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21a28]

漢時太山黃原平旦開門。

忽有一青犬在門外伏。守備如家養。

한(漢)나라 때 태산(太山)의 황원(黃原)은 아침에 문을 열자

갑자기 푸른 개 한 마리가 문 밖에 엎드려서 집을 지키고 있었는데

마치 집에서 기르는 개와 같았다.

 

原紲犬隨隣里獵。

日垂夕見一鹿。便放犬。

犬行甚遲。原絕力逐不及。

황원은 이 개를 끌고 이웃을 따라 사냥하러 나갔다.

해가 지려 할 무렵에 사슴 한 마리를 보고 곧 개를 놓았다.

개의 걸음은 매우 느리고 황원도 힘이 빠져 아무리 쫓아가도 미치지 못했다.

 

行數里至一穴。入百餘步。

忽有平衢。槐柳列植行牆迴匝。

몇 리를 걸어 한 굴에 이르러 백여 걸음 들어가자

갑자기 네거리가 나왔다.

홰나무와 버드나무가 줄을 지어 늘어서 집 담을 둘러쌌다.

 

原隨犬入門。列房櫳戶可有數十間。

皆女子。姿容妍媚 衣裳鮮麗。

或撫琴瑟 或執博棊。

황원은 개를 따라 문 안으로 들어가자

여러 개의 방과 문이 수십 칸이나 있었는데

그곳에는 다 여자들이 있었다.

얼굴이 아름답고 옷도 화려한데,

혹은 거문고와 비파를 만지고 있기도 했고

혹은 장기와 바둑을 두고 있기도 하였다.

 

至北閤有三間屋。二人侍直。若有所伺。

見原相視而笑。此青犬所致妙音婿也。

북각(北閣)에 이르자 3칸 집이 있었는데 두 사람이 번을 들고 있었다.

그들은 무엇을 살피는 듯하다가 황원을 보자 서로 보고 웃으면서 말하였다.

"이 푸른 개가 묘음(妙音) 서방님을 모시고 왔구나."

 

一人留一人入閤。

須臾有四婢出。稱太真夫人白黃郎。

그러더니 한 사람은 거기 있고 한 사람은 집으로 들어갔다.

조금 있다가 네 사람의 여종이 나와

태진(太眞) 부인 백황랑(白黃郞)이라 자칭했다.

 

有一女年已弱笄。冥數應為君婦。

既暮引原入內。內有南向堂。堂前有池。

池中有臺 臺四角有徑尺穴。穴中有光映帷席。

그녀들에게 한 딸이 있었는데 나이 20세로서 남의 아내가 될 만했다.

날이 저물자 그녀는 황원을 데리고 안으로 들어갔다.

안에는 남향의 집이 있고 집 앞에는 못이 있으며

못 가운데에는 누대가 있고

누대의 네 모퉁이에는 직경 한 자쯤 되는 굴이 있으며

굴 속에는 빛이 있어 휘장을 비추었다.

 

妙音容色婉妙侍婢亦美。

交禮既畢。宴寢如舊。

經數日原欲暫還報家。

묘음은 얼굴이 곱고 그 여종도 아름다웠다.

서로 예를 마친 뒤에 마치 일찍부터 친한 것처럼 함께 잠을 잤다.

여러 날을 지나 황원은 잠깐 집에 돌아가려고 했다.

 

妙音曰。

人神道異。本非久勢。

묘음이 말하였다.

"사람과 귀신은 길이 다르므로 원래 오래 있을 형편이 아닙니다."

 

至明日解珮分袂。臨階洟泗。

後會無期。深加愛敬。

이튿날 그녀는 패물을 끌러 주고, 헤어질 때는 뜰에 내려와 눈물을 흘렸다.

그러나 다시 만날 기약이 없었으므로 더욱 사랑하고 공경했다.

 

若能相思 至三月旦可修齋潔。

묘음이 말했다.

"만일 생각이 나거든 3월 아침에 재결(齋潔)하십시오."

 

四婢送出門。半日至家。情念恍忽。

每至其期 常見空中有軿車髣髴若飛。

(右此三驗出幽冥錄)

그리고 네 사람의 여종은 문 밖까지 나와 전송했다.

