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十四章
[原文]

视而不见,名曰夷①;听之不闻,名曰希②;搏之不得,名曰微③。此三者不可致诘④,故混而为一⑤。其上不徼⑥,其下不昧⑦,绳绳兮⑧不可名,复归于无物⑨。是谓无状之状,无物之象,是谓惚恍⑩。迎之不见其首,随之不见其后。执古之道,以御今之有⑾。能知古始,是谓道纪⑿。

보려하여도 보이지 않아 이를 어렴풋하다고 하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아 이를 흐릿하다고 하고,
잡으려 해도 얻을 수 없어 이를 희미하다고 한다.
이 세 가지는 따져 물을 수 없는 것이라, 뒤섞여 하나이다.

그 위는 밝지 않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않다.
끝없이 이어져 구분할 수 없고,
존재 이전으로 다시 돌아간다.

이를 형상없는 형상이라 부르고,
실체없는 모양이라 부르니,
그저 황홀하다 한다.
맞이해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따라가도 그 꼬리를 볼 수 없다.

옛날의 도를 얻어 지금의 일을 다스리니,
도의 시작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도의 실마리라 부른다.

보려하여도 보이지 않아 이를 어렴풋하다고 하고,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아 이를 흐릿하다고 하고,
잡으려 해도 얻을 수 없어 이를 희미하다고 한다.
이 세가지는 따져 물을 수 없는 것이라, 뒤섞여 하나이다.

그 위는 밝지 않고,
그 아래는 어둡지 않다.
끝없이 이어져 구분할 수 없고,
존재 이전으로 다시 돌아간다.

이를 형상없는 형상이라 부르고,
실체없는 모양이라 부르니,
그저 황홀하다 한다.
맞이해도 그 머리를 볼 수 없고,
따라가도 그 꼬리를 볼 수 없다.

옛날의 도를 얻어 지금의 일을 다스리니,
도의 시작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도의 실마리라 부른다.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摶之不得 名曰微。
此三者不可致詰,故混而為一。

其上不皦,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
是謂惚恍。
迎之不見其首,
隨之不見其後。

執古之道以御今之有,
能知古始,是謂道紀。

[译文]

看它看不见,把它叫做“夷”;听它听不到,把它叫做“希”;摸它摸不到,把它叫做“微”。这三者的形状无从追究,它们原本就浑然而为一。它的上面既不显得光明亮堂;它的下面也不显得阴暗晦涩,无头无绪、延绵不绝却又不可称名,一切运动都又回复到无形无象的状态。这就是没有形状的形状,不见物体的形象,这就是“惚恍”。迎着它,看不见它的前头,跟着它,也看不见它的后头。把握着早已存在的“道”,来驾驭现实存在的具体事物。能认识、了解宇宙的初始,这就叫做认识“道”的规律。

 

[注释]

①夷:无色。

②希:无声。

③微:无形。以上夷、希、微三个名词都是用来形容人的感官无法把握住"道"。这三个名词都是幽而不显的意思。

④致诘:诘,音ji(阳平),意为追问、究问、反问。致诘意为思议。

⑤一:本章的一指"道"。

⑥徼:音jiao(上声)。清白、清晰、光明之意。

⑦昧:阴暗。

⑧绳绳:不清楚、纷芸不绝。

⑨无物:无形状的物,即"道"。

⑩惚恍:若有若无,闪烁不定。

⑾有:指具体事物。

⑿古始:宇宙的原始,或"道"的初始。

⒀道纪:"道"的纲纪,即"道"的规律。

 

[延伸阅读1]王弼《道德经注》

视之不见名曰夷,听之不闻名曰希,搏之不得名曰微。此三者,不可致诘,故混而为一。
无状无象,无声无响,故能无所不通,无所不往。不得而知,更以我耳目体不知为名,故不可致诘,混而为一也。

