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4,700년 그야말로 반만년, 말과 시간이 일치하는 반만년역사를 간직한 피라미드여!

사막에 권력자의 돌무덤을 앃는 사람들을 생각해 봅니다. 모든 생명은 소중하다니까요.

[편자주]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친구끼리 모이면 나이자랑 내지 나이다툼이 잦았습

니다. 학술용어로는 이를 쟁장설화라 일컬어 왔습니다. 나이자랑의 효시는

인도의 동물우화에서 유래하였고 불교의 전래와 함께 우리 민간에도 널리 유

포되었습니다. 박동진 창본은 다른 창본에 비해 비속어 구사가 탁월합니다.

희구님이 나이자랑 말라는 충고를 해왔기에 여기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글 싣는 순서


1.박동진의 판소리 <수궁가>

나이 자랑2

2.두꺼비의 나이 자랑(爭長설화)

3.별주부전

4.박동진 창 오디오(인터넷 사이트 참조)



1.박동진의 판소리 <수궁가>


박동진의 <수궁가> 대목에서 '나이 자랑' 대목을 발췌하여 옮깁니다.

여기에는 날짐승, 길짐승등의 나이자랑 끝에 호랑이가 상좌를 차지하는

얘기입니다. 짐승들이 곡식을 뜯어먹어 관가에서는 포수 수백 명을

동원하여 일망타진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출전]토끼전전집1,박이정,1997.


425/(쪽수표시)

[아니리]

아 그런디, 그 때 그 소문을 어떻게 들었는고 하니, 다람쥐란 놈이

딱 듣고서 사방으로 통문을 돌려놓은 것이. 짐승들이 쏵 모여가지고

상좌(上座)다툼을 하는디,

그 날짐승들이 먼저 모여들어 상좌다툼을 허것다.


앵무새가 나앉으며,

“오늘은 내가 상좌할란다.”


봉황새가 꾸짖으며,

“워라. 괘씸한 놈 같으니. 어디서 상좌를 한단 말이여. 후리아들놈의 자식

같으니라고.”

“거, 어째 그렇단 말이요.”

“오냐.”


봉황새 허는 말이,


[중모리]

이내 말을 들어보아라. 순임금 남훈전에 오현금 가지시고 소소구성 노래헐

적, 기산 높은 봉 아침 햇빛 내가 앉어서 울음을 울어, 팔백년 눈물이

울울허여 주문무 나겨시고, 만고대성 공부자도 내 앞에서 탄식을 허시고,

천 길이나 높이 날아 기불탁속 허여 있고, 영축산 높은 오동 기염기염

기여올라 소상반죽 좋은 열매 내 양식을 삼아노니,

내가 어른이 그 아니냐?“


[아니리

까마귀 나앉으며,

“그 다음에는 내 차례다. 까옥까옥.”


부엉이 꾸짖으며,

워라. 이 괘씸헌 놈. 어디를 상좌한단 말이냐. 이놈아 응. 전신에

흰 빛 없고 눈구녁 주둥이 대구빡 심지어 발톱까지 시커먼 놈의 자식이

후리아들놈의 자식아, 어디 상좌한단 말이냐, 응?“


까마귀 기가 막혀,

“아니 대그빡 크고, 눈구녁 쑥 들어가고, 발톱 질고,

털이 넓적넓적허면 네 놈이 어른이냐?

네 이 놈 부엉아, 잔소리 말고 내 근본을 들어아.”


426/

[엇중모리]

“내 근본을 들어라, 이 내 근본을 들어라. 이 주둥이 길기는 월광 구천이

방불허고, 이 몸이 검기는 산음땅을 지내다가 왕희지 깊은 곳에 풍 빠져

먹물들어 이 몸이 검어 있고, 은하수 생긴 후에 그 물에 다리를 놓아

견우직녀를 건네주고 오는 길에 적벽강 성희헐 적에 남비(南飛) 둥둥 떠

삼국흥망 의논허고, 천하에 반포음을 나 혼자 간 것이니 비금조소 효자는

천하에 나뿐이라. 아이고 설움이야, 어 설움이야.”


