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우록서(會友錄序)


연상각선본(煙湘閣選本), 연암집 제1권


[주C-001]회우록서(會友錄序) : 담헌(潭軒) 홍대용(洪大容 : 1731 ~ 1783)이 편찬한 《건정동회우록(乾淨衕會友錄)》에 부친 서문이다. 홍대용은 1765년(영조 41) 동지사 서장관(冬至使書狀官)인 숙부 홍억(洪檍)을 따라 북경(北京)에 가서 항주(杭州) 출신의 선비 엄성(嚴誠) · 반정균(潘庭筠) · 육비(陸飛)와 교분을 맺고 정양문(正陽門) 밖 건정동(乾淨衕)에 있던 그들의 여사(旅舍)에서 수만 언(言)의 필담(筆談)을 나누었다. 귀국한 뒤인 1766년 음력 6월 15일 엄성 · 반정균 · 육비와 나눈 필담과 그들을 만나게 된 시말 및 왕복 편지들을 3권의 책으로 편찬한 것이 곧 《건정동회우록》이라고 한다. 《湛軒書 外集 卷1 杭傳尺牘 與潘秋

庭筠書》 《담헌서》 외집(外集) 권1에 연암과 민백순(閔百順)이 지은 2종의 회우록서가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 36도(都)의 땅을 돌아보면 동쪽으로는 큰 바다에 임하여 바닷물이 하늘과 더불어 끝이 없고 이름난 산과 큰 멧부리들이 그 중앙에 서리어 있어, 들판은 백 리가 트이어 있는 곳이 드물고 고을은 천 호가 모여 있는 곳이 없으니 그 지역 자체가 벌써 편협하다 하겠다.


[주D-001]36도(都) : 유득공(柳得恭)의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는 《동국지지(東國地誌)》에 의거하여 단군조선의 왕검성부터 고려의 개성에 이르기까지 모두 21개의 왕도(王都)를 노래한 시이다. 이로 미루어 36도(都) 역시 36개의 왕도(王都)를 뜻하는 듯하나, 어떤 근거에서 우리나라에 상고 이후 모두 36개 왕국의 도읍지가 있다고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주D-002]천 호 :
원문은 ‘千室’인데, 《하풍죽로당집》에는 ‘萬室’로 되어 있다.


그런데 옛날의 이른바 양(楊) · 묵(墨) · 노(老) · 불(佛)이 아닌데도 의론의 유파가 넷이며, 옛날의 이른바 사(士) · 농(農) · 공(工) · 상(商)이 아닌데도 명분의 유파가 넷이다. 이것은 단지 숭상하는 바가 동일하지 않을 뿐인데도 의론이 서로 부딪치다 보니 진(秦)과 월(越)의 거리보다 멀어진 것이요, 단지 처한 바에 차이가 있을 뿐인데도 명분이 비교하고 따지는 사이에 화(華)와 이(夷)의 구분보다 엄하게 된 것이다.


[주D-003]양(楊) · 묵(墨) · 노(老) · 불(佛) :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의 학파, 노자(老子)의 도가(道家)와 불타(佛陀)의 불교를 말한다. 유교에서 이단(異端)으로 간주하는 네가지 유파이다.
[주D-004]의론의 유파(流派)가 넷이며 :
김택영(金澤榮)의 《중편연암집(重篇燕巖集)》의 주(注)에 노론(老論), 소론(小論), 남인(南人), 북인(北人)의 사색당파(四色黨派)를 말한다고 하였다.
[주D-005]명분의 유파가 넷이다 :
김택영의 《중편연암집》의 주에 사당인(四黨人), 비사당인(非四黨人), 중인(中人), 서족(庶族)을 말한다고 하였다.
[주D-006]진(秦)과 월(越) :
춘추(春秋) 시대에 진 나라는 중국의 서북에 있고 월 나라는 동남에 있어 서로 거리가 지극히 멀므로 소원한 사이를 말할 때 진월(秦越)이라 이른다.


