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주]김기동님은 경기체가를 속요와 대응하여 별곡체라 한다. 가사에도 '별곡'을 붙여 장르의 명칭으로는 혼란이 예견된다.

고려 때의 궁중음악인 正樂(正曲)에 대하여 별곡이라는 개념으로 사용되어 ‘翰林曲’이라 하지 아니하고 〈翰林別曲〉이라고 하게 되면서 〈翰林別曲〉을 모방한 대부분의 작품의 제목에 ‘別曲’을 붙였다. 그 개념이 후대에 혼용되기 시작하여 속요의 작품인 <청사별곡> <서경별곡>에도 사용되었고(김기동 교수는 별곡이 붙은 속요는 한림별곡 이후의 所作으로 봄), 또한 이조가사의 歌名에도〈관동별곡〉〈성산별곡〉 등 ‘별곡’의 명칭을 쓰게 된 것은 개념의 혼동이 초래되었기 때문이었다. 그 내용은 상층 지배계층의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생활상이나 향락적 기풍을 담아 퇴폐적 성격을 지닌다.

◇경기체가의 작품구조[조동일, 민요의 형식을 통해서 본 시가의 전개]

가(3) 나(3) 다(4)

라(3) 마(3) 바(4)

사(4)아(4)자(4)

위(감탄사) (차)景(3) 긔 엇더(3)하니잇고(4)

카(4)타(4)카(4)타(4)

위 (파)景(3) 긔 엇더(3)하니잇고(4)

※[가~ 자], [카~ 타]는 개별화의 원리에 따라 열거된 세계상.

[차], [파]는 개별적인 것으로 제시된 사물들을 하나의 종합적 개념으로 묶는 포괄적 개념을 나타냄. 포괄화의 원리.

◇형식적 특징

①聯章體

②前大節 後小節

③1-3행은 3음보격, 4-6행은 4음보격으로 된 6行詩.

A.기본형: 翰林別曲, 關東別曲. (이하 조선조)華山別曲, 五倫歌, 宴兄弟曲 등

― 경기체가의 작품구조와 같음.

안축/관동별곡

http://kr.blog.yahoo.com/modongpil/1148

안축/관동별곡 & 죽계별곡

http://cafe.naver.com/ahncci/218

B.변격형: 竹溪別曲. (이하 조선조)霜臺別曲, 不憂軒曲, 花田別曲 등

― 기본형에서 조금 벗어나 일부 음절수의 변화를 보여줌.

A와 B型의 공통적 형태상 특징

①음수율 주로 3음절에 4음절 넣어 리듬감 부여.

②음보율 일률적으로 3음보이나 4음보 개입→ (수정)1-3행은 3음보, 4- 6행은 4음보.

③행수율 일률적으로 6행시.

④각련은 전대절과 후소절로 구분됨

⑤련장체. 5- 8련이 중첩되어 한 가요를 형성.

안축/죽계별곡

http://kr.blog.yahoo.com/modongpil/1147

C.파격형: (조선조)聖德歌, 祝聖壽, 道東曲, 六賢歌, 儼然歌, 太平曲, 獨樂八曲.

①음수율 3․4․5음절. 4음절 우세함.

②음보율 4음보가 지배적. 또는 2음보.

③행수율 별반 제약 없음.

④前後節의 구분이 없어지고 기준형의 後節이 독립 분화된 듯한 느낌을 준다.

⑤여러 聯이 중첩되어 한 가요를 형성.

권호문/독락팔곡

http://blog.daum.net/songchen/972423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