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유신로]

구토설화/ 삼국사기 김유신전 41

善德大王十一年壬寅 百濟敗大梁州

선덕대왕 11년 임인에 백제가 대량주를 격파하였다.

春秋公女子古陁炤娘從夫品釋死焉

그 때, 춘추공의 딸 고타소낭이 남편 품석을 따라 죽었다.

春秋恨之 欲請高句麗兵以報百濟之怨 王許之

춘추는 이를 한탄하며 고구려에 청병하여 백제에 대한 원수를 갚고자 하였다. 왕이 이를 허락하였다.

將行 謂庾信曰 吾與公同體 爲國股肱 今我若入彼見害 則公其無心乎

길을 떠나기 전에 춘추가 유신에게 말했다. "나와 공은 일심동체로서 나라의 기둥이오. 이번에 내가

만약 고구려에 들어가 불행한 일을 당한다면 공이 무심할 수 있겠오?"

庾信曰 公若往而不還 則僕之馬跡必踐於麗濟兩王之庭 苟不如此 將何面目以見國人乎

유신이 대답하였다. "공이 만일 돌아오지 못한다면 저의 말발굽이 반드시 고구려·백제 두 왕의 궁정을

짓밟을 것이오. 만약 이렇게 하지 못한다면 무슨 면목으로 백성들을 대하겠오?"

春秋感悅 與公互噬手指 歃血以盟曰

춘추가 감격하고 기뻐하여 공과 함께 서로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며 맹세하였다.

吾計日六旬乃還 若過此不來 則無再見之期矣

"내가 60일이면 돌아올 것이오. 만일 이 기한이 지나도록 오지 않는다면 다시 만날 기약이 없을 것이오."

遂相別後 庾信爲押梁州軍主

그들은 드디어 작별하였다. 그 뒤에 유신은 압량주 군주가 되었다.

春秋與訓信沙干 聘高句麗 行至代買縣 縣人豆斯支沙干 贈靑布三百步

춘추가 훈신 사간과 함께 고구려에 사절로 가는 도중 대매현에 도착하였다. 그 때 고을 사람 두사지

사간이 푸른 베 3백 보를 그에게 주었다.

旣入彼境 麗王遣太大對盧蓋金館之 燕饗有加 或告麗王曰

고구려 경내에 들어가니 고구려 왕이 태대대로 개금을 보내 객관을 정해주고 또한 연회를 열어 우대해

주었다. 어떤 사람이 고구려 왕에게 말했다.

新羅使者非庸人也 今來殆欲觀我形勢也 王其圖之 俾無後患

"신라 사자는 보통 사람이 아닙니다. 이번에 그가 온 것은 아마도 우리의 형세를 정탐하려는 것 같으니

왕께서는 잘 처리하시어 후환이 없게 하소서."

王欲橫問因其難對而辱之 謂曰 麻木峴與竹嶺本我國地 若不我還 則不得歸

왕은 춘추가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하여 그를 곤혹스럽게 하고자 하여 그에게 물었다.

"마목현과 죽령은 본래 우리 나라 땅이니 만약 이를 우리에게 돌려 주지 않는다면 돌아가지 못하리라."

春秋答曰 國家土地 非臣子所專 臣不敢聞命

춘추가 대답하였다. "국가의 영토는 신하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신은 감히 명령을 따를

수 없습니다."

王怒囚之 欲戮未果

왕이 분노하여 그를 가두고 죽이려 하다가 미처 죽이지 않고 있었다.

春秋以靑布三百步 密贈王之寵臣先道解

춘추는 푸른 베 3백 보를 왕의 총신 선도해에게 몰래 주었다.

道解以饌具來相飮 酒酣 戱語曰

도해가 음식을 준비해와서 함께 술을 마시고 취하자 농담으로 말했다.

子亦嘗聞龜兎之說乎

"그대도 일찌기 거북이와 토끼의 이야기를 들었을 것이오.

昔東海龍女病心 醫言 得兎肝合藥則可療也

옛날 동해 용왕의 딸이 심장에 병이 났는데,

의사가 '토끼의 간을 얻어 약에 섞어 먹으면 병을 고칠 수 있다'고 하였오.

然海中無兎 不奈之何

그러나 바다에는 토끼가 없으니 어찌할 수 없었오.

有一龜白龍王言 吾能得之

그 때 마침 거북 한 마리가 용왕에게 아뢰었다오. '제가 그것을 구할 수 있습니다.'

遂登陸見兎 言

그리고 거북이는 마침내 육지로 나와서 토끼를 보고 말했소.

海中有一島 淸泉白石 茂林佳菓 寒暑不能到 鷹隼不能侵

'바다에 섬이 하나 있는데, 거기에는 맑은 샘과 흰 돌이 있고 무성한 숲과 맛있는

과실이 있다. 추위와 더위도 없고, 맹금도 침범할 수 없다.

爾若得至 可以安居無患

네가 갈 수만 있다면 근심걱정 없이 편안히 살 수 있을 것이다.'

因負兎背上 游行二三里許

그리고 거북이는 토끼를 등에 업고 2∼3리쯤 헤엄쳐 갔다오.

龜顧謂兎曰 今龍女被病 須兎肝爲藥 故不憚勞 負爾來耳

그제서야 거북이가 토끼를 돌아보며 '지금 용왕의 딸이 병에 걸렸는데 토끼 간으로

약을 지어야 하기 때문에 이렇게 수고를 마다않고 너를 업고 오는 것이다.'라고 말했소.

