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山羗偷官庫喻

8.스스로 붙잡힌 도적

過去之世有一山羗,偷王庫物而遠逃走。

爾時國王遣人四出推尋捕得,將至王邊。

王即責其所得衣處,山羗答言:

「我衣乃是祖父之物。」

옛날 어떤 도적이 있었다.

그는 나라의 창고에서 물건을 훔쳐 멀리 도망갔다.

그러자 왕은 사방으로 병사를 파견하여 그를 잡아 왔다.

왕은 그가 입은 옷의 출처를 캐물었다.

그는 말하였다.

“이 옷은 우리 조부 때의 물건입니다.”

王遣著衣,實非山羗本所有故,不知著之,

應在手者著於腳上,應在腰者返著頭上。

王見賊已,集諸臣等共詳此事,而語之言:

왕은 그 옷을 다시 입어 보라고 하였다.

그러나 그 옷은 본래부터 그가 입던 옷이 아니었기 때문에

입을 줄을 몰랐다.

손에 있을 것을 다리에 끼고 허리에 있을 것을 머리에 썼다.

왕은 그것을 보고 대신들을 모아

그 일을 밝히기 위해 그에게 말하였다.

「若是汝之祖父已來所有衣者,應當解著,

云何顛倒用上為下?以不解故,

定知汝衣必是偷得,非汝舊物。」

“만일 그것이 너의 조부 때부터 내려온 옷이라면

입을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왜 위아래를 뒤바꾸는가. 입을 줄 모르는 것을 보면

확실히 그 옷은 도둑질한 것으로 너의 옛것이 아니다.”

借以為譬,

王者如佛,寶藏如法,

愚癡羗者猶如外道,

竊聽佛法著已法中以為自有,

이것을 비유한다면 이렇다.

왕은 부처님과 같고 보배 창고는 법과 같다.

또한 어리석은 도적은

저 외도들처럼 부처님 법을 훔쳐 듣고

그것이 자기들의 것이라 생각한다.

然不解故,

布置佛法迷亂上下,不知法相。

如彼山羗得王寶衣,

不識次第顛倒而著,亦復如是。

그러나 그것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을 펼 때에

아래위를 모르는 것처럼 법의 모양을 모른다.

그것은 마치 저 도적이 왕의 옷을 얻고도

그 입는 방법을 알지 못해 뒤바꾸어 입는 것과 같다.

'불교 불경 > 백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삼층 누각  (0) 2012.02.15
9.아버지 자랑  (0) 2012.02.07
7.재물 때문에 형이라 부른 남자  (0) 2012.02.07
6. 두 아들을 죽인 아버지  (0) 2012.02.05
5. 목마른 사람의 어리석음  (0) 2012.02.05


(七)認人為兄喻

7. 재물 때문에 형이라 부른 남자

昔有一人形容端正智慧具足,復多錢財,

舉世人間無不稱歎。時有愚人見其如此,

便言我兄。所以爾者,

彼有錢財須者則用之,是故為兄;

見其還債,言非我兄。

옛날 얼굴도 잘생기고 지혜로우며, 재물도 많은 사람이 있었다.

온 세상 사람들이 모두 그를 찬양하였다.

그 때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그를 ‘내 형님’이라고 불렀다.

그 까닭은 그에게 있는

많은 재물을 필요할 때에 얻어 쓰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자신이 재물을 얻어 쓸 필요가 없게 되자

그는 ‘내 형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傍人語言:「汝是愚人!

云何須財名他為兄?

及其債時復言非兄。」

옆의 사람이 그에게 말하였다.

“너는 어리석은 사람이다.

재물이 필요할 땐 그를 형으로 삼더니 필요 없게 되자

다시 형이 아니라고 말하다니.”

愚人答言:

「我以欲得彼之錢財認之為兄,實非是兄,

若其債時則稱非兄。」

그는 대답했다.

“나는 그의 재물을 얻기 위해 그를 형이라고 했지만

실제는 내 형이 아니기 때문에

얻어 쓸 재물이 필요 없게 되었을 때는

형이 아니라고 한다.”

人聞此語無不笑之。猶彼外道,

聞佛善語貪竊而用以為己有,

乃至傍人教使修行不肯修行,而作是言: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모두 그를 비웃었다.

그것은 마치 외도들이 부처님의 좋은 말씀을 듣고는

가만히 훔쳐다 자기 것으로 삼아 쓰다가

옆의 사람이 그대로 수행하라고 하면,

오히려 이렇게 말하는 것과 같다.

「為利養故,取彼佛語化道眾生,

而無實事,云何修行?」

“나는 이양(利養)을 위하여

저 부처의 말을 끌어와 중생을 교화하지만

실제의 사실이 아닌데 어떻게 그대로 수행하겠는가.”