그리하여 형적이 드러남을 꺼려서 서로 소문은 들으면서도 알고 지내지 못하며, 신분상의 위엄에 구애되어 서로 교류를 하면서도 감히 벗으로 사귀지는 못한다. 마을도 같고 종족도 같고 언어와 의관(衣冠)도 나와 다른 것이 극히 적은데도, 서로 알고 지내지 않으니 혼인이 이루어지겠으며, 감히 벗도 못 하는데 함께 도를 도모하겠는가? 이러한 몇몇 유파가 아득한 수백 년 동안 진과 월, 화와 이처럼 서로 대하면서 집을 나란히 하고 담을 잇대어 살고 있으니, 그 습속이 또 어찌 그리도 편협한가.


[주D-007]함께 도를 도모하겠는가 :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에서 공자는 “군자는 도(道)를 도모하지 먹고 사는 문제는 도모하지 않는다.〔君子謀道 不謀食〕”고 하였고, “도가 같지 않으면 그와 더불어 도를 도모하지 못한다.〔道不同 不相爲謀〕”고 하였다.


홍군 덕보(洪君德保)
가 어느 날 갑자기 한 필 말을 타고 사신을 따라 중국에 가서, 시가를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너절한 골목을 기웃거리다가 마침내 항주(杭州)에서 온 선비 세 사람을 만나게 되었다. 그래서 틈을 엿보아 여사(旅舍)에 걸음하여 마치 옛 친구나 만난 것처럼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주D-008]홍군 덕보(洪君德保) : 덕보는 홍대용의 자(字)이다.


천인(天人)과 성명(性命)의 근원이며, 주자학(朱子學)과 육왕학(陸王學)의 차이며, 진퇴(進退)와 소장(消長)의 시기며, 출처(出處)와 영욕(榮辱)의 분별 등을 한껏 토론하였는데, 고증하고 증명함에 있어 의견이 일치하지 않은 적이 없었으며, 서로 충고하고 이끌어 주는 말들이 모두 지극한 정성과 염려하고 걱정하는 마음에서 우러나왔다. 그래서 처음에는 서로 지기로 허여하였다가 마침내 결의하여 형제가 되었다. 서로 그리워하고 좋아하기를 여색을 탐하듯이 하고, 서로 저버리지 말자 하기를 마치 동맹을 맺기로 서약하듯 하니 그 의기가 사람을 눈물겹게 하기에 충분하였다.


[주D-009]
진퇴(進退)와 소장(消長) : 진퇴는 군자와 소인의 교체, 소장은 음양(陰陽)의 변화를 가리킨다. 군자가 물러나고 소인이 진출하는 것은 음이 성하고 양이 쇠하는 시기이며, 군자가 진출하고 소인이 물러나는 것은 음이 쇠하고 양이 성하는 시기이다.
[주D-010]출처(出處)와 영욕(榮辱) :
출처는 벼슬길에 나서는 것과 물러나 은거하는 것을 가리킨다. 벼슬할 때와 은거할 때를 잘 분별해야 영예를 누리고 치욕을 면할 수 있다.


아, 우리나라와 오(吳)의 거리가 몇 만 리라 홍군이 세 선비와는 또다시 만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전에 제 나라에 있을 때는 한마을에서 살면서도 서로 알고 지내지 않더니 지금은 만 리나 먼 나라 사람과 사귀며, 전에 제 나라에 있을 때는 같은 종족이면서도 서로 사귀려 하지 않더니 지금은 다시는 만나지 못할 사람과 벗을 하였으며, 전에 제 나라에 있을 때는 언어와 의관이 똑같아도 서로 벗하려 하지 않더니 이제 와서 느닷없이 언어가 다르고 복색이 다른 속인들과 서로 마음을 허락함은 웬일인가?


[주D-011]오(吳) : 항주(杭州)가 있는 중국의 절강성(浙江省) 북부 일대를 가리킨다.


