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수보부(受報部)[其№.1]

[0318b09]

依賢愚經云。

『현우경(賢愚經)』에서 말하였다.

爾時 有諸估客欲詣他國。

其諸商人共將一狗。至於中路。眾賈頓息。

伺人不看。狗便盜肉。眾人瞋打 而折其脚 棄野而去。

"그 때 여러 상인(商人)들이 다른 나라로 가고자 하였다.

그들은 개 한 마리를 데리고 가다가 길에서 쉬고 있었다.

지키는 사람이 보지 않는 사이에 그 개가 고기를 훔쳐 먹자,

사람들은 화를 내며 그 개를 때려 다리를 부러뜨리고는 들에 버리고 떠나갔다.

時舍利弗天眼見狗。癵躄飢餓 困篤垂死。

著衣持鉢 入城乞食。得已持出 飛至狗所。

慈心憐愍 以食施與。狗得其食活命歡喜。

即為狗說微妙之法。

狗便命終。生舍衛國婆羅門家。

그 때 사리불이 천안(天眼)으로 그 개를 보니

쩔룩거리면서 몹시 배가 고파 거의 죽게 되었다.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성내에 들어가 걸식하여

음식을 얻어 가지고 나와, 그 개가 있는 곳으로 날아가서

인자한 마음으로 가엾이 여겨 개에게 밥을 주었다.

개는 그것을 먹고 살아나 매우 기뻐하였다.

사리불은 곧 개를 위해 미묘한 법을 일러 주었다.

개는 곧 목숨을 마치고 사위국의 어느 바라문집 아들로 태어났다.

後舍利弗獨行乞食。婆羅門見。

而問言。尊者獨行無沙彌耶。

舍利弗言。我無沙彌。聞卿有子。當用見與。

그 뒤에 사리불이 혼자 그 집에 가서 걸식했다.

바라문이 보고 물었다.

'존자님께서는 혼자 다니시는데, 사미(沙彌)가 없습니까?'

사리불이 말하였다.

'나는 사미가 없습니다.

내가 들으니, 당신에게 아들이 있다는데,

그 아들을 내게 주겠습니까?'

婆羅門言我有一子。字曰均提。

年既孤幼。不任使命。

比前長大當用相與。

바라문은 말했다.

'제게 한 아들이 있는데 이름이 균제(均提)라 합니다.

그러나 아직 나이가 어려 아무 것도 시킬 수 없습니다.

다음에 더 자라면 드리겠습니다.'

後至七歲。以其兒付令使出家。

便受其兒。將至祇桓聽為沙彌。漸為說法。

心開意解 得阿羅漢果。功德悉備。

그 뒤 아이의 나이가 7세가 되자

바라문은 아이를 출가시켰다.

사리불은 아이를 얻어

기환정사(祇桓精舍:기원정사)로 데리고 가 사미로 만들고

차근차근 설법했다.

아이는 마음이 열리고 뜻이 풀려

아라한과를 얻고는 공덕을 다 갖추었다.

均提沙彌 始得道已。自以智力觀

過去世本造何行 遭聖獲果。

균제 사미는 비로소 도를 얻은 뒤에

그 지혜의 힘으로 지난 세상에 어떤 업을 지었기에

성인을 만나 도를 얻게 되었는가를 관찰해 보았다.

觀見前身作一餓狗。蒙和上恩 今得人身

并獲道果。欣心內發而自念言。

我蒙師恩 得脫諸苦。今當盡身供給所須。

求作沙彌 不受大戒。

그래서 전생에 굶주린 개로 있다가 화상(和尙)의 은혜를 입고,

지금은 사람의 몸을 얻었을 뿐 아니라 또 도까지 얻은 것을 알고는

마음 속에 기쁨이 생겨 혼자 생각했다.

'나는 스님의 은혜를 입고 온갖 고통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이제 내 몸이 다할 때까지 모든 것을 바치리라.'

