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4C78Kb4BCkY
8.履霜曲(이상곡)
여음과 반복을 제외하면 10行 非聯詩.
이루어지지 않는 사랑을 철저하게 긍정하는 노래. 여자는 모름지기 정절에 매어 살아야 한다.
[현대어역]
1)비오다가 개야 아 눈 하 디신 나래: 비오다가 개어 눈이 많이 내린 날에
2)서린 석석사리 조 곱도신 길헤: 서리어 있는 나무 숲 좁고 굽어도는 길에
3) 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
4)잠간 내 니믈 너겨: 잠을 앗아간 내 님을 그리워한다고
5)깃 열명길헤 자라오리잇가:그러한 무서운 길에 자러 오시겠즙니까?
6)죵죵 霹靂 아 生 陷墮無間 : 때때로 벽력 소리, 아 무간지옥으로
7)고대셔 싀여딜 내 모미: 금방 사라질 내 몸이
8)죵죵 霹靂 아 生 陷墮無間: 때때로 벽력 소리, 아무간지옥으로
9)고대셔 싀여딜 내 모미: 금방 사라질 내 몸이
10)내 님 두고 년뫼 거로리: 내 님을 두고 다른 산길을 걸을 수 있겠는가?
11)이러쳐 뎌러쳐: 이렇게 저렇게
12)이러쳐 뎌러쳐 期約이잇가: 이렇게 저렇게 다른 기약이야 있겠습니까?
13)아소 님하 녀졋 期約이이다: 아, 님이시여. 함께 가고자 하는 기약뿐입니다.
[語釋]
2)서린: 서리어 있는.
석석사리:나무 숲. 薪섭섭. 경상도 방언. 灌木의 가지와 줄기가 얼크러진 藪林을 가리킴.
3)다롱디우셔 마득사리 마두너즈세 너우지: 分章의 기능 없음.
4)잠간: 잠을 따간, 잠을 빼앗아 간.
너겨: 여기어, 생각하여
5)깃: (가신) 그이는, 그이야. 그(彼)+잇. (혹은) 그러한
열명길헤:①무서운 길에. ‘十忿怒明王’의 略稱 ‘十明’. 十忿怒明王과 같이 무서운 길에.
②열(薄)+명(明). 薄明길, 어두운 새벽길.
오리잇가:오겠습니가?
6)죵죵 霹靂 아 生 陷墮無間: 때때로 벽력이 나서 무간지옥에 떨어져. ‘아’는 무의미한 음.
7)고대셔: 바로, 卽時에.
싀어딜: 없어질, 죽어갈.
6-7행.님을 버리고 다른 사람을 택하면 그런 징벌을 받을 줄 안다.
10)년 뫼를: 다른 山을, 다른 임의 품을.
거로리: 걷겠습니까? 다르리이까?
11)다른 사람의 유혹에 빠질 수 없다.
이리쳐 뎌리쳐: 이렇게 저렇게 하고자 하는
12)期約이잇가: 기약이겠습니까? 기약이야 있겠습니까?
13)녀졋: 가고 싶어, 가고 싶어하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571
이상곡(履霜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가요. 14세기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노래라는 견해도 있다. 『대악후보 大樂後譜』에 음악이, 『악장가사 樂章歌詞』에 가사가 전한다. 전 39행으로 된 이 음악
encykorea.aks.ac.kr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상곡(履霜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