[자진모리]

부엉이 허허 웃고,

“네 암만 그런데도 네 심청 괴이하야 열두 가지 울음을 울어,

과부집 남게 앉어 울음을 울어서 동할 제, 까옥까옥 도드락 도드락

괴이한 울음을 울어 수절과부 유인하고, 네 소리 꽉꽉 나면

세상 인간이 미워라 돌을 들어서 날릴 적에, 너 날자 배 떨어지니,

세상에 미운 놈은 너밖에 도 있느냐? 피동이나 가져가지.

이 좌석은 불길허다. 이 좌석은 불길허다.”


[아니라]

까마귀 나앉으며,

“원, 내 죄상이 그렇다 하더라도 여럿이 모인 디서

남의 파기를 시킨단 말이잉요? 예이 여보시오.”

이렇듯 분주헐 제 또 한편을 바라보니 길짐승들이 나와 놀 제

상좌다툼을 하는디 이런 가관이 없것다.


[중모리]

공부자(孔夫子) 작춘추(作春秋)에 절필허든 기린이며,

삼군삼영(三軍三營) 거동시(擧動時) 코기리며,

옥경선관(玉京仙官)이 승필(乘匹)헐 제 풍채 좋은 사자로구나.

출입풍조(出入風造)에 용맹 있는 표범이며,

서백(西伯)이 위수(渭水) 사냥헐 제 비웅비표(非熊非豹) 곰


427/

이로다.

창해박랑(蒼海博浪)중에 저격시황(狙擊始皇) 저 다람이,

강수동류원야성(江水東流猿夜聲)에 슬피 우는 저 잔나비,

꾀 많은 여시, 날랜 토끼, 털 좋은 너구리, 꼬리 좋은 쪽제비며,

이따위 동물들이 앙금살짝 모여들더니

상좌다툼을 허는구나.


[아니리]

너구리 나앉으며 허는 말이,

“우리가 인연이 기회하여 노는디. 좋은 좌석에 상좌가 없으니까,

첫째 어른이 없으니 문란해서 못 쓰것더라잉. 그러니게 금년부터

상좌를 정해 놓고, 나이 많은 짐승을 어른으로 뽑아가꼬

그 지시를 받어서 노는 것이 어떤고?”


하니께, 여시 여호란 놈이 싹 나앉으며,

“대체 그 말 잘 났소. 아 글쎄 우리가 젊으니 저녁대가 되면 술잔이나

먹고 시조나 부르고 이러는 것이 아니라. 아 이놈들이 술을 먹고

술에 취해 놓으면 싸움을 해 가꼬 피투성이가 되는디.

아 작년에도 맷돼야기 큰아들놈이 안 죽을 만치 뚜들겨 맞어서

업혀가고 생 야단을 했단 말이여.

요것이 모두 어른이 없어서 이렇거든. 그 말이 좋으면 저기 앉은

장도감(獐都監) 노루 당신은 언제 났소?”


노루란 놈이 턱 나앉더니.


[진양]

“내 나이를 생각허면 하날로 올라간 이태백이는 날과 둘이 동갑으로,

광산십년(匡山十年) 글을 짓다가 태백은 사람이라 하날로 올라가고,

나는 미물 둔재가 되었으나 태백의 연갑(年甲)이 되었으니

내가 상좌 못하겠느냐?”


428/

[아니리]

너구리란 놈이 턱 나앉더니만,

“장도감은 저만큼 가시오. 나는 키도 크고 풍채도 괜찮길래 낫살이나

퍼먹은 줄 알었더니만은, 인제 봉께 내 고손자뻘도 안돼. 저만치 가시오.”

노루가 기가 멕혀,

“아, 그라면 달파총(獺把摠) 당신은 언제 났소?”


