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어별(無語別)>
ㅡ 임제(林悌)
十五越溪女
(십오월계녀) 십오세 꽃다운 아가씨
羞人無語別
(수인무어별) 남 부끄러워 말도 못하고 이별하네.
歸來掩重門
(귀래엄중문) 돌아와 문을 겹겹이 닫아 걸고
泣向梨花月
(읍향이화월) 배꽃처럼 하얀 달을 바라보며 눈물 흘리네.
[운영자 주]
서시(西施)는 중국 월(越) 나라 악야계(若耶溪) 출생,
월녀오희(越女吳姬). 월과 오나라는 미녀 배출국.
https://kydong77.tistory.com/18428
265.閨怨(규원)-王昌齡(왕창령)
https://blog.naver.com/swings81/220960576444
[출처] [당시삼백수]閨怨(규원:아내의 원망) - 王昌齡(왕창령)|작성자 swings81
http://blog.daum.net/hmp5412/15523547
http://blog.naver.com/wonpa5/10137446136
[출처] 許筠 /학산초담(鶴山樵談) 1|작성자 모르니 어이리
白湖(백호) 林悌(임제) 선생의 규원시(閨怨詩)를 소개합니다.
□無語別(무어별) 十五越溪女(십오월계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95194&cid=60533&categoryId=60533
1) 양반가사의 표기문자가 국한문혼용체이며 한자를 즐겨 쓰는 데 비해 규방가사는 한글을 주로 쓰고 있다.
2) 양반가사의 명칭은 ‘가사(歌辭 · 歌詞)’ · ‘별곡(別曲)’ · ‘곡(曲)’ · ‘사(詞)’ · ‘가(歌)’ 등으로 다양하고 제목 또한 이에 준하는 데 비해 규방가사의 명칭은 ‘가사’ 또는 ‘두루마리’이며, 제목은 거의가 ’○○○가라’는 접미사 ‘라’를 붙인다.
3) 양반가사의 구성은 입체적인 면과 단일형을 취하는 데 비해 규방가사의 구성은 평면적인 면과 복합형을 많이 보인다.
4) 양반가사는 4음보에 3 · 4조가 우세한 것도 있지만 규방가사는 4음보에 4 · 4조가 정제일관(整齊一貫)된 것이 우세하다.
5) 양반가사는 민요형식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규방가사는 민요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6) 양반가사는 소설 · 내간(内簡) · 제문을 흡수하지 않았으나 규방가사는 이들을 흡수하였다. 내간 · 제문 등도 4 · 4조를 읊는 형식이 바로 그것인데 특히 제문의 경우는 서두의 항용구인 ‘유세차……감소고우’까지는 산문의 형식을 취하나 그 다음부터 분문에 가서는 4 · 4조로 된 가사형식을 원용하고 말미에 ‘상향’ 두 자만 덧붙이는 형식을 취하였다.
7) 양반가사의 많은 작품들이 시조의 종장형식을 답습하고 서두구(序頭句)에는 전형이 없으며 발문이 없는 데 비해, 규방가사는 서두구와 종결형식과 발문에 독특한 것이 있다. 먼저 서두구를 보면 ‘어와세상 사람들아 이내말삼 드러보소.’와 같은 호소청유형, ‘어화 애달할 샤이 내 신세 애달할샤 이 내 신세 애달할샤 사 건곤부모 졍한 후의 녀 되엿도다.”와 같은 여신인과형(女身因果形), ‘이 때는 어느 땐고 고 삼월춘풍 조흔 때라.’와 같은 계절형. ‘산아산아 일월산아 영남 에 솟은 산아.’와 같은 민요형 등의 전형을 보인다. 다음으로 종결형식은 4 · 4조 그대로 연장되다가 끝나며, 불교적인 것은 ‘나무아미타불’로 끝난다. 전형적인 규방가사들의 끝에는 일정한 형식의 발문이 붙어 있다.
8) 그 체제와 보존형식도 양반가사와는 달리 두루마리 형식으로 필사하여 둥글둥글하게 말아두는 체제를 취하고 있다.
규방가사의 내용은 각양각색이나, 그 주제와 소재는 거의가 양반부녀들의 생활주변에서 얻은 것이다. 엄격한 유교적 윤리관에 입각해서 주제와 소재를 택하였기에 교훈적인 것이 원류를 이루며, 속박된 여성생활의 고민과 정서를 호소하는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문물제도 · 인심 · 풍속, 자연에의 관조, 가문의 기쁨, 놀이의 행락 등이 아류를 이룬다.
내용을 유형별로 나누어보면
1) 시집갈 또는 시집간 딸이 지켜야 할 내용을 노래한 <계녀가> · <규행가>와 같은 계녀교훈류(誡女敎訓類),
2) 여자인 자신의 주변환경을 탄식한 <여탄가> · <여자탄식가>와 같은 신변탄식류,
3) 부모를 생각하고 그리는 <사친가> · <상사몽>과 같은 사친연모류,
4) 이별한 임을 생각하고 느낀 바를 노래한 <사녀가> · <붕우사모가>와 같은 상사소회류(),
5) 놀이의 풍류를 노래한 <화젼가> · <화슈가>와 같은 풍류소영류(風流嘯咏類>,
6) 친척 · 가문의 자랑을 노래한 <향원행락가(香園行樂歌)>와 같은 가문세덕류(家門世德類),
7) 부모의 장수와 가정의 영화를 축원하고 송축한 <슈신가> · <수연연하찬문>과 같은 축원송도류,
8) 죽음을 슬퍼하거나 그에 따른 제사를 묘사한 <인산가> · <로젼제문>과 같은 제전애도류(祭典哀悼類)>,
9) 아름다운 곳을 찬미한 <순행가(巡行歌)> · <청량산가(清涼山歌)>와 같은 승지찬미류(勝地讃美類),
10) 은덕을 갚고자 하는 <인산가>와 같은 보은사덕류(報恩謝德類),
11) 인간세계를 동식물에 비유한 <화조가> · <화초가>와 같은 의인우화류,
12) 여행노정을 기록한 <부여노정기(扶餘路程記)>와 같은 노정기행류,
13) 선을 권하고 신앙을 권하는 <권독가> · <혜원가>와 같은 신앙권선류,
14) 매달마다 계절마다 행할 농사일과 풍속을 노래한 월령계절류(月令季節類),
15) 노동과 그 과정을 노래한 <보촌가> · <농부가>와 같은 노동서사류,
16) 언어유희를 노래한 언어유희류,
17) 소설을 규방가사화하거나 내간을 규방가사화한 <상장가사(上狀歌辭)> · <양귀비가>와 같은 소설내간류,
18) 한말의 개화와 계몽을 노래한 <긔교사)와 같은 개화계몽류,
19) 한문학을 번안하거나 역사를 노래한 <장한가(長恨歌)> · <긔완별곡>과 같은 번안영사류(飜案詠史類),
20) 남자가 노래한 것을 노래한 <망실애사(亡室哀詞)>와 같은 남요완상류(男謠玩賞類),
21) 기타 등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규방가사 [閨房歌辭]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957
1
'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약용, 老人一快事 2 (0) | 2020.11.14 |
---|---|
정약용, 老人一快事 1 (0) | 2020.11.14 |
홍대용 - 의산문답/ 조선이 지구의 중심이다 (0) | 2019.04.02 |
추사 김정희, 세한도(歲寒圖) 발문 (0) | 2018.11.12 |
천재의 광기 김시습 & 권필과 남효온의 한시 (0) | 2018.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