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편이 누락되어 먼저 정리하고 잡편 연재를 계속합니다.

도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성인께서는 말로 표현되지 않는 가르침을 행했던 것이다.”

- 장자(외편) ; 제22편 지북유[1]-

 

知北遊於元水之上,

지북유어원수지상, 지가 북쪽의 현수가에 노닐다

登隱弅之丘

등은분지구, 은분의 언덕에 올라가는 길에

而適遭无爲謂焉.

이적조무위위언. 무위위를 만났다.

知謂无爲謂曰:

지위무위위왈: 지가 무위위에게 말했다.

「予欲有問乎若.

「여욕유문호약. “나는 당신에게 물어볼 것이 있습니다.

何思何慮則知道?

하사하려칙지도? 어떤 것을 사색하고 어떤 것을 생각하면 도를 알게 됩니까?

何處何服則安道?

하처하복칙안도? 어떻게 처신하고 어떻게 행동하면 도에 편안히 지낼 수 있게 됩니까?

何從何道則得道?」

하종하도칙득도?」 어떤 것을 따르고 어떤 길로 가면 도를 얻을 수 있습니까?”

三問而无爲謂不答也,

삼문이무위위부답야, 세 번이나 물었으나 무위위는 대답하지 않았다.

非不答, 不知答也.

비불답, 불지답야. 대답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대답을 알지 못했던 것이다.

知不得問,

지부득문, 지는 물음에 대답을 얻지 못하고,

反於白水之南,

반어백수지남, 백수의 남쪽으로 되돌아와

登狐闋之上,

등호결지상, 호결산 위에 올라갔다가

而睹狂屈焉.

이도광굴언. 광굴을 만났다.

知以之言也問乎狂屈.

지이지언야문호광굴. 지는 같은 말을 광굴에게도 물었다.

狂屈曰.

광굴왈. 광굴이 말했다.

「唉! 予知之,

「애! 여지지, “아, 나는 그것을 알고 있습니다.

將語若,

장어약, 그러나 당신에게 말하려하니,

中欲言而忘其所欲言.」

중욕언이망기소욕언.」 마음속으로 말을 하려하다가도 하려던 말을 잊게 되는군요.”

知不得問,

지부득문, 지는 물음에 대답을 얻지 못하고

反於帝宮,

반어제궁, 궁궐로 돌아와 돌아와

見黃帝而問焉.

견황제이문언. 황제에게 같은 것을 다시 물었다.

黃帝曰:

황제왈: 황제가 말했다.

「无思无慮始知道,

「무사무려시지도, “사색도 없고 생각도 없어야 비로소 도를 알게 된다.

无處无服始安道,

무처무복시안도, 처신하는 곳도 없고 행하는 것도 없어야만 비로소 도에 편안히 지내게 된다.

无從无道始得道.」 따르는 것도 없고 가는 길도 없어야만 비로소 도를 얻게 된다.”

知問黃帝曰:

지문황제왈: 지가 황제에게 물었다.

「我與若知之,

「아여약지지, “저와 임금님은 도에 대해서 알고 있지만

彼與彼不知也,

피여피부지야, 무위위와 광굴은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其孰是邪?」

기숙시사?」 누가 옳은 것입니까?”

黃帝曰:

황제왈: 황제가 말했다.

「彼无爲謂眞是也,

「피무위위진시야, “무위위가 진실로 옳은 것이다.

狂屈似之.

광굴사지. 광굴은 그와 비슷하다.

我與汝終不近也.

아여여종불근야. 나와 너는 끝내 비슷하지 않다.

夫知者不言,

부지자불언, 도를 알고 있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言者不知,

언자불지, 말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

故聖人行不言之敎.

고성인행불언지교. 그러므로 성인께서는 말로 표현하지 않는 가르침을 행했던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