그는 반나절 만에 집에 돌아왔으나 마음은 황홀하였다.

늘 기일(期日)이 될 때마다 황원은 항상 공중에서 날 듯하는 병거(輧車)를 보았다.

[이상 세 가지 증험은 『유명록(幽冥錄)』에 나온다.]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욱면비 염불서승  (0) 2012.11.24
토기의 소신공양  (0) 2012.03.08
동굴의 신화 03  (0) 2012.01.12
동굴의 신화 02  (0) 2012.01.12
동굴의 신화 01  (0) 2012.01.12


[0521a05]

漢永平五年。剡縣劉晨阮肇。

共入天台山。迷不得返。

한(漢)나라 영평(永平) 5년에 염현(剡縣)의 유신(劉晨)과 원조(元肇)가

함께 천태산(天台山)에 들어갔다가 길을 잃고 돌아오지 못했다.

經十三日糧乏盡飢餧殆死遙望山。

上有一桃樹。大有子實 永無登路。

攀緣藤葛乃得至上。

13일 동안을 지내자 양식은 떨어지고 배가 고파 거의 죽게 되었다.

멀리서 산꼭대기를 바라보니 복숭아나무가 하나 있는데

큰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 있었다.

그러자 올라가는 길이 없어 등나무와 칡을 부여잡고서야 겨우 오르게 되었다.

各噉數枚而飢止體充。復下山持杯取水欲盥嗽。

見蕪菁葉從山腹流出。甚鮮新。

復一杯流出有胡麻飯糝。

便共沒水逆流。行二三里

각각 몇 개씩 따 먹고 배를 채우고는

다시 산에서 내려와 잔을 가지고 물을 떠서 양치질을 하려고 했다.

무잎이 산 허리에서 흘러 내려오는데 매우 싱싱하였고,

또 쌀밥과 깨가 담긴 잔 하나가 흘러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둘이 함께 물에 들어갔다가 물에 빠져 거슬러 흘러 2, 3리쯤 갔다.

得度山出一大溪邊。有二女子。

姿質妙絕。見二人持杯出。便笑曰。

劉阮二郎捉向所失流杯來。

겨우 산을 지나 어떤 시냇가에 이르렀는데,

거기에 어떤 두 여자가 있었다.

자태가 아름답기 그지 없었다.

그녀들은 이들이 잔을 가지고 나오는 것을 보고 웃으면서 말하였다.

"유신과 원조 두 서방님이 아까 우리가 떠내려 보냈던 잔을 가지고 오신다."

晨肇既不識之。

二女便呼其姓如似有舊。相見而悉問。

來何晚。

유신과 원조는 그녀들을 알지 못하는데

그녀들은 이들의 성을 부르면서 구면인 듯

서로 안부를 묻고는 이렇게 물었다.

"왜 이렇게 늦었습니까?"

因要還家。皆銅瓦屋。

南壁及東壁下各有一大床。

皆施絳羅帳。帳角懸鈴 金銀交錯。

床頭各有十侍婢。勅云。

그리하여 다 함께 그녀들의 집으로 갔는데,

그 집은 다 구리기와로 되어 있고,

남쪽 벽과 동쪽 벽 밑에는 각각 큰 침대 하나씩 있었다.

모두 비단 장막으로 둘러쳐 있고

장막 끝에는 방울을 달아 놓았으며 금과 은을 섞어 장식하고,

침대 머리에는 각각 10명의 종[侍婢]이 있었다.

그녀들은 종에게 명하였다.

劉阮二郎經涉山岨。

向雖得瓊實猶尚虛弊。可速作食。

"이 두 서방님은 험한 산을 넘어 오셨다.

아까 그 복숭아를 드셨지만 그래도 시장하실 터이니 빨리 밥을 지어라."

食胡麻飯山羊脯牛肉甚甘美。

食畢行酒。有一群女來。

各持五三桃子。笑而言。

賀汝婿來。

그래서 이들은 깨밥과 매우 맛있는 산양포와 쇠고기를 먹었다.

다 먹고 나서 술을 들 때

한 무리의 여자들이 복숭아 열다섯 개를 가지고 와서 웃으면서 말하였다.

"너희들의 서방님이 오신 것을 축하한다."

