또 하루를 살았습니다
낙엽이 지고 찬바람이 부는 때까지
우리에게 남아 있는 날들은
참으로 짧습니다
아침이면 머리맡에 흔적없이 빠진 머리칼이 쌓이듯
생명은 당신의 몸을 우수수 빠져나갑니다
씨앗들도 열매로 크기엔
아직 많은 날을 기다려야 하고
당신과 내가 갈아엎어야 할
저 많은 묵정밭은 그대로 남았는데
논두렁을 덮는 망촛대와 잡풀가에
넋을 놓고 한참을 앉았다 일어섭니다
마음놓고 큰 약 한번 써보기를 주저하며
남루한 살림의 한구석을 같이 꾸려오는 동안
당신은 벌레 한 마리 함부로 죽일 줄 모르고
악한 얼굴 한 번 짓지 않으며 살려 했습니다
그러나 당신과 내가 함께 받아들여야 할
남은 하루하루 하늘은
끝없이 밀려오는 가득한 먹장구름입니다
처음엔 접시꽃 같은 당신을 생각하며
무너지는 담벼락을 껴안은 듯
주체할 수 없는 신열로 떨려왔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에게 최선의 삶을
살아온 날처럼, 부끄럼없이 살아가야 한다는
마지막 말씀으로 받아들여야 함을 압니다
우리가 버리지 못했던
보잘것없는 눈높음과 영욕까지도
이제는 스스럼없이 버리고
내 마음의 모두를 더욱 아리고 슬픈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날들이 짧아진 것을 아파해야 합니다
남은 날은 참으로 짧지만
남겨진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인 듯 살 수 있는 길은
우리가 곪고 썩은 상처의 가운데에
있는 힘을 다해 맞서는 길입니다
보다 큰 아픔을 껴안고 죽어가는 사람들이
우리 주위엔 언제나 많은데
나 하나 육신의 절망과 질병으로 쓰러져야 하는 것이
가슴아픈 일임을 생각해야 합니다
콩댐한 장판같이 바래어 가는 노랑꽃 핀 얼굴 보며
이것이 차마 입에 떠올릴 수 있는 말은 아니지만
마지막 성한 몸뚱아리 어느 곳 있다면
그것조차 끼워넣어야 살아갈 수 있는 사람에게
뿌듯이 주고 갑시다
기꺼이 살의 어느 부분도 떼어주고 가는 삶을
나도 살다가 가고 싶습니다
옥수수잎을 때리는 빗소리가 굵어집니다
이제 또 한번의 저무는 밤을 어둠 속에서 지우지만
이 어둠이 다하고 새로운 새벽이 오는 순간까지
나는 당신의 손을 잡고 당신 곁에 영원히 있습니다.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화상 --미당 서정주  (1) 2008.07.02
자기 죄를 자랑스러워한 사나이, 이육사 선생  (4) 2008.07.01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2) 2008.06.19
전등사 경내의 찻집  (0) 2008.06.18
사슴이 뿔났다  (1) 2008.06.16


[주]해금 후 알려진 북쪽 시인에 백석과 이용악이 있다. 남쪽 시인들은 애송시로 백석의 아래의 시를 꼽았다. 그것도 서정주, 김춘수, 김수영을 제치고 애송시 부문 1위에 올랐다고 한다.

http://news.empas.com/show.tsp/cp_ch/20080130n24754/?kw=%B9%DA%BD%C3%BA%C0+%B9%DA%BD%C3%BA%C0+%7B%B9%DA%BD%C3+%BA%C0%7D+%7B%7D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백 석(白石)

어느 사이에 나는 아내도 없고, 또

아내와 같이 살던 집도 없어지고,

그리고 살뜰한 부모며 동생들과도 멀리 떨어져서,

그 어느 바람 세인 쓸쓸한 거리 끝에 헤매이었다.

바로 날도 저물어서,

바람은 더욱 세게 불고, 추위는 점점 더해 오는데,

나는 어느 목수(木手)네 집 헌 삿을 깐,

한 방에 들어서 쥔을 붙이었다.

이리하여 나는 이 습내 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낮이나 밤이나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 같이 생각하며,

딜옹배기에 북덕불이라도 담겨 오면,

이것을 안고 손을 쬐며 재 우에 뜻없이 글자를 쓰기도 하며,

또 문밖에 나가디두 않구 자리에 누어서,

머리에 손깍지벼개를 하고 굴기도 하면서,

나는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하는 것이었다.