[중모리]

“내 나이를 가만히 생각허면, 삼국시절이 분분헐 적으 위왕 조조가

사해를 거의 씰다시피 허고 동작대(銅雀臺)를 지을 적으, 좌편은 금봉루요 우

편은 봉활루라.

이교에 뜻을 두고 조자건의 글씨를 빌어 동작대를 부운(賦韻)허던

조맹덕의 연갑이 되었으니 내가 상좌를 허여보자.”


[중중모리]

맷돼야지란 놈 나앉는다. 거적눈을 끔적끔적, 나발 같은 주둥이

이리저리 내두르며,

“자네들 내 나이를 들어보소. 자네들 내 나이를 들어보소.

한광무 시절에 간의대부 마다허고 부운(浮雲)으로 채일 삼고,

동강필리탄 낚시줄을 던져놓고 고기 낚기 힘써하던

엄자릉의 시조하고 날과 한 가지 연갑이니,

내가 상좌 못 하것냐?”


[중모리]

토끼란 놈 나앉으며,

“요놈 조놈 다 듣거라. 내 나이를 생각허면,

나는 한나라 사람으로 흉노국에 사신갔다 십구년 충절 지키어

고국산천 험한 길로 허유허유 올라오던

소중랑(蘇中郞)의 연갑이 되었으니,

내가 상좌 못 하것냐?”


429/

[아니리]

아, 원체 경우가 바르게 토끼가 딱 해놓으니,

“그러면 토생원이 상좌에 앉으시오.”

“아, 체구는 그렇게 조막뎅이만한디

어디서 그렇게 나이를 퍼먹은었는고.

상좌에 앉으시오.”


(중간 생략. 그 내용은 여러 날 굶은 호랑이가 등장하여

맷돼지를 잡아 눕혀 내장꺼정 파먹을 판이디)


430/

퇴끼란 놈이 싹 나앉으면서,

“장군님, 자시더래도 우리 얘기나 좀 헙시다.

대관절 장군님 몇 살이나 되었소?”

호랭이가,

“마, 요것이 내 나이를 물어? 느그들 여기서 뭣허고 놀었냐?”


“예, 년년이 기회하고 연치(年齒) 찾어 상좌 삼고 놀았습니다..

잔치도 하고요.”


“금년 잔치는 느놈들 잔치가 아니라 바로 내 잔치다, 내 잔치여.

오냐, 네가 내 나이를 물웅께 가르쳐주지.”


[진양]

“내 나이를 생각허니 하늘과 땅이 생겨날 적으,

하날이 먼저 나서 지구를 마련 후에, 사해와 산천을 마련허시고,

날짐승도 산천 마리고, 들짐승도 삼천 마린데,

천지지간 만물지중에 사람이 제일 으뜸이라고 허지만,

그 중에도 나만 보면은 무섭고 겁이 나 감히 가가이 못하는고로,

그러므로 내 이름을 산군(山君)이라 부르노라.

또한 하날을 바라보니 한편쪽이 떨어져서 한없는 허공이 되었는디,

넓은 독작을 다듬어다가 그 하늘을 때우시던 여와씨(女媧氏) 연갑이니,

내가 상좌 못 하것냐?”


[아니리]

호랑이가 탁 버티고 앉았으니, 좌우에 짐승들이 죽을까봐

죽음감 돼가지고, 한편쪽에서 쭈그리고 앉어 고개 팍 쑤그리고 있는디,

그 때여 별주부란 놈이.......


이 글의 주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www.munjung13.com/board/read.php?table=m13sarang&no=22709&o[at]=s&o[sc]=t&o[ss]=%B3%AA%C0%CC%20%C0%DA%B6%FB

'고전문학 > 고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향가 2 -김소희  (0) 2008.11.08
춘향가1 -김소희  (0) 2008.11.08
방아티령 -식물원 앞  (0) 2008.11.07
별주부전 외- 나이 자랑2  (0) 2008.02.13
정강우 판소리, 변강쇠가  (2) 2008.02.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