酒酣作樂。

至暮令各就一帳宿。女往就之。

言聲清婉。令人忘憂。

그리고 술에 취하자 음악을 연주했다.

저녁이 되어 각각 침대에 가서 잘 때 그녀들도 왔다.

말소리는 맑고 고와 사람의 근심을 잊게 하였다.

遂停半年。氣候草木是春時百鳥啼鳴。

更懷悲思。求歸甚苦。女曰。

罪牽君當可如何。

반년이 지나

기후와 초목들이 다 봄을 맞아 온갖 새들이 울어댔다.

이들이 다시 슬픈 생각이 생겨 돌아가기를 간절히 청하자 그녀들이 말하였다.

"당신들을 끌고 온 죄를 어찌할 수 있겠는가?"

遂呼前來女子。有三四十人。集會奏樂。

共送劉阮指示還路。

그리고 먼저 왔던 여자를 불러 3, 40명이 모이자 음악을 연주했다.

그리고 유신과 원조에게 돌아갈 길을 가르쳐 주면서 전송했다.

既出親舊零落。邑屋改異無復相識。

問訊得七世孫。傳聞上世入山迷不得歸。

이들이 돌아오자 친구들은 다 죽었고

살던 집도 모두 허물어져 알아 볼 수가 없었다.

그래서 묻고 물어서 겨우 7대[世] 손자를 찾았는데,

그들은 옛날 조상들이 산에 들어가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는 말을 전해 들었다고 하였다.

至晉太元八年。忽復去不知何所。

진(晋)나라 태원(太元) 8년(383)에

다시 가 보았으나 그녀들은 간 곳이 없었다.

'고전문학 > 구비문학 설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기의 소신공양  (0) 2012.03.08
동굴의 신화 04  (0) 2012.01.12
동굴의 신화 02  (0) 2012.01.12
동굴의 신화 01  (0) 2012.01.12
사슴왕의 희생정신  (0) 2011.12.27


[주]계림이나 하롱베이를 목격한 중국인들에게 동굴의 신화는 친숙한 것으로 추정된다.

[베트남은 1천여 년간 중국의 지배를 받았다.]

자국의 자료 『유명록(幽冥錄)』을 원용한 <법원주림> 권23의 잠둔편(潛遁篇)의 예화에서

둥굴의 신화를 두어 편 찾아 싣는다.

[0520c12]

漢時雒下有一洞穴。其深不測。

有一婦人欲殺夫。

謂夫賸賸曰。未甞見此穴。

한(漢)나라 때 낙하(洛下)에 굴이 하나 있었는데 그 깊이를 알 수 없었다.

어떤 부인이 그 남편을 죽이려고 남편에게 말하였다.

"나는 아직 그 굴을 보지 못했습니다."

夫自送視。婦遂推下 經多時至底。

그러자 남편은 아내를 데리고 가서 굴을 보여주려고 했는데

아내가 남편을 굴 속으로 떠밀었다.

그는 한참 동안을 내려가서야 밑바닥에 이르렀다.

婦於後擲飯物如欲祭之。

當時巔墜恍忽良久蘇。

得飯食之。氣力小強。

뒤에 아내가 그 굴 속에 밥을 던져 제사를 지내는 체하려고 했다.

그 때 남편은 떠밀려 굴 속으로 떨어지느라 정신을 잃었다가 한참 만에 깨어나

그 밥을 먹고는 기운을 조금 차렸다.

周遑覓路仍得一穴。便匍匐從就。

崎嶇反側。行數十里穴寬 亦有微明。

遂得平步。

황급하게 길을 찾다가 이내 한 구멍을 발견하고 그 구멍으로 기어서 빠져 나왔다.

꼬부랑길을 이리저리 돌아 수십 리를 가자 구멍이 넓어지고 희미한 빛도 있어

마침내 바로 걸을 수 있게 되었다.

行百餘里。覺所踐如塵。

而聞糠米香。噉之芬美。

即裹而為糧。復齎以行。所歷幽遠里數難詳。

백여 리쯤 갔을 때는 티끌을 밟는 것처럼 느껴졌고

쌀 냄새도 나고 해서 먹어 보았더니 향기롭고 매우 맛이 있었다.