其上不皦,其下不昧。绳绳不可名,复归於无物。是谓无状之状,无物之象,

欲言无邪,而物由以成;欲言有邪,而不见其形。故曰无状之状,无物之象也。

是谓惚恍。
不可得而定也。


迎之不见其首,随之不见其后,执古之道,以御今之有。

有,有其事。

能知古始,是谓道纪。
无形无名者,万物之宗也。虽今古不同,时移俗易,故莫不由乎此,以成其治者也。故可执古之道,以御今之有。上古虽远,其道存焉,故虽在今,可以知古始也。

 

[延伸阅读2]苏辙《老子解》

視之不見名曰夷,聽之不聞名曰希,搏之不得名曰微。此三者,不可致請,故復混而為一。
視之而見者,色也,所以見色者,不可見也。聽之而聞者,聲也。所以聞聲者,不可聞也。搏之而得者,觸也,所以得觸者,不可得也。此三者,雖有智者莫能詰也,要必混而歸於一,而後可爾。所謂一者,性也。三者,性之用也。人始有性而已,及其與物構,然後分裂四出,為視為聽為觸,日用而不知反其本,非復混而為一,則日遠矣。若推而廣之,則佛氏所謂六入皆然矣。《首楞嚴》有云:反流全一,六用不行。此之謂也。

其上不繳,其下不昧。
物之有形者,皆麗於陰陽,故上皦下昧,不可逃也。道雖在上而不皦,雖在下而不昧,不可以形數推也。

繩繩不可名,復歸於無物。
繩繩,運而不絕也。人見其運而不絕,則以為有物矣,不知其卒歸於無也。

是謂無狀之狀,無象之象,是謂惚恍。
狀,其著也。象,其微也。無狀之狀,無象之象,皆非無也。有無不可名,故謂之惚恍。

迎之不見其首,隨之不見其後。
道無所不在,故無前後可見。

執古之道以御今之有,能知古始,是謂道紀。
古者,物之所從生也。有者物之今,則無者物之古也。執其所從生,則進退疾徐在我矣。

 

'중국고전 > 老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道德經 16章  (0) 2019.08.24
老子 道德經 15章  (0) 2019.08.24
老子 道德經 13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2章  (0) 2019.08.22
老子 道德經 11章  (0) 2019.08.22

 

第十三章
[原文]

宠辱若惊①,贵大患若身②。

何谓宠辱若惊?

宠为下③,

得之若惊,失之若惊,

是谓宠辱若惊。

何谓贵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为吾有身,

及吾无身,吾有何患④?

故贵以身为天下,若可寄天下;

爱以身为天下,若可托天下⑤。

 

사람들은 욕을 놀랄 정도로 받드는 구나.
그러한 큰 걱정거리를 자기 몸처럼 여기는 구나.

욕을 놀랄 정도로 받든다는 말은 무엇인가?
욕이라는 것은 하찮은 것인데
그것을 얻어도 놀란듯 하고 그것을 잃어도 놀란듯 한다.
이것이 바로 ‘욕을 놀랄 정도로 받든다.’는 말이다.

'큰 걱정거리를 자기 몸처럼 여긴다.'는 말은 무엇인가?
내가 큰 어려움이 있는 까닭은 몸을 가지고있기 때문이다.
내게 몸이 없다면 내게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천하를 위하는 것보다 몸을 더 아낀다면 그에게 천하를 맡길 수 있다.
그러나 제 몸을 바쳐 천하 위하기를 좋아한다면 어찌 천하를 맡길 수 있겠는가?

사람들은 욕을 놀랄 정도로 받드는 구나.
그러한 큰 걱정거리를 자기 몸처럼 여기는 구나.

욕을 놀랄 정도로 받든다는 말은 무엇인가?
욕이라는 것은 하찮은 것인데
그것을 얻어도 놀란듯 하고 그것을 잃어도 놀란듯 한다.
이것이 바로 ‘욕을 놀랄 정도로 받든다.’는 말이다.

