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태백산 주목

심훈(1901-1936)

흑석동 출생. 교동국교. 경성제1고등보통학교.
18세 때 3.1독립운동. 경성제1고보 3학년 때 투옥.
옥중서한 ‘어머님’(낭송)
’19년 가을 중국 망명. 소주 항주 등지 유랑.
동아일보 기자 시절 ‘철필구락부’ 활동. 퇴출.
관부연락선 타고 일본행. 영화공부.
영화 <먼동이 틀 때> 주연, 각색, 감독 맡음. 임화도 참여.
탈옥수의 독립운동 다룸.
단성사 상연. KAPF 자임. 비난
자기 영화 찍은 여배우와 재혼하여 충남 당진에서 생활하며 <상록수> 집필.
신문 현상모집에 당선. 상금 받아 서울행. 영화 계획. 장질부사로 작고.

*사실과 진실
사실: 논증 가능
진실: 진실. <그날이 오면>에서 뱃가죽으로 북을 만드는 일은 절실한 심정의 표출.

’19. <그날이 오면>
’32. 시집 《그날이 오면》총독부에 검열 신청했으나 거부. ’49년 刊
’35. 《상록수》
러시아의 '브 나로드(V narod) 운동'에 영향받아 1930년대 <동아일보>가 전개한
브나로드(v narod) 운동의 일환으로 실시한 소설현상모집 당선작.
농촌 계몽 운동이라는 일종의 민족 운동의 관점에서 쓴 농민 문학.
이에는 이광수의 '흙', 심훈의 '상록수', 이석훈의 '황혼의 노래' 등이 있음.


1.저항시. <그날이 오면>
옥수포드대 바우라(C.M. Bowra) 교수가 세계의 저항시집에 넣음.
<만가>
2. 현실의 참상. 현장시.
3. <현해탄>
유민 이민의 시;궁핍상에 분노, 적개심. 민족의 재발견.
* 남: 자유, 개성, 예술성을 중시하는 순수문학
북: 공동체, 계급, 민족, 민중을 중시하는 정치주의 시.
문학은 시대정신의 표출이다.
남에서도 고은, 신동엽, 김지하, 김납주 등은 문학의 사회성을 추구함.



<그 날이 오면>
―심 훈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며는
삼각산(三角山)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漢江)물이 뒤집혀 용솟음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지기 전에 와 주기만 하량이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鍾路)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들이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頭蓋骨)은 깨어져 산산(散散)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恨)이 남으오리까
그날이 와서 오오 그날이 와서
육조(六曹)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뒹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커다란 북[鼓] 만들어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行列)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꺼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 만가(輓歌)>
― 심 훈

궂은 비 줄줄이 내리는 황혼의 거리를
우리들은 동지의 관을 메고 나간다.
수의(壽衣)도 명정(銘旌)도 세우지 못하고
수의조차 못 입힌 시체를 어깨에 얹고
엊그제 떠메어 내오던 옥문(獄門)을 지나
철벅철벅 말 없이 무학재를 넘는다.

비는 퍼붓듯 쏟아지고 날은 더욱 저물어
가등(街燈)은 귀화(鬼火)같이 껌벅이는데
동지들은 옷을 벗어 관 위에 덮는다.
평생을 헐벗던 알몸이 추울상 싶어
얇다란 널조각에 비가 새들지나 않을까 하여
단거리 옷을 벗어 겹겹이 덮어 준다.
( 이하 6행 삭제 )

동지들은 여전히 입술을 깨물고
고개를 숙인채 저벅저벅 걸어간다.
친척도 애인도 따르는 이 없어도
저승길까지 지긋지긋 미행이 붙어서
조가(弔歌)도 부르지 못하는 산 송장들은
관을 메고 철벅철벅 무학재를 넘는다.
(시집

[사진] 북해도 7월 꽃축제에서 유랑하는 여학생들.


한 아이는 무릎 노출증. 그 나이엔 모든 동물들이 종족보존의 법칙에 따라
짝짓는 나이이므로 물로만 씻어도 얼굴에 생기가 돌고 광택이 나서 이성에게
눈이 부시나는 걸 잘 모르나 봐.
운남성 석림에 갔을 땐데, 이 나이엔 누구나 이성을 매료시킨다는 나의 이 말에
자매중 불필요한 지방과 근육을 가진 아우는 부정했지만, 신경질질적인 날씬한
체구의 그녀의 언니는 동의했습니다.
인생은 육십부터라고요? 아니죠. 육체적으로는 20세 전후가 황금기죠.
너무 과신하지 마세요. 깝지다가 골절상 당합니다요.
이정인님, 이창식님, 고재오님. 산도사 세 분은 이미 신선이 되어 있어 예외입니다.
위 세 분은 나이에서 해탈하신 분들이더이다.
'仙'字가 "사람+산"의 회의글자이니, 산에서 살면 누구나 신선인기라[연암 박지원의 해석]


올 겨울은 무지 추웠다,

서강대 장영희 교수가 소개한 P.B. 셸리의 <서풍부>와 그 나머지 부분을 옮깁니다.
서풍은 무성한 여름을 쓸어버리는 가을바람입니다.
T.S.엘리엇은 <황무지>에서 “4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라고 다음과 같이 노래했지만
이 겨울보다 잔인하기야 하겠는가?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추억과 욕정을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겨울은 오히려 따뜻했다.
잘 잊게 해주는 눈으로 대지를 덮고
마른 구근 (球根)으로 약간의 목숨을 대어주었다.

