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虵福不言>

사복불언-사복이 말하지 않다.

京師萬善北里有寡女, 不夫而孕,

서울 만선북리에 한 과부가 있었다. 그녀는 남편도 없이 아이를 배어 낳았는데

旣産, 年至十二歲, 不語亦不起, 因號虫也童.

그 아이는 나이 12세가 되도록 말도 하지 못하고 일어나지도 못했다.

그 때문에 사동이라 불렀다.

(下或作虫也卜, 又巴又伏等, 皆言「童」也.)

(아래에서는 혹 사복이라고도 하고, 또 사파, 사복이라고 썼다.

이것은 모두 사동의 이름이다.)

一日其母死,

어느 날 그의 어머니가 죽었다.

時元曉住高仙寺. 曉見之迎禮, 福不答拜而曰:

그 때 원효가 고선사에 거주했었다. 원효는 그를 보고 맞이하여 예를 올렸으나

사복은 답례도 없이 말했다.

「君我昔日駄經牸牛, 今已亡矣, 偕葬何如?」

"그대와 내가 옛날에 경을 싣고 다니던 암소가 지금 죽었으니

나와 함께 장사지냄이 어떠한가?"

曉曰諾. 遂與到家,

원효가 말했다. “좋습니다.”

드디어 함께 사복의 집으로 갔다.

令曉布薩授戒. 臨尸祝曰:

여기에서 사복은 원효에게 포살(布薩)시켜 계를 주게 하니,

원효는 그 시체 앞에서 빌었다.

*포살(布薩)-불교의식의 하나로 출가한 이에게 중들이 보름마다 모여서 戒經을 들려주고

죄를 참회시켜 선을 기르고 악을 없애는 일.

「莫生兮其死也苦!

莫死兮其生也苦!」

"세상에 나지 말 것이다.

그 죽는 것이 괴로움이라.

죽지 말 것이니라.

세상에 나는 것이 괴로우니라."

福曰: 「詞煩.」

사복이 말했다.

“가사가 너무 길어 번거롭소.”

更之曰: 「死生苦兮!」

원효가 고쳐 말했다.

"죽는 것도 사는 것도 괴로움이로다."

二公轝歸活里山東麓,

그리고 두 사람은 상여를 메고 활리산 동쪽 기슭으로 갔다.

曉曰: 「葬智惠虎於智惠林中, 不亦宜乎?」

원효가 말했다.

"지혜있는 범을 지혜의 숲 속에 장사지냄이 또한 마땅하지 않은가."

福乃作偈曰:

사복은 이에 게(偈)를 지어 읊었다.

「往昔釋迦牟尼佛,

「왕석석가모니불, 그 옛날 석가모니불께서는

裟羅樹間入涅槃,

사나수간입열반, 사라수 사이에 열반하셨네.

于今亦有如彼者,

우금역유여피자, 그 같은 이 지금 또 있어

欲入蓮花藏界寬.」

욕입련화장계관.」 연화장 세계로 들려고 하네.

言訖拔茅莖, 下有世界, 晃朗淸虛, 七寶欄楯, 樓閣莊嚴, 殆非人間世.

읊기를 마치고 띠풀의 줄기를 뽑으니 그 밑에 명랑하고 청허한 세계가 있었고,

칠보로 장식된 난간에 누각이 장엄한데 아마 인간의 세계는 아닌 것 같았다.

福負尸共入, 其地奄然而合, 曉乃還.

사복이 시체를 업고 그 속으로 들어가자 문득 땅이 합쳐졌다.

이것을 보고 원효는 혼자 돌아왔다.

後人爲創寺於金剛山東南, 額曰道場寺.

후세 사람들이 그를 위하여 금강산의 동남쪽에 절을 세우고 절 이름을 도장사라 했다.

每年三月十四日, 行占察會爲恒規,

해마다 3월 14일이 되면 점찰회(占察會-점찰경에 의한 법회)를 여는 것을

항규(恒規)로 삼았다.

福之應世, 唯示此爾,

사복이 세사에 영검을 나타낸 것은 오직 이것뿐인데,

俚諺多以荒唐之說託焉, 可笑!

세간에서는 황당한 얘기를 덧붙였으니 가소로운 일이다.

讚曰:

기리어 읊는다.

淵黙龍眠豈等閑,

연묵룡면개등한, 잠잠히 자는 용이 다 등한할까,

臨行一曲沒多般.

림항일곡몰다반. 임종에 부른 한 곡 간단하기도 해라.

苦兮生死元非苦,

고혜생사원비고, 고통스러운 생사는 원래 고통이 아니 어니,

華藏浮休世界寬.

화장부휴세계관. 연화장(蓮花藏) 세계 넓기도 해라.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근곡 설화  (0) 2011.05.31
구토설화의 발생과 변용  (0) 2011.05.19
구토설화/ 삼국사기 김유신전 41  (0) 2011.05.18
정취보살  (0) 2011.05.02
낙산의 관음보살  (0) 2011.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