내 가슴이 꽉 메여 올 적이며,

내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일 적이며,

또 내 스스로 화끈 낯이 붉도록 부끄러울 적이며,

나는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는 것을 느끼는 것이었다.

그러나 잠시 뒤에 나는 고개를 들어,

허연 문창을 바라보든가 또 눈을 떠서 높은 턴정을 쳐다보는 것인데,

이때 나는 내 뜻이며 힘으로, 나를 이끌어가는 것이 힘든 일인 것을 생각하고,

이것들보다 더 크고, 높은 것이 있어서, 나를 내 마음대로 굴려 가는 것을 생각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여 여러 날이 지나는 동안에,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을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꿇어 보며,

어니 먼 산 뒷옆에 바우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어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1948년>


평북 정주하면 소월이 있고 백석(白石·1912~1995)이 있다. 1988년의 월북시인 해금 조치 이후 '백석 붐'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백석 시인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현대시에서 드물었던 북방 정서와 언어의 한 정점을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이 시는 그의 절친한 친구가 소장하고 있다가 1948년에 발표했다. 해방 공간에 발표된 백석의 마지막 작품이다. '남신의주 유동에 있는 박시봉 집에'라는 제목의 뜻에 주목해볼 때 친구에게(혹은 스스로에게) 편지 형식으로 보낸 고백시가 아니었을까 짐작된다. 그래서일까. 소리 내어 읽노라면 그가 나직이 말을 건네는 듯 '가슴이 꽉 메여 오'고 '눈에 뜨거운 것이 핑 괴'이곤 한다.

'나'라는 맨 얼굴의 시어나 '-이며' '-해서' '-인데'와 같은 나열 혹은 연결어미나 '것이었다'라는 종결어미 등의 반복이 내뿜고 있는 독특한 산문적 리듬이야말로 이 시의 백미다. '내 슬픔이며 어리석음이며를 소처럼 연하여 쌔김질'한다는 직유며, '내 슬픔과 어리석음에 눌리어 죽을 수밖에 없'다는 직설이며, '나는 나 혼자도 너무 많은 것 같'다는 역설 등 사무치지 않는 구절이 없다. '이' 습내 나는 춥고 누긋한 방에서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를 생각하기까지의 의연한 회복 과정이 유장한 리듬과 어우러져 한 편의 인생 서사를 떠올리게 한다.

1942년 일본 시인 노리다케 가즈오는 기자와 교사생활을 작파하고 만주에서 허드렛일을 하며 '가난하고 외롭고 높고 쓸쓸'히 살고 있던 그를 찾아간다. 그는 가즈오에게 '나 취했노라'라는 시를 헌정했다. 20년 후 가즈오는 "파를 드리운 백석./ 백이라는 성에, 석이라고 불리는 이름의 시인./ 나도 쉰세살이 되어서 파를 드리워 보았네."('파')라는 시를 그에게 헌정했다. 파를 들고 우두커니 서 있었을 그를 생각한다. 쌀랑쌀랑 소리를 내며 싸락눈을 맞는다는, 이름만으로도 가슴 뻐근한 갈매나무를 생각한다.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죄를 자랑스러워한 사나이, 이육사 선생  (4) 2008.07.01
접시꽃 당신 -도종환  (2) 2008.06.24
전등사 경내의 찻집  (0) 2008.06.18
사슴이 뿔났다  (1) 2008.06.16
삿갓시인 김병연의 해학과 눈물  (1) 2008.06.03

[주]목각 학을 보면서 미당 선생의 <학>을 떠올립니다.

학(鶴)
-미당 서정주

천년(千年) 맺힌 시름을
출렁이는 물살도 없이
고운 강물이 흐르듯
鶴이 나른다.

千年을 보던 눈이
千年을 파닥거리던 날개가
또한번 천애(天涯)에 맞부딪노나

山덩어리 같아야 할 분노(忿怒)가
草木도 울려야할 서름이
저리도 조용히 흐르는구나.

보라, 옥빛, 꼭두선이,
보라, 옥빛, 꼭두선이,
누이의 수틀을 보듯
세상은 보자.

누이의 어깨 넘어
누이의 수(繡)틀속의 꽃밭을 보듯
세상을 보자.

