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W_DsQkSC5zo 

 

https://kydong77.tistory.com/19522

 

001 주남 제1편. 관저3장(關雎三章)

https://www.youtube.com/watch?v=dcROZK-ZTns 001 國風(국풍)周南(주남)-關雎(관저) : 물수리. 關關雎鳩,(관관저구) : 구룩구룩 물수리[징경이]는 在河之洲.(재하지주) : 황하의 섬에서 우네 窈窕淑女,(요조숙녀)

kydong77.tistory.com

 

 001 國風(국풍)

周南(주남)-關雎(관저) : 물수리.

1장

關關雎鳩,

(관관저구) : 구룩구룩 물수리[징경이]는

在河之洲.

(재하지주) : 황하의 섬에서 우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는

君子好逑.

(군자호구) : 군자의 좋은 짝이네.

參差荇菜,

(삼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流之.

(좌우류지) : 이리저리 헤치며 찾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를

寤寐求之.

(오매구지) : 자나깨나 구하네

求之不得,

(구지불득) : 구해도 찾지 못해

寤寐思服.

(오매사복) : 자나깨나 생각하네

悠哉悠哉,

(유재유재) : 생각하고 생각하니

輾轉反側.

(전전반측) : 잠 못 자며 뒤척이네.

 

2장

參差荇菜,

(삼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采之.

(좌우채지) : 이리저리 뜯어보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를

琴瑟友之.

(금슬우지) : 금슬좋게 사귀려네

參差荇菜,

(삼치행채) : 올망졸망 마름풀을

左右芼之.

(좌우모지) : 여기저기 뜯어보네

窈窕淑女,

(요조숙녀) : 요조숙녀와

鍾鼓樂之.

(종고락지) : 풍악 울리며 즐기려네.

 

3장

關關雎鳩ㅣ 在河之洲ㅣ로다

(관관저구ㅣ 재하지주ㅣ로다

끼룩끼룩하는 저 물오리여, 하수의 물가에 있도다.

窈窕淑女ㅣ 君子好逑ㅣ로다

요조숙녀ㅣ 군자호구ㅣ로다 興也ㅣ라)

요조숙녀여, 군자의 좋은 짝이도다

 

시경시 총목차

http://kydong77.tistory.com/9116

 

시경시 총목차/ 311편

https://kydong77.tistory.com/18727?category=486549 詩經 총목차 & 작품 https://www.youtube.com/watch?v=2C4AfzprIag https://www.youtube.com/watch?v=HoLvjx8mmq8 https://ko.wikipedia.org/wiki/%EC%8B%9C%EA%B2%BD 시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kydong77.tistory.com

 

 

[은자주] 관저편은 시경의 첫머리에 위치한데다 사랑을 주제로 하여 시경시 가운데가장 많이 애송되는 작품이다.

六義와 함께 살펴본다.

 

관저 & 六義

주남관저

周南 關雎

關雎, p.62. 興也

1.

關關雎鳩

꺼욱꺼욱 저 암수 징경이1)

在河之洲

황하의 모래섬에 정겹다.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가

君子好逑

군자의 좋은 짝이로세.

1)關關(관관):암수가 사이 좋게 우는 소리 .

2.

參差荇菜

들쑥날쑥한 조아기 찾아2)

左右流之

이리저리 뒤지도다.3)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를

寤寐求之

자나깨나 찾도다.

求之不得

구해도 얻지 못해

寤寐思服

자나깨나 그리나니

悠哉悠哉

시름은 그지 없어

輾轉反側

잠 못들어 뒤척인다.

2)조아기:마름풀. 줄기가 비녀 다리 같고 위가 푸르고 아래가 희며 지름이 한 치[寸] 남짓하다 . 3) 流:(류):흐르는 물을 따라 찾다 .

3.

參差荇菜

어슷비슷한 조아기를

左右采之

이리저리 캐도다.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를

琴瑟友之

거문고와 비파처럼 사랑한다.

參差荇菜

들쑥날쑥한 조아기를

左右芼之

이리저리 데쳐 바치도다.4)

窈窕淑女

곱고 착한 아가씨를

鍾鼓樂之

종과 북처럼 즐기도다.

4)芼(모):(毛傳)고르다, (朱子)삶아 薦新하다. 천신은 태사가 조아기로 제사했다 생각함.


六義


風雅頌내용상 분류

 

1) 風, 國風:風者民俗歌謠之詩也.(朱熹 注)

正風:周南․召南, 變風:나머지 13 國風.

15 國으로부터 채집한 민요는 305편160편.

․내용:남녀간의 사랑, 농촌 생활, 전쟁 저주,武 숭상, 狩獵, 軍士 찬미, 효성, 정치 풍자, 신세 타령, 이상 세계 연모, 인생무상 한탄.

․鄭風․齊風․衛風은 연정시 많아 淫詩라 평한다.

․13국풍: 邶風․鄘風․衛風․王風․鄭風․齊風․魏風․唐風․秦風․陳風․檜風․曹風․豳風

 

2), 二雅:小雅74편, 大雅31편, 총105편.

․雅者正也 正樂之歌也. 正小雅 燕饗之樂也. 正大雅 會朝之樂 受釐陳戒之辭也.

․朝廷之樂歌 曰雅 宗廟之樂 曰頌. 元 吳징,校正詩經 序

․공경대부들의 祭祀,飮 燕에 관한 시 많음. 특히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을 史詩라 평한다.

 

3), 三頌周頌 31, 商頌 5, 魯頌 4편 총40편

․頌者 美盛德之形容 以其成功 告於神明者也. (詩大序)

․舞歌, 樂歌, 祭歌신에게 축복을 비는 것, 祭時의 정경, 祭物, 농가생활, 史實.

 

比興표현기법에 따른 분류

4) :직접적으로 자신을 나타냄, 늘어놓는, 기술하는 양식

5):자연현상과 인간의 위치[혹은 정서] 사이의 비교. 比較하고 類推하는 양식. 比喩法.

6)聯想의 양식.시인은 자연현상을 제시하기 시작[興]하여 그 현상에 의하여 고무되거나[興] 혹은 연상되는 인간의 정서를 나타낸다. <논어> 양화편의 “詩可以興”에서 興은 “일으키다, 고무하다, 자극하다”로 해석할 경우에 그 목적어는 정서 또는 도덕적 의지 혹은 감정으로 추측한다.

 

시경시 주제의 시대별 변화

① 成康시대(성강,BC.1115~BC.1053):종교시, 궁정의 宴會詩(연회시), 田獵詩(전렵시).

종교적 복무적 頌歌:周頌, 종교적 영역. 聲色적 오락:小雅, 궁정적 영역.

② 勵平(려평,BC.878~BC.720) 기타 시대:사회시, 민간의 情歌, 舞曲.

怨聲적 呼聲:變風, 變雅에서 神權의 쇠락과 人性의 각성으로 사회생활적 면모 표출하였다. 變은 正의 상대적 개념이다.

③ 平王-춘추시대(BC.770~BC.403):神鬼적 至尊 관념이 부활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