'큰 걱정거리를 자기 몸처럼 여긴다.'는 말은 무엇인가?
내가 큰 어려움이 있는 까닭은 몸을 가지고있기 때문이다.
내게 몸이 없다면 내게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그러므로 천하를 위하는 것보다 몸을 더 아낀다면 그에게 천하를 맡길 수 있다.
그러나 제 몸을 바쳐 천하 위하기를 좋아한다면 어찌 천하를 맡길 수 있겠는가?

人寵辱若驚,
貴大患若身,

何謂寵辱若驚,
寵爲下,
得之若驚,失之若驚,
是謂寵辱若驚,

何謂貴大患若身,
吾所以有大患者, 爲吾有身,
及吾無身, 吾有何患
故貴以身於爲天下, 若可寄天下,
愛以身爲天下, 如可以寄天下?

 

[译文]

受到宠爱和受到侮辱都好像受到惊恐,把荣辱这样的大患看得与自身生命一样珍贵。什么叫做得宠和受辱都感到惊慌失措?得宠是卑下的,得到宠爱感到格外惊喜,失去宠爱则令人惊慌不安。这就叫做得宠和受辱都感到惊恐。什么叫做重视大患像重视自身生命一样?我之所以有大患,是因为我有身体;如果我没有身体,我还会有什么祸患呢?所以,珍贵自己的身体是为了治理天下,天下就可以托付他;爱惜自己的身体是为了治理天下,天下就可以依靠他了。

 

[注释]

①宠辱:荣宠和侮辱。

②贵大患若身:贵,珍贵、重视。重视大患就像珍贵自己的身体一样。

③宠为下:受到宠爱是光荣的、下等的。

④及吾无身,吾有何患:意为如果我没有身体,有什么大患可言呢?

⑤此句意为以贵身的态度去为天下,才可以把天下托付给他;以爱身的态度去为天下,才可以把天下托付给他。

 

[延伸阅读1]王弼《道德经注》

宠辱若惊,贵大患若身。何谓宠辱若惊?宠为下,得之若惊,失之若惊,是谓宠辱若惊。
宠必有辱,荣必有患,惊辱等#4,荣患同也。为下得宠辱荣患若惊,则不足以乱天下也。

何谓贵大患若身?
大患,荣宠之属也。生之厚,又入死之地,故谓之大患也。人迷之於荣宠,返之於身,故曰大患若身也。

吾所以有大患者,为吾有身,

由有其身也。

及吾无身,

归之自然也。

吾有何患?故贵以身为天下,若可寄天下;

无以易其身,故曰贵也。如此,乃可以托天下也。

爱以身为天下,若可托天下。
无物可以损其身,故曰爱也。如此,乃可以寄天下也。不以宠辱荣患损易其身,然后乃可以天下付之也。

 

[延伸阅读2]苏辙《老子解》

寵辱若驚,貴大患若身。
古之達人,驚寵如驚辱,知寵之為辱先也;貴身如貴大患,知身之為患本也。是以遺寵而辱不及,亡心身而患不至。

何謂寵辱?寵為下,得之若驚,失之若驚,是謂寵辱若驚。

所謂寵辱非兩物也,辱生於寵而世不悟,以寵為上,而以辱為下者皆是也。若知辱生於寵,則寵顧為下矣。故古之達人,得寵若驚,失寵若驚,未嘗安寵而驚辱也。所謂若驚者,非實驚也,若驚而已。

何謂貴大患若身?吾所以有大患者,為吾有身,及吾無身,吾有何患?
貴之為言難也。有身大患之本,而世之士難於履大患,不難於有其身。故聖人因其難於履患,而教之以難於有身,知有身之為難,而大患去矣。性之於人,生不能加,死不能損,其大可以充塞天地,其精可以蹈水火、入金石,凡物莫能息也。然天下常息亡失本性,而惟身之為見,愛身之情篤,而物始能息之矣。生死疾病之變攻之於內,寵辱得失之交櫻之於外,未有一物而非患也。夫惟達人知性之無壞,而身之非實,忽然忘身,而天下之息盡去,然後可以涉世而無累矣。

