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최근 청문회를 앞두고 사퇴한 한 공직후보자의 변으로 인터넷이 뜨겁다.

장자 외편 천운편의 명구를 인용한 것이 그 발단이다.

夫鵠不日浴而白

(부곡불일욕이백) : 백조는 매일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고

烏不日黔而黑

(오불일검이흑) : 까마귀는 매일 검은 물을 들이지 않아도 검습니다.

장자는 흑백의 소박한 바탕을 말했으나 그는 이를 흑백논리로 받아들여 자신의 청렴성을 부각시키려 했다.

물론 이 편은 장자의 제자들이 유자를 공격하기 위한 가설로 작성하여 장자에 끼워넣은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 견해다.

<천운편> 제6장의 원문과 번역을 통해 장자의 본뜻을 확인해 본다.

孔子見老聃而語仁義

(공자견노담이어인의) : 공자가 노자를 만나서 어짊과 의로움에 대해 물었다.

老聃曰

(노담왈) : 노자가 말했다.

夫播穅眯目

(부파강미목) : “겨가 눈에 들어가면

則天地四方易位矣

(즉천지사방역위의) : 곧 하늘과 땅과 사방의 위치를 혼동하게 됩니다.

蚊虻噆膚

(문맹참부) : 모기가 살갗을 물면

則通昔不寐矣

(즉통석불매의) : 밤새도록 잠을 못 잡니다.

夫仁義憯然乃憤吾心

(부인의참연내분오심) : 어짊과 의로움이란 잔인한 것이어서 우리 마음을 어지럽히는데

亂莫大焉

(란막대언) : 이보다 더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 없습니다.

吾子使天下無失其朴

(오자사천하무실기박) : 선생께서는 세상 사람들이 그들의 소박함을 잃게 하지 마십시오.

吾子亦放風而動

(오자역방풍이동) : 선생께서 바람을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면

總德而立矣

(총덕이립의) : 모든 덕이 아울러 처신하게 될 것입니다.

又奚傑傑然揭仁義

(우해걸걸연게인의) : 어찌 스스로 잘난 체하여 인의를 내 걸고

若負建鼓而求亡子者邪

(약부건고이구망자자사) : 큰북을 짊어지고 두드리고 다니면서 잃은 자식을 찾듯이 지냅니까

夫鵠不日浴而白

(부곡불일욕이백) : 백조는 매일 목욕을 하지 않아도 희고

烏不日黔而黑

(오불일검이흑) : 까마귀는 매일 검은 물을 들이지 않아도 검습니다.

黑白之朴

(흑백지박) : 검고 흰 소박한 바탕은

不足以爲辯

(부족이위변) : 좋고 나쁨을 따질 것이 못됩니다.

名譽之觀

(명예지관) : 명예라는 겉모양은

不足以爲廣

(부족이위광) : 자랑할 것이 못됩니다.

泉涸

(천학) : 샘물이 마르면

魚相與處於陸

(어상여처어육) : 그 곳에 사는 물고기들은 땅 위에 함께 모여

相呴以濕

(상구이습) : 습기로 서로 문질러주고

相濡以沫

(상유이말) : 입거품으로써 서로 추기어 주지마는

不若相忘於江湖

(불약상망어강호) : 그러나 그것은 강물이나 호수 속에서 서로를 잊고 지내는 것만 못한 것입니다.”

孔子見老聃歸

(공자견노담귀) : 공자가 노자를 만나고 돌아와

三日不談

(삼일부담) : 사흘 동안 말을 하지 않았다.

弟子問曰

(제자문왈) : 제자들이 물었다.

夫子見老聃

(부자견노담) : “선생님께서는 노자를 만나서

亦將何規哉

(역장하규재) : 또한 무엇을 가르쳐주려 하셨습니까?”

孔子曰

(공자왈) : 공자가 말했다.

吾乃今於是乎見龍

(오내금어시호견룡) : “이제야 용을 본 것 같다.

龍合而成體

(룡합이성체) : 용은 합쳐지면 훌륭한 몸을 이루고,

散而成章

(산이성장) : 흩어지면 아름다운 무늬를 이룬다.

乘雲氣而養乎陰陽

(승운기이양호음양) : 구름의 기운을 타고 다니며 음양 속을 날아다닌다.

予口張而不能嗋

(여구장이불능협) : 나는 입이 벌어져 다물 수가 없었다.

予又何規老聃哉

(여우하규노담재) : 내가 무엇을 노자에게 가르쳐줄 수 있었겠느냐.”

子貢曰

(자공왈) : 자공이 말했다.

然則人固有尸居而龍見

(연칙인고유시거이룡견) : “그렇다면 사람 중에는 본시 시체처럼 있다가도 용처럼 나타나고,

淵黙而雷聲

(연묵이뢰성) : 천둥 소리를 내다가도 심연 같은 침묵을 지키고,

發動如天地者乎

(발동여천지자호) : 활동이 하늘과 땅 같은 사람이 있다는 말씀입니까?

賜亦可得而觀乎

(사역가득이관호) : 저도 그 분을 뵐 수 있겠습니까?”

遂以孔子聲見老聃

(수이공자성견노담) : 마침내 공자의 주선으로 자공이 노자를 만났다.

老聃方將倨堂而應

(노담방장거당이응) : 노자는 대청에 앉아 있다가 마중하면서

微曰

(미왈) : 작은 소리로 말했다

予年運而往矣

(여년운이왕의) : “나는 이미 나이가 지나 늙어버렸는데

子將何以戒我乎

(자장하이계아호) : 당신은 장차 무엇으로 나에게 계율을 얘기해주려 하십니까?”

子貢曰

(자공왈) : 자공이 말했다.