장편 문명비판시인 <황무지>의 일부입니다.

http://news.empas.com/show.tsp/cp_ch/20050109n02799/
?kw=%BC%AD%C7%B3%BA%CE+%BC%AD%C7%B3%BA%CE+%BC%AD%C7%B3%BA%CE+%7B%7D

[장영희의 영미시산책 겨울편⑪]
눈 오는 산 참나무처럼
[조선일보 &nbsp; 2005-01-09 17:38:04]&nbsp;

Ode to the West Wind
---Percy Bysshe Shelley(1792~1822)


Oh, lift me as a wave, a leaf, a cloud!

Like wither’d leaves to quicken a new birth!

And, by the incantation of this verse,
Scatter, as from an unextinguish’d hearth
Ashes and sparks, my words among mankind!

Be through my lips to unawaken’d earth
The trumpet of a prophecy! O Wind,
If Winter comes, can Spring be far behind?

서풍에 부치는 노래
---퍼시 비시 셸리

(…)
오, 나를 일으키려마, 물결처럼, 잎새처럼, 구름처럼!

(…)
우주 사이에 휘날리어 새 생명을 주어라!

그리하여, 부르는 이 노래의 소리로,
영원의 풀무에서 재와 불꽃을 날리듯이,
나의 말을 인류 속에 넣어 흩어라!

내 입술을 빌려 이 잠자는 지구 위에
예언의 나팔 소리를 외쳐라, 오, 바람아,
겨울이 만일 온다면 봄이 어찌 멀었으리오?
(부분. 함석헌 역)

운명에 맞서 보라
함석헌옹이 “슬프면서도 녹아드는 혼의 기도”이자, “나를 몇 번이나
엎어진 데서 일으켜 준 시”라고 표현한 셸리의 ‘서풍부(西風賦)’입니다.
우리에게는 마지막 행 “겨울이 만일 온다면 봄이 어찌 멀었으리오?”라는 말로
익숙한 시이기도 합니다.
코끝에 쌩하고 부는 바람이 얼음같이 차갑습니다.
아니 그보다 “인생의 무거운 짐을 지고 인생의 가시밭에 넘어지는” 마음이
더 추운 겨울입니다. 그러나 시인은 ‘반항정신’을 말하고 있습니다.
춥다고 웅크리기보다 일어나 뛰면 훈훈해지듯이 삶에도 반항정신이 필요합니다.
운명으로 치부하고 주저앉기보다 일어나 반항하는 투쟁이야말로 삶을 더욱 값지게 합니다.
이제 겨울이니 봄이 멀지 않듯이, 마음의 겨울에도 분명 머지않아 봄이 찾아올 테니까요.
(서강대교수·영문학)

*양주동님은 끝구절을 다음과 같이 번역했지요.
"겨울이 오면 봄이 어이 까마득하리."


[불문학과 학생의 리포트]
생략된 부분 있나 싶어 이건 내가 돈주고 산 겁니다.

서풍부 Ode to the West Wind

*전5연중 위의 인용부분은 제5연의 끝부분이고

아래 인용부분은 제1연 전체를 실었습니다.

작품 전체는 이 블로그의 <가을바람/ODE TO THE WEST WIND>에 게재하였습니다.



O, wild West Wind, thou breath of Autumn's being,
Thou, from whose unseen presence the leaves dead
Are driven, like ghosts from an enchanter fleeing,

아, 사나운 서풍이여, 그대 가을의 숨결이여.
눈에 보이지 않는 그대가 나타나면, 죽은 잎사귀들은
마술사에게서 달아나는 유령처럼 쫓겨가누나.

Yellow, and black, and pale, and hectic red,
Pestilence-stricken multitudes: O, thou,
Who chariotest to their dark wintry bed

누렇고 깊고 파리하고 열병에 걸린 듯이 빨간,
전염병에 걸린 무리들, 아, 그대여, 날개 달린 종자를,
검은 겨울의 잠자리로 짐차(車)처럼 몰고 가서,

The winged seeds, where they lie cold and low,
Each like a corpse within its grave, until
Thine azure sister of the spring shall blow
Her clarion o'er the dreaming earth, and fill
(Driving sweet buds like flocks to feed in air)
With living hues and odours plain and hilI;

봄의 하늘색 동생이 꿈구는 대지 위에,
나팔을 불어
(향기로운 꽃봉오리를 몰아
양떼처럼 대기 속에 방목(放牧) 하면서)
산과 들을 싱싱한 색깔과 향기로
가득 채울 때까지, 무덤 속의 송장처럼
차갑고 납작하게 눕게 하는구나.

Wild Spirit, which art moving everywhere;
Destroyer and preserver; hear, O, hear!

사나운 정령(精靈)이여, 그대는 사방에서 움직이누나,
파괴자 겸 보존자여, 들으라, 아, 들으라!


조용필, 그 겨울의 찻집

http://yangk24.woto.net/chajip/chajip.htm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