홍군이 우수 어린 표정을 짓더니 이윽고 이렇게 말했다.

“내 감히 우리나라에 벗할 만한 사람이 없어서 벗하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오. 실로 처지에 제한되고 습속에 구속되어 그런 것이니 마음속이 답답하지 않을 수가 없소. 내 어찌 중국이 옛날 중국이 아니며 그 사람들이 선왕의 법복(法服)을 그대로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모르겠소. 비록 그렇기는 하지만 그 사람들이 살고 있는 땅은 요(堯), 순(舜), 우(禹), 탕(湯), 문왕(文王), 무왕(武王), 주공(周公), 공자(孔子)가 밟던 땅이 왜 아니겠으며, 그 사람들이 사귀는 선비들이 어찌 제(齊), 노(魯), 연(燕), 조(趙), 오(吳), 초(楚), 민(閩), 촉(蜀)의 널리 보고 멀리 노닌 선비들이 아니겠으며, 그 사람들이 읽는 글들이 어찌 삼대(三代) 이래 사해만국(四海萬國)의 극히 많은 전적(典籍)이 아니겠소. 제도는 비록 바뀌었으나 도의는 달라지지 않았으니, 이른바 옛 중국이 아닌 지금 중국에도 그 나라의 백성으로는 살고 있을망정 그 나라의 신하가 되지 않는 사람이 어찌 없겠소.


[주D-012]선왕의 법복(法服) : 고대의 성왕(聖王)이 예법에 맞게 차등을 두어 제정했다는 옷을 말한다. 천자 이하 다섯 등급으로 나눈 오복(五服) 제도가 있었다고 한다. 《효경(孝經)》 경대부장(卿大夫章)에 “선왕의 법복이 아니면 감히 입지 않는다.〔非先王之法服 不敢服〕”고 하였다. 청 나라는 동화정책(同化政策)의 일환으로 한족에게 만주족의 옷을 입도록 강제하였다.
[주D-013]극히 많은 전적(典籍) :
원문은 ‘極博之載籍’인데, 《사기(史記)》 권61 백이열전(伯夷列傳)에서 “무릇 학식 있는 사람은 전적이 극히 많지만 그래도 육경(六經)에서 진실을 찾는 법이다.〔夫學者載籍極博 猶考信於六藝〕”라고 한 구절에 출처를 둔 표현이다.


그렇다면 저들 세 사람이 나를 볼 때에도 화(華)가 아닌 이(夷)라고 차별하며 형적이 드러나고 신분의 위엄이 손상될까 꺼리는 마음이 어찌 없을 수 있겠소. 그러나 번거롭고 까다로운 예절 따위는 타파해 버리고서 진정을 토로하고 간담을 피력하니, 그 통이 매우 큰 점으로 볼 때 어찌 명성과 세리(勢利)를 좇느라 쩨쩨하고 악착스러워진 자들이겠소.”


[주D-014]그 통이 …… 때 : 원문은 “其規模之廣大”인데, 홍대용은 그의 연행록(燕行錄)에서 청 나라 문물의 특장(特長)으로 ‘대규모(大規模) 세심법(細心法)’ 즉 통이 크면서도 마음 씀씀이가 세심한 점을 들었다. 《湛軒書 外集 卷8 燕記 沿路記略》


그러고는 드디어 세 선비와 필담한 것을 모아 세 권으로 만든 책을 꺼내어 내게 보여 주면서,

“그대가 서문을 써 주시오.”

하였다. 나는 다 읽고 나서 이렇게 감탄하였다.

“통달했구나, 홍군의 벗함이여! 내 지금에야 벗 사귀는 도리를 알았도다. 그가 누구를 벗하는지 살펴보고, 누구의 벗이 되는지 살펴보며, 또한 누구와 벗하지 않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바로 내가 벗을 사귀는 방법이다.”

[흑산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