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daum.net/happyl004/15882439
춘향가 중 옥중가 대목춘향가 중 옥중가 대목 - 김소희 <창조> 그때여 춘향모친은 동네 여러 부인들게 붙들리여 집으로 돌아갈 제, 춘향은 옥방으 홀로 앉어 저의 모친 울음소리 차차차차 멀어지니 옥방의 더진 듯이 홀로 앉아, <진양조> 옥방형상을 살펴보니 앞문에는 살만 남고 뒷벽에는 외만 남어 바람언 우루루루루루루. 살 쏜 듯이 들여 분다. "내 죄가 무삼 죈고. 국곡투식을 허였든가. 살인죄인가. 음양작죄 진 일 없이 엄형중치(嚴刑重治) 항쇄족쇄(項鎖足鎖)의 옥방엄수(獄房嚴囚) 웬일인가!" 욕사욕사(欲死欲死:죽고 싶은 마음) 분한 마음 머리도 탕탕 돋우치며 춘하추동 사시절을 망부사(望夫詞)로 울음을 운다. "동풍이 눈을 녹여 가지 가지 꽃이 피고, 작작허고나 두견화는 나비를 보고 웃는 모양 반갑고도 아름답구나. 눌(누구)과 함끄(께) 보드라는 말이냐. 꾀꼬리는 북이 되야 유상세지(柳上細枝) 늘어진 디 구십춘광 짜는 소리 아름답고 슬프도다. 눌과 함께 듣고 보면 눌과 같이 담화를 헐끄나. 잎이 지고 서리 치니 구추단풍 시절인가. 낙목한천(落木寒天) 찬바람으 홀로 피는 저 국화는 능상고절(凌霜高節) 그 아닌가. 먹은 맘이 가득허여 북풍이 단을 열어 백설은 펄펄 휘날릴 제 설중의 푸른 솔은 천고절개를 지키여 있고 아미(峨嵋)의 한(寒) 매화는 미인 태를 띠었구나. 단오장추는 년년이 푸르렀고 추풍혼백은 섧은 마음을 자어낼 제, 공산의 만수음의 피가 나도록 슬피 울어 님의 귀에다 들리고저. 상사일념으로 모진 간장 불이 붙어 피골이 상연이라 낮이면 꾀꼬리 밤이면 두견성 서로 불러서 화답을 허니 꿈도 빌어 볼 수 없구나. 아이고 어쩔거나. 님이 그리워 어쩌자는 말이냐." 아무도 모르게 자탄을 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