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양봉래(楊蓬萊)의 풍악에서[在楓岳]란 시는 다음과 같다.

白玉京蓬萊島 백옥경봉래도

浩浩煙波古 호호연파고

熙熙風日好 희희풍일호

碧桃花下閒來往 벽도화하한래왕

笙鶴一聲天地老 생학일성천지로

백옥경 봉래도에

허허 넓은 연파는 태고적이고

맑고 따사로운 날씨도 좋구나

벽도화 그늘에 한가로이 오가니

학 탄 신선 피리소리에 세월은 간다

신선 같은 풍채와 도인 같은 느낌이 짙다.

자동(紫洞) 차식(車軾)이 흉내내기를 다음과 같이 했다.

朝玄圃暮蓬萊 조현포모봉래

山月鉢淵瀑 산월발연폭

香風桂樹臺 향풍계수대

俯臨東海揖麻姑 부림동해읍마고

六六壺天歸去來 육육호천귀거래

아침엔 현포에 저물녘엔 봉래산에

산달 걸린 박연폭포요

향풍어린 계수대라

동해를 굽어보며 마고에게 절하고

삼십륙동천에 돌아가노라

원숙하기는 하나. 격(格)이 미치지 못한다.

나의 중형도 다음과 같이 화답하였다.

鶴軒昂燕差池학헌앙연차지

三山歸去五雲中飛삼산귀거오운중비

乾坤三尺杖 건곤삼척장

身世一布衣 신세일포의

好掛長劍巖頭樹 호괘장검암두수

手弄淸溪茹紫芝 수농청계여자지

학은 훤칠하게 제비는 높게 낮게

삼신산에 돌아와 오색 구름에 나는구나

이 천지간 석자짜리 지팡이에

포의로 한 세상 보내누나

바윗머리 나무에 긴 칼 척 걸어 두고

맑은 시내에 손 담그고 영지풀잎 씹네

비록 좋기는 해도 마침내 양봉래의 신선 같은 운치에는 미치질 못한다.

이익지(李益之)에게 읊게 한다 해도 미치지 못할는지 모르겠다.

양봉래의 시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山上有山山出地 산상유산산출지

水邊流水水中天 수변유수수중천

蒼茫身在空虛裏 창망신재공허리

不是煙霞不是仙 불시연하불시선

산 위에 또 산 있으니 산이 땅에서 나오고

물가에 또 물 흐르니 물 속에 하늘 어리었네

아득해라 이 몸 공허 속에 있거니

연하도 아닌 것이 선경도 아니로세

불게(佛偈)와도 비슷하다.

또 다음과 같은 것도 있다.

金屋樓臺拂紫煙 금옥루대불자연

躍龍雲路下群仙 약용운로하군선

靑山亦厭人間世 청산역염인간세

飛入蒼溟萬里天 비입창명만리천

금옥루대에 보랏빛 안개 떨치고

용이 나는 구름길에 신선 내려오네

청산도 인간 세상에 역겨웠던지

푸른 바다에 어린 구만리 장천 속에 날아들었네

蟠桃子熟三千歲 반도자숙삼천세

半夜白鸞來一雙 반야백난래일쌍

中天仙郞降王母 중천선랑강왕모

玲瓏海氣連雲牕 영롱해기연운창

삼천 년 만에 익는다는 신선 복숭아

한밤중 하얀 난새 쌍으로 왔네

중천에 신선 서왕모 내려오니

아롱진 바다기운 구름창에 이었네

역시 그를 따라 배울 만하다.

차식(車軾)의 자는 경숙(敬叔), 호는 이재(頤齋), 연안인(延安人)이며 벼슬은 군수이다.

《기아(箕雅)》를 참고하건대 ‘金玉’은 ‘金屋’으로 되었고, ‘躍龍’은 어떤 본에는 ‘濯龍’으로 되어 있다.

'한문학 > 학산초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사언 /학산초담 95  (0) 2010.10.17
허난설헌 /학산초담 94  (0) 2010.10.17
김인후 /학산초담 92  (0) 2010.10.04
양사언 /학산초담 91  (0) 2010.10.04
이달(李達) /학산초담 90  (0) 2010.10.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