그리하여 계속 사미로 지내면서 대계(大戒)를 받지 않았다.

佛告阿難。

부처님께서 아난(阿難)에게 말씀하셨다.

由過去世 迦葉佛時。均提出家少年

聲好。善巧讚唄 人所樂聽。

有一老僧 音聲濁鈍 不能經唄。

已得羅漢功德皆具。

年少比丘 自恃好聲。見而訶之 聲如狗吠。

'지난 세상 가섭부처님 때에

균제라는 출가한 소년이 있었는데,

음성이 매우 좋고 찬송하는 노래를 잘 불러

사람들이 다 즐겨 들었다.

그 때 어떤 노승(老僧)은 음성이 둔탁해서

노래는 잘 부르지 못했으나,

이미 아라한이 되어 공덕을 다 갖추었었다.

젊은 비구(균제)는 자기의 좋은 음성을 믿고

그 노승의 음성을 꾸짖어 개짖는 소리 같다고 했다.

時老比丘 便呼年少。

汝識我不。我得羅漢 儀式悉具。

年少聞說。心驚毛竪

惶怖自責。即於其前 懺悔過咎。

由其惡言五百世中常受狗身。

由其出家 持淨戒故。今得見我蒙得解脫。

그러자 그 노승이 소년을 불러 말했다.

'너는 나를 아느냐? 나는 아라한으로서 의식(儀式)을 다 갖추었다.'

소년은 이 말을 듣고 매우 놀라 몸의 털이 다 곤두섰고,

스스로 꾸짖고는 곧 그 앞에서 허물을 참회했다.

그 악언으로 말미암아 그는 5백 생 동안 항상 개의 몸을 받다가,

출가하여 깨끗한 계율을 지켰기 때문에

지금 나를 만나 해탈을 얻게 되었느니라.'"

又智度論云。

또 『지도론』에서 말하였다.

愚癡多故。受蚯蚓蜣蜋 螻蟻鶩角鵄之屬 諸騃蟲鳥。

"우치가 많기 때문에 지렁이·쇠똥구리·

개미·집오리·뿔올빼미 무리와

모든 우치한 벌레나 새의 몸을 받는다.

龍樹菩薩

或云。婬欲情多故 欲受鶩身。

或云。愚癡多故 亦受鶩身。

此二鶩身 為同為異。

그런데 용수(龍樹)보살은,

혹은 '음욕이 많기 때문에 집오리의 몸을 받는다' 하였고,

또 혹은 '우치가 많아도 집오리의 몸을 받는다'고 했으니,

이 두 집오리의 몸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答謂習欲生者 是水鳥鳧鴨之流。

習癡生者 是陸鳥鵄梟之類。

음욕을 익혀 생긴 것은 오리 따위의 물새요,

우치를 익혀 생긴 것은 올빼미 따위의 물새이다.

或晝見 夜亦見。由欲生故 恒多連飛。

並汎鳥之類。

或夜見晝不見。由癡生故 恒多夜游伺。

혹은 낮에도 보고 밤에도 보는 것은

음욕에서 생겼기 때문이니, 항상 나란히 나는

물에 뜨는 새 등이 그들이다.

혹은 밤에는 보나 낮에는 보지 못하는 것은

우치에서 생겼기 때문에 항상 밤에만 놀면서 엿보는 것이다.

鼠鴟亦二種。

習欲生者是老鴟。則晝見夜不見。

習癡生者是角鴟。則夜見晝不見。

서치(鼠鴟)에도 두 종류가 있다.

음욕에서 생긴 것은 늙은 올빼미이니

낮에는 보나 밤에는 보지 못하고,

우치에서 생긴 것은 뿔올빼미이니

밤에는 보나 낮에는 보지 못한다."

'불교 불경 > 법원주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생부 12  (0) 2011.11.24
축생부 11  (0) 2011.11.24
축생부 09  (0) 2011.11.17
축생부 08  (0) 2011.11.17
축생부 07  (0) 2011.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