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삼부나 삼천종의 녹을 보기를,

마치 참새나 모기가 그의 앞을 날아 지나가는 것을 보듯 할 것이다.”

- 장자(잡편) ; 제27편 우언[3]-

 

曾子再任而心再化, 曰:

증자재임이심재화, 왈: 증자는 두 번 벼슬살이를 했는데, 두 번 모두 마음이 변했다.

그가 말했다.

「吾及親仕,

「오급친사, “나는 부모님에 생존해 계실 때는

三釜而心樂.

삼부이심락. 벼슬하여 삼부의 녹을 받았으나 마음이 즐거웠다

後仕,

후사, 뒤에는

三千鍾而不洎親,

삼천종이불계친, 벼슬하여 삼천종의 녹을 받았으나 부모님을 모실 수가 없어서

吾心悲.」

오심비.」 마음이 슬펐다.”

弟子問於仲尼曰:

제자문어중니왈: 공자의 제자가 그 말을 듣고, 공자에게 물었다.

「若參者,

「약삼자, “증삼은

可謂无所縣其罪乎?」

가위무소현기죄호?」 그의 녹에 의해 마음이 끌리지 않는 사람이라 말할 수가 있겠습니까?”

曰:

왈: 공자가 말했다.

「旣已縣矣.

「기이현의. “이미 마음이 끌리고 있지 않느냐?

夫无所縣者,

부무소현자, 마음이 끌리는 데가 없는 사람이라면

可以有哀乎?

가이유애호? 슬픔이 있을 수가 있겠느냐?

彼視三釜三千鍾,

피시삼부삼천종, 그는 삼부나 삼천종의 녹을 보기를,

如觀鳥雀蚊虻相過乎前也.」

여관조작문맹상과호전야.」 마치 참새나 모기가 그의 앞을 날아 지나가는 것을 보듯 할 것이다.”


+ Recent posts