그는 그것을 싸가지고 양식으로 삼아 다시 걸어갔는데

얼마나 걸었는지 그 거리는 알 수 없었다.

而轉就明廣。食所齎盡。

便入一都。城郭修整宮舘壯麗。

臺榭房宇悉以金魄為飾。雖無日月明踰三光。

그 안은 더욱 밝아지고 또 넓어졌으나 양식이 다 떨어졌다.

그러다가 문득 어떤 도시로 들어갔다.

성곽은 잘 정돈되었고 궁전은 웅장하고 화려하며

망루(望樓)와 집들은 다 금으로 장식되어,

해와 달이 없어도 3광(光)보다 더 밝았다.

人皆長三丈。被羽衣

奏奇樂 非世所聞。便告求哀。

사람들의 키는 다 3장(丈)이나 되었고 우의(羽衣)를 입었으며

기이한 음악을 연주하는데 세간에서는 들어보지 못하던 것이었다.

長人語令前去。

凡過如此者九處。最後至苦飢餧。

어떤 어른에게 도움을 청했더니, 앞으로 더 가라 했다.

이렇게 무릇 아홉 곳을 지나자

가장 마지막에는 배가 몹시 고팠다.

長人指中庭一大柏樹

近百圍下有一羊。

그 어른은 뜰에 있는 큰 잣나무를 가리켰다.

그 나무의 둘레는 백 아름에 가깝고 그 밑에 염소 한 마리가 있었다.

令跪捋羊鬚。

初得一珠。長人取之。

어른은 그에게 꿇어앉아 염소 수염을 뽑으라고 했다.

처음에 그 수염에서 구슬 한 개를 얻었는데

그 구슬은 그 어른이 가지고,

次捋亦取。後捋令噉。即得療飢。

請問九處之名求停不去。

다음에 또 구슬을 얻었는데 뒤에 얻은 구슬은 먹으라고 하여

먹었더니 곧 배가 불렀다.

그는 그 아홉 곳의 이름을 묻고 거기 있기를 간청하여 그곳을 떠나지 않았다.

答云。

君命不得停還問張華。當悉此間人。

그 어른이 말하였다.

"그대의 운명은 여기 있을 수 없다.

돌아가서 장화(張華)라는 사람에게 물어 보라.

그 사람이야말로 바로 이곳 사람이다."

便復隨穴出交州。還雒。

問華。以所得物示之。

그는 곧 굴을 따라 교주(交州)로 나와 낙양(洛陽)으로 돌아왔다.

장화에게 물어보며 그가 얻은 물건을 다 보였다.

華云。

如塵者是黃河下龍涎。泥是崑山下泥。

九處地仙。名九館大夫。

羊為癡龍。

장화가 말하였다.

"그 먼지와 같은 것은 황하(黃河) 밑의 용의 침이요,

그 진흙은 곤륜산(昆崙山) 밑의 진흙이며,

그 아홉 곳의 신선 이름은 구관대부(九大夫)라 하고,

그 염소는 어리석은 용이다.

其初一珠食之 與天地等壽。

次者延年。後者充飢而已。

此人還往七八年間。

그 처음 얻은 한 개의 구슬을 먹으면 천지와 수명이 같아지고

다음 것은 수명을 늘리며, 뒤의 것은 배를 채울 뿐이다."

이 사람은 7, 8년 동안 그곳을 오갔다.


[주]유람선에서 내려 구난조끼를 입고 쪽배를 탄 다음, 산 아래 뚫린 구멍을 통과하여 관광하는

코스가 두 차례 있었다. 첫 번째는 발동선이고 두 번째는 처녀뱃사공이 노를 젓는 쪽배였다.

도잠의 <도화원기>에는 ‘山有小口’가 나오는데, 이 동굴의 아이디어는 종유석 동굴이거나

석회암지역에 사는 어부가 산 아래 뚫린 이런 구멍을 통과하고서 획득한 것이 틀림없다.

도잠의 <도화원기>에 대해서는 아래 주소창에서 소개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세외도원/계림

http://blog.paran.com/kydong/43725003

도잠-도화원기 ‘山有小口’

http://blog.paran.com/kydong/43724594

http://blog.paran.com/kydong/2772023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