故貴以身為天下,若可寄天下;愛以身為天下,若可託天下。
人之所以騖於權利、溺於富貴、犯難而不悔者,凡將以厚其身耳。今也祿之以天下,而重以身任之,則其忘身也至矣。如此而以天下予之,雖天下之大,不能患之矣。

 

 

'중국고전 > 老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道德經 15章  (0) 2019.08.24
老子 道德經 14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2章  (0) 2019.08.22
老子 道德經 11章  (0) 2019.08.22
老子 道德經 10章  (0) 2019.08.21

 

第十二章
[原文]

五色①令人目盲②;

五音③令人耳聋④;

五味⑤令人口爽⑥;

驰骋⑦畋猎⑧,令人心发狂⑨;

难得之货,令人行妨⑩;

是以圣人为腹不为目⑾,

故去彼取此⑿。

화려한 치장은 사람의 눈을 멀게하고,
달콤한 음악은 사람의 귀를 멀게하며,
산해진미는 사람의 입을 상하게 하고,
흥분된 사냥은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하며,
금은보화는 사람의 행동을 어지럽게 한다.

이 때문에 성인은 배를 위하지 눈을 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눈을 치우고 배를 취한다.

화려한 치장은 사람의 눈을 멀게하고,
달콤한 음악은 사람의 귀를 멀게하며,
산해진미는 사람의 입을 상하게 하고,
흥분된 사냥은 사람의 마음을 미치게 하며,
금은보화는 사람의 행동을 어지럽게 한다.

이 때문에 성인은 배를 위하지 눈을 위하지 않는다.
따라서 눈을 치우고 배를 취한다.

五色令人目盲,
五音令人耳聾,
五味令人口爽,
馳騁畋獵令人心發狂,
難得之貨令人行妨。

是以聖人為腹不為目,
故去彼取此。

 

[译文]

缤纷的色彩,使人眼花缭乱;嘈杂的音调,使人听觉失灵;丰盛的食物,使人舌不知味;纵情狩猎,使人心情放荡发狂;稀有的物品,使人行为不轨。因此,圣人但求吃饱肚子而不追逐声色之娱,所以摒弃物欲的诱惑而保持安定知足的生活方式。

 

[注释]

①五色:指青、黄、赤、白、黑。此指色彩多样。

②目盲:比喻眼花缭乱。

③五音:指宫、商、角、徵、羽。这里指多种多样的音乐声。

④耳聋:比喻听觉不灵敏,分不清五音。

⑤五味:指酸、苦、甘、辛、咸,这里指多种多样的美味。

⑥口爽:意思是味觉失灵,生了口病。古代以"爽"为口病的专用名词。

⑦驰骋:纵横奔走,比喻纵情放荡。

⑧畋猎:打猎获取动物。畋,音tian,打猎的意思。

⑨心发狂:心旌放荡而不可制止。

⑩行妨:伤害操行。妨,妨害、伤害。

⑾为腹不为目:只求温饱安宁,而不为纵情声色之娱。"腹"在这里代表一种简朴宁静的生活方式;"目"代表一种巧伪多欲的生活方式。

⑿去彼取此:摒弃物欲的诱惑,而保持安定知足的生活。"彼"指"为目"的生活;"此"指"为腹"的生活。

 

[延伸阅读1]王弼《道德经注》

五色令人目盲,五音令人耳聋,五味令人口爽,驰骋田猎令人心发狂,
爽,差失也,失口之用,故谓之爽。夫耳、目、口、心皆顺其性也,不以顺性命反以伤自然,故曰盲、聋、爽,狂也。

难得之货令人行妨。

难得之货,塞人正路,故令人行妨也。

是以圣人为腹不为目,故去彼取此。
为腹者,以物养己。为目者,以物役己。故圣人不为目也。

 