울음은 해일(海溢)
아니면 크나큰 제사(齊祀)와 같이

춤이야 어느 땐들 골라 못추랴.
멍멍히 잦은 목을 제쭉지에 묻을바에야.
춤이야 어느 술참땐들 골라 못추랴.

긴 머리 자진머리 일렁이는 구름속을
저, 우름으로도 춤으로도 참음으로 다하지못한 것이
어루만지듯 어루만지듯
저승 곁을 나른다.

출전: 서정주시선(1955)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시꽃 당신 -도종환  (2) 2008.06.24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2) 2008.06.19
사슴이 뿔났다  (1) 2008.06.16
삿갓시인 김병연의 해학과 눈물  (1) 2008.06.03
고향 & 향수 & 바다  (0) 2008.05.25

아래 주소에는 노천명의 대표작 몇 편을 수록하였다. 1909년 3월 법률 6호로 민적법(民籍法)이 공포됨으로써 여성의 이름이 공식적으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http://blog.paran.com/kydong/24738970

볼일이 있어 충북 앙성에 있는 사슴농장에 들렀다. 어떤 농장에서는 꽃사슴을 키우기도 하는데, 대개는 덩치가 송아지보다 큰 알레스카산 엘카를 키운다. 농장주인의 말로는 한 5년 키워야 상품 가치가 있는 녹용이 생산되기 때문에 새끼를 낳는 암놈은 경제성이 없어 키우지 않는다고 했다.

옥수수, 소맥 등을 주원료로 하는 배합사료는 25Kg 들이 한 포대에 7천원 하던 사료값도 지금은 만원을 호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게 그 이유라 했다. 풀만 먹여서는 기대하는 녹용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사료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없는 노릇이란다.

사슴농장의 사슴은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게 아니라 뿔이 잘려서 슬프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 년에 한번씩은 엉덩이에 마취주사를 맞고 까무러쳐 뿔이 잘려나가도록 비몽사몽의 꿈길을 맞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사슴 >

- 노천명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언제나 점잖은 편 말이 없구나.

관(冠)이 향기로운 너는

무척 높은 족속이었나 보다.


물 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보고

잃었던 전설을 생각해 내고는

어찌할 수 없는 향수에

슬픈 모가지를 하고

먼 데 산을 쳐다본다.

[작가 노트]

여성시의 선구자; 노천명

노천명(盧天命,1912-1957)
황해도 출생. 이화여전.
본명 기선. 병마에 시달려 天命으로 바꿈.
불우한 일생. 자전적 문학- 서정시의 기본.
작품 <사슴>은 처녀시집 《산호림(珊瑚林)》(1938)에 수록된 초기 시작품.
‘사슴의 시인’으로 애칭.
여성적 지적 시풍으로 생의 고뇌와 현실의 차가움을 주로 노래한 시인.


독신으로 지낸 건 짝사랑한 유부남 때문임.
(아래 기록을 보면 노천명의 처절한 사랑이 짐작될 겁니다.)
<사슴>에서도 情人(애인) 기다림.
애인은 유부남. 보성고보. 노동경제학 전공자.
노천명이 연극에 참여했는데 그가 관객으로 와서 만나기 시작함.
친일 훼절- “조선의 딸들이여”- 정신대 권장.
해방 후 연인 월북. 시인은 6.25때 도강 안하고 애인 기다림.
애인은 고위층으로 서울에 내려옴. 사회과학원 원사.
시인은 전쟁이 끝나고 20년 징역형 받음.
김광섭의 구명운동으로 전국교도소 돌며 친공 친일 참회.
[참고] 시집 《사슴》(1936)은 백석의 시집.

1.자전적 문학세계
- 사회 역사의식 부족
“댓돌 밑에 우는 귀뚜라미처럼 나는 그대를 기다린다.”
2.민속연희 풍물시 <남사당>
“나는 얼굴에 분칠을 하고”
3.현실적 수난과 고통 <면회>
옥중시. “언니 앞에 머리를 숙이다”
4.평범한 여인의 행복론 <이름 없는 여인이 되어>
현실도피, 패배의식. 이름 때문에 수난.
절망적 몸부림 통해 찾은 평등의식
[결론] 여성시를 개척한 선구자













'문학 > 시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2) 2008.06.19
전등사 경내의 찻집  (0) 2008.06.18
삿갓시인 김병연의 해학과 눈물  (1) 2008.06.03
고향 & 향수 & 바다  (0) 2008.05.25
호수  (0) 2008.05.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