夫三皇五帝之治天下不同

(부삼황오제지치천하부동) : 삼황과 오제의 천하를 다스리던 방법은 같지 않았지만

其係聲名一也

(기계성명일야) : “그 분들이 명성을 누렸다는 점에서는 같습니다.

而先生獨以爲非聖人

(이선생독이위비성인) : 그런데 선생님께서는 그 분들이 성인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계시다니

如何哉

(여하재) : 어째서입니까?”

老聃曰

(노담왈) : 노자가 말했다.

小子少進

(소자소진) : 젊은이여 좀 더 가까이 오라.

子何以謂不同

(자하이위부동) : “자네는 어째서 그들의 방법이 같지 않다는 것입니까?”

對曰

(대왈) : 자공이 말했다.

堯授舜

(요수순) : “요임금은 순임금에게 천하를 물려주었고,

舜授禹

(순수우) : 순임금은 우임금에게 천하를 물려주었으며,

禹用力而湯用兵

(우용력이탕용병) : 우임금은 힘을 사용하였고, 탕임금은 군사를 사용했습니다.

文王順紂而不敢逆

(문왕순주이불감역) : 문왕은 주왕에게 순종하여 감히 거스르려 하지 않았으나,

武王逆紂而不肯順

(무왕역주이불긍순) : 무왕은 주왕을 거슬러 순종하지 않았습니다.

故曰不同

(고왈부동) : 그래서 같지 않다는 것입니다.”

老聃曰

(노담왈) : 노자가 말했다.

小子少進

(소자소진) : 젊은이여 좀 더 가까이 오라

余語汝三皇五帝之治天下

(여어여삼황오제지치천하) : “당신에게 삼황과 오제의 천하를 다스리던 방법을 얘기해 주겠습니다.

皇帝之治天下

(황제지치천하) : 황제가 천하를 다스릴 적에는

使民心一

(사민심일) : 백성들의 마음을 하나로 만들었습니다.

民有其親死不哭而民不非也

(민유기친사불곡이민불비야) : 백성들 중에는 그의 부모가 죽어도 곡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래도 백성들은 그를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堯之治天下

(요지치천하) : 요임금이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는

使民心親

(사민심친) : 백성들의 마음을 서로 친하게 만들었습니다.

民有爲其親殺其殺而民不非也

(민유위기친살기살이민불비야) : 백성들 중에는 그들의 친분 때문에 친하게 지내고 따돌리는

차별을 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그래도 백성들은 그를 비난하지 않았습니다.

舜之治天下

(순지치천하) : 순임금이 천하를 다스려

使民心競

(사민심경) : 백성들의 마음을 서로 다투게 만들었습니다.

孕婦十月而生子

(잉부십월이생자) : 백성들 가운데는 부인이 아기를 배어 가지고

子生五月而能言

(자생오월이능언) : 열 달 안에 자식을 낳고, 아이가 태어나서 다섯 달만에 말을 하게 되고,

不至乎孩而始誰

(불지호해이시수) : 방긋방긋 웃기도 전에 사람들을 분별하는 경우가 있게 되었습니다.

則人始有夭矣

(칙인시유요의) : 그래서 비로소 사람들에게 어려서 죽는 일[요절]이 생긴 것입니다.

禹之治天下

(우지치천하) : 우임금이 천하를 다스려

使民心變

(사민심변) : 백성들의 마음을 변하게 만들었습니다.

人有心而兵有順

(인유심이병유순) : 사람들은 제각기 다른 마음을 갖게 되었고, 전쟁은 도리를 따른다는 구실이 생겼으며,

殺盜非殺人

(살도비살인) : 도적을 죽이는 것은 살인이 아닌 것으로 되었고,

自爲種而天下耳

(자위종이천하이) : 자기만을 중히 여기고 보고 듣는 것을 믿지 않게 되었습니다.

是以天下大駭

(시이천하대해) : 그리하여 온 천하 사람들은 크게 놀라

儒墨皆起

(유묵개기) : 유가와 묵가들이 한꺼번에 생겨났던 것입니다.

其作始有倫

(기작시유륜) : 시작할 때는 그런 대로 법도가 있었으나,

而今乎歸

(이금호귀) : 결과는 지금과 같은 상태가 되고 만 것입니다.

女何言哉

(여하언재) : 그런데 당신은 무슨 말을 하는 것입니까.

余語汝三皇五帝之治天下

(여어여삼황오제지치천하) : 당신에게 삼황과 오제가 천하를 다스리던 방법을 얘기해 주겠습니다.

各曰治之

(각왈치지) : 천하를 다스렸다고 하지만

而亂莫甚焉

(이란막심언) : 사실은 더 말할 수 없이 천하를 어지럽혔던 것입니다.

三皇之治

(삼황지치) : 삼황의 다스림은

上悖日月之明

(상패일월지명) : 위로는 해와 달의 밝은 빛을 거슬렸고,

下睽山川之精

(하규산천지정) : 아래로는 산과 냇물의 정기를 배반하였으며,

中墮四時之施

(중타사시지시) : 가운데로는 사계절의 순환을 파괴했던 것입니다.

其知憯於蠣蠆之尾

(기지참어려채지미) : 그들의 지혜는 전갈의 꼬리보다도 잔혹한 것입니다.

鮮規之獸

(선규지수) : 작은 짐승들도

莫得安其性命之情者

(막득안기성명지정자) : 모두가 그의 본성과 생명의 진실한 모습을 따라 편안히 지냅니다.

而猶自以爲聖人

(이유자이위성인) : 그런데 스스로 성인이라 생각하고 있다면

不亦可恥乎

(불역가치호) : 부끄럽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其無恥也

(기무치야) : 그들은 수치를 모르는 것입니다.”

子貢蹴蹴然立不安

(자공축축연립불안) : 자공은 다리를 떨면서 불안하게 서 있을 뿐이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