[延伸阅读2]苏辙《老子解》

五色令人目盲,五音令人耳聾,五味令人口爽,
視色聽音嘗味,其本皆出於性,方其有性而未有物也,至矣。及目綠五色,耳綠五音,口綠五味,奪於所綠而忘其本,則雖見而實盲,雖聞而實聾,雖嘗而實爽也。

馳騁田獵令人心發狂,難得之貨令人行妨。是以聖人為腹不為目,故去彼取此。
聖人視色聽音嘗味,皆與人同,至於馳騁田獵,未嘗不為,而難得之貨未嘗不用也。然人皆以為病,而聖人獨以為福,何也?聖人為腹而眾人為目,目責而不能受,腹受而未嘗責故也。彼物之自外至者也,此性之凝於內者也。

 

'중국고전 > 老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道德經 14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3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1章  (0) 2019.08.22
老子 道德經 10章  (0) 2019.08.21
老子 道德經 9章  (0) 2019.08.21

 

第十一章
[原文]

三十辐①共一毂②,当其无,有车之用③。

埏埴以为器④,当其无,有器之用。

凿户牖以为室⑤,当其无,有室之用。故

有之以为利,无之以为用⑥。

서른 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통에 모여있으니
그 없음에 쓰임이 있다.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니
그 없음에 그릇의 쓰임이 있다.
문과 창을 뚫어 집을 만드니
그 없음에 집의 쓰임이 있다.

따라서 있음의 이로움은 없음의 쓰임 때문이다.

서른 개의 바퀴살이 하나의 통에 모여있으니
그 없음에 쓰임이 있다.
진흙을 이겨 그릇을 만드니
그 없음에 그릇의 쓰임이 있다.
문과 창을 뚫어 집을 만드니
그 없음에 집의 쓰임이 있다.

따라서 있음의 이로움은 없음의 쓰임때문이다.

三十輻共一轂,
當其無,有車之用。
埏埴以爲器,
當其無,有器之用。
鑿戶牖以爲室,
當其無。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無之以爲用。

 

[译文]

三十根辐条汇集到一根毂中的孔洞当中,有了车毂中空的地方,才有车的作用。揉和陶土做成器皿,有了器具中空的地方,才有器皿的作用。开凿门窗建造房屋,有了门窗四壁内的空虚部分,才有房屋的作用。所以,“有”给人便利,“无”发挥了它的作用。

 

[注释]

①辐:车轮中连接轴心和轮圈的木条,古时代的车轮由三十根辐条所构成。此数取法于每月三十日的历次。

②毂:音gu,是车轮中心的木制圆圈,中有圆孔,即插轴的地方。

③当其无,有车之用:有了车毂中空的地方,才有车的作用。"无"指毂的中间空的地方。

④埏植:埏,和;植,土。即和陶土做成供人饮食使用的器皿。

⑤户牖:门窗。

⑥有之以为利,无之以为用:"有"给人便利,"无"也发挥了作用。

 

[延伸阅读1]王弼《道德经注》

三十辐共一毂,当其无,有车之用;
毂所以能统三十辐者,无也。以其无能受物之故,故能以实统众也。

埏埴以为器,当其无,有器之用;凿户牖以为室,当其无,有室之用。故有之以为利,无之以为用。
木埴壁所以成三者,而皆以无为用也。言无者,有之所以为利,皆赖无以为用也。

 

[延伸阅读2]苏辙《老子解》

三十輻共一轂,當其無,有車之用;埏埴以為器,當其無,有器之用;鑿戶牖以為室,當其無,有室之用。故有之以為利,無之以為用。
竭知盡物以為器,而器之用常在無有中。非有則無無以致其用#1,非無則有有以施其利#2,是以聖人常無以觀其妙,常有以觀其徹。知兩者之為一而不可分,則至矣。

 

'중국고전 > 老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子 道德經 13章  (0) 2019.08.23
老子 道德經 12章  (0) 2019.08.22
老子 道德經 10章  (0) 2019.08.21
老子 道德經 9章  (0) 2019.08.21
老子 道德經 8章  (0) 2019.08.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