猶向愚人為得財故言是我兄,

及其債時復言非兄,此亦如是。

그것은 마치 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을 얻기 위하여

남을 내 형이라 하다가 재물을 얻을 필요가 없게 되자

다시 형이 아니라고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불교 불경 > 백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아버지 자랑  (0) 2012.02.07
8.스스로 붙잡힌 도적  (0) 2012.02.07
6. 두 아들을 죽인 아버지  (0) 2012.02.05
5. 목마른 사람의 어리석음  (0) 2012.02.05
4. 거짓으로 죽은 여자  (0) 2012.02.05


(六)子死欲停置家中喻

6. 두 아들을 죽인 아버지

昔有愚人養育七子,一子先死。

時此愚人見子既死,

便欲停置於其家中,自欲棄去。

傍人見已而語之言:「生死道異,

當速莊嚴致於遠處而殯葬之,

云何得留自欲棄去?」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일곱 명의 아들을 길렀는데

첫째 아들이 먼저 죽었다.

그는 아들이 죽은 것을 보고

그대로 집에 버려 둔 채 떠나려 하였다.

옆의 사람이 그에게 말하였다.

“살고 죽는 길이 다른데 빨리 먼 곳에 보내어

장사지내는 것이 마땅하거늘

왜 집에 버려 둔 채 떠나려 하는가.”

爾時愚人聞此語已即自思念:

「若不得留要當葬者,

須更殺一子停擔兩頭乃可勝致。」

어리석은 사람은 이 말을 듣고

가만히 생각하였다.

‘만약 집에 두지 않고 꼭 장사지내야 한다면

마땅히 아들 하나를 또 죽여

두 머리를 메고 가는 것이

보다 운치 있는 일일 것이다.’고.

於是便更殺其一子,

而檐負之遠葬林野。

時人見之,深生嗤笑怪未曾有。

그리하여 그는 곧 다른 아들 하나를 더 죽여

먼 숲에 두 아들을 장사지냈다.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매우 비방하며

일찍이 없었던 일이라고 괴상히 여겼다.

譬如比丘私犯一戒,情憚改悔,

默然覆藏自說清淨,或有知者即語之言:

「出家之人守持禁戒如護明珠不使缺落,

汝今云何違犯所受欲不懺悔?」

그것은 비유하면 마치 이렇다.

어떤 비구가 남몰래 계율을 범하고도 회개하기를 꺼려

잠자코 덮어두고는 스스로는 청정하다고 하였다.

그때 어떤 사람이 그것을 알고 그에게 말하였다.

“집을 떠난 사람은 계율을 마치 진주를 보호하듯하여

이지러짐이 없어야 하거늘

너는 왜 지금 계율을 범하고도 참회하지 않는가.”

犯戒者言:

「苟須懺者,更就犯之然後當出。」

그러자 그가 대답하였다.

“진실로 참회할 바에는

다시 한 번 더 범한 뒤에 참회하리라.”

遂便破戒多作不善,爾乃頓出。

如彼愚人一子既死又殺一子,

今此比丘亦復如是。

그리하여 그는 계율을 깨뜨리면서

선하지 않은 짓을 많이 하고서야

비로소 남에게 알렸다.

그것은 마치 저 어리석은 사람이 한 아들이 죽으니

또 한 아들을 죽이는 것과 같은 것이다.


(五)渴見水喻

5. 목마른 사람의 어리석음

過去有人,癡無智慧,極渴須水,

見熱時焰謂為是水,即便逐走至辛頭河,

既至河所對視不飲。

옛날 미련한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리석어 지혜가 없었다.

어느 날 그는 매우 목이 말라 물을 찾았다.

더운 때 강물 위의 아지랑이를 보고는 그것을 물이라 생각하고

곧 신두강으로 달려갔다.

그러나 막상 강에 이르러서

그는 바라만 볼 뿐 도무지 물을 마시려고 하지 않았다.

傍人語言:

「汝患渴逐水,今至水所何故不飲?」

그러자 옆 사람이 말했다.

“너는 몹시 목이 말라 물을 찾더니

지금 강에 왔는데 왜 물을 마시지 않는가.”

愚人答言:

「君可飲盡,我當飲之,

此水極多俱不可盡,是故不飲。」

爾時眾人聞其此語,皆大嗤笑。

그가 대답했다.

“그대가 다 마시고 나면 내가 마시겠다.

이 물이 너무 많아

한꺼번에 다 마실 수 없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모두 크게 비웃었다.

譬如外道僻取其理,

以己不能具持佛戒,遂便不受,

致使將來無得道分、流轉生死,

그것은 비유하면 이렇다.

편벽된 외도들이

자기는 부처님 계율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받으려 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도를 얻지 못하고

생사에 떠돌게 되는 것과 같다.

若彼愚人見水不飲為時所笑,亦復如是。

저 어리석은 사람이 물을 보고도 마시지 않아

사람들의 비웃음을 사는 것도 그와 같은 것이다.

'불교 불경 > 백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재물 때문에 형이라 부른 남자  (0) 2012.02.07
6. 두 아들을 죽인 아버지  (0) 2012.02.05
4. 거짓으로 죽은 여자  (0) 2012.02.05
3. 배[梨]에 맞아 상처 난 머리  (0) 2012.01.19
2. 말라 버린 소젖  (0) 2012.01.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