兎曰 噫吾神明之後 能出五藏 洗而納之

이를 듣고 토끼가 말했다오. '아! 나는 천지신명의 후예인지라 오장을 꺼내어 씻어서

다시 넣을 수 있다.

日者小覺心煩 遂出肝心洗之 暫置巖石之底

일전에 속이 약간 불편한 듯하여 잠시 간과 심장을 꺼내어 씻은 후에 바위 밑에 두었다.

聞爾甘言徑來 肝尙在彼 何不廻歸取肝

그런데 너의 달콤한 말을 듣고 곧 바로 오는 바람에 간이 아직도 거기에 있으니,

어찌 돌아가서 간을 가지고 오지 않으리?

則汝得所求 吾雖無肝尙活 豈不兩相宜哉

그렇게 하면 너는 구하려는 약을 얻게 되고, 나는 간이 없더라도 살 수 있으니 어찌

둘이 서로 좋은 일이 아니랴?'

龜信之而還 纔上岸 兎脫入草中 謂龜曰

거북이 그 말을 곧이 듣고 돌아갔는데, 언덕에 오르자 마자 토끼가 풀 속으로 뛰어

들어가면서 거북에게 말했다오.

愚哉汝也 豈有無肝而生者乎

'어리석기도 하구나. 네놈은! 어찌 간이 없이 사는 놈이 있겠느냐?'

龜憫黙而退

거북은 이 말을 듣고 멍청하여 아무 말도 못하고 물러갔다는 말이 있다오."

春秋聞其言 喩其意 移書於王曰

춘추는 이 말을 듣고 그의 뜻을 알아 차렸다. 그는 왕에게 글을 보내 말했다.

二嶺本大國地分 臣歸國 請吾王還之 謂予不信 有如皦日

"두 영은 본래 대국의 땅입니다. 신이 귀국하여 우리 왕에게 이를 돌려 보내도록 말씀드리겠습니다.

제가 미덥지 않다면 저 태양을 두고 맹세하겠습니다."

王迺悅焉

왕은 그 때서야 기뻐하였다.

春秋入高句麗 過六旬未還 庾信揀得國內勇士三千人 相語曰

춘추가 고구려에 간 지 60일이 지나도록 안돌아오자 유신은 국내의 용사 3천 명을 선발하여 놓고 말했다.

吾聞見危致命 臨難忘身者 烈士之志也

"위기를 당하면 목숨을 내놓고, 어려움을 당하면 한 몸을 돌보지 않는 것이 열사의 뜻이라고 나는 들었다.

夫一人致死當百人 百人致死當千人 千人致死當萬人 則可以橫行天下

한 명이 목숨을 바쳐서 백 명을 대적하고, 백 명이 목숨을 바쳐서 천 명을 대적하고,

천 명이 목숨을 바쳐서 만 명을 대적한다면 천하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

今國之賢相被他國之拘執 其可畏不犯難乎

지금 이 나라의 어진 재상이 타국에 구금되어 있는데 어찌 두렵다 하여 일을 도모하지 않겠느냐?"

於是衆人曰 雖出萬死一生之中 敢不從將軍之令乎

이에 모든 사람들이 "비록 만 번 죽고 한 번 사는 일에 나아갈지라도, 어찌 감히 장군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겠습니까?"라고 말하였다.

遂請王以定行期

유신은 마침내 왕에게 떠날 날짜를 정해주기를 요청하였다.

時高句麗諜者浮屠德昌使告於王

이 때 고구려의 간첩인 중 덕창이 고구려에 사람을 보내 이 사실을 고구려의 왕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王前聞春秋盟辭 又聞諜者之言 不敢復留 厚禮而歸之

고구려 왕은 전날 춘추의 맹세를 들었고, 또한 첩자의 말을 들은지라 그 이상 만류하지 못하고 후한

예로 대우하여 춘추를 귀국케 하였다.

及出境謂送者曰 吾欲釋憾於百濟 故來請師 大王不許之 而反求土地

고구려 국경을 벗어나자 춘추가 전송하러 나온 자에게 말했다. "내가 백제에 원수를 갚기 위하여 고구려에

와서 군사를 요청하였으나, 대왕은 이를 허락하지 않고 도리어 땅을 요구하였다.

此非臣所得專 嚮與大王書者 圖逭死耳

그러나 이것은 신하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전에 대왕에게 보낸 글은 죽음을 모면하려는

것이었을 뿐이다."

(此與本言眞平王十二年所書〔言 當作書〕〔眞平王十二年 亦當作善德王十一年(見本紀)〕

一事而小異 以皆古記所傳 故兩存之)

이것은 본기 중 진평왕12년에 있던 바 ‘言’은 ‘書’로 바로잡아야 한다.

진평왕12년 역시 본기 선덕왕 11년 기록과 같은 사건인데 내용이 약간 다르다. 그러나 모두 고기에 기록된 것이기 때문에 두 가지를 그대로 기록하여 둔다.]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토설화의 발생과 변용  (0) 2011.05.19
사복불언  (0) 2011.05.19
정취보살  (0) 2011.05.02
낙산의 관음보살  (0) 2011.05.02
조신설화(調信說話), 조신의 꿈/ 이광수, <